블루호스트(Bluehost)는 우리나라에서도 비교적 잘 알려진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업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과연 얼마나 믿을 만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여기에 개인적으로 다년간 사용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 이 글은 2023년 9월 23일에 최종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블루호스트와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 비교
최근 들어 아마존 AWS나 Vultr에서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로 이전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는 AWS나 Vultr보다 비용이 두 배 가까이 비싸지만 관리 패널을 통해 AWS 등보다 서버를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 | 블루호스트 VPS | 클라우드웨이즈 |
---|---|---|
- 저렴하고 가성비 좋음 - 처음 블로그 시작 시 좋은 옵션 - 방문자 수가 많지 않은 사이트에 적합 - 사이트 최적화가 안 되면(예: 무거운 테마 사용) 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음 - GP와 같은 가벼운 테마를 사용하여 설정하면 속도가 괜찮은 편임(참고) - 사용이 편한 cPanel 제공 - 도메인 1년 무료 제공 - 무료 SSL 인증서 제공 - PHP 8.1까지 지원/PHP 8.2 지원 | - 공유호스팅에 비해 비용이 높음 - 가성비 좋은 VPS(가상서버호스팅) 서비스 - 방문자 수가 증가할 경우 고려할 수 있음 - 공유호스팅보다 속도가 빠름 - 서버 Root 권한 제공 - cPanel/WHM 액세스 - 무료 SSL 인증서 - 도메인 1년 무료 - PHP 8.2까지 지원 | - 규모가 큰 사이트에 적합 - 속도가 빠른 편임 - 아마존 AWS, Vultr, Linode 등의 서버 이용 가능 - 비용은 AWS 등에서 직접 서버를 생성하는 것보다 약 두 배 정도 높음 - 자체 관리 패널 제공(※) - 무료 SSL 인증서 - 서버 Root 권한 제공 - 사이트 규모 증가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 가능 - PHP 8.2까지 지원 |
※클라우드웨이즈의 자체 관리 패널(Admin Panel)은 cPanel/WHM에 비해서는 기능이 제한적이지만 서버 관리에 필요한 기능(SSH/SFTP/MySQL 액세스, 도메인 추가, SSL 인증서, PHP 버전 변경 등)을 제공하므로 Vultr나 아마존 AWS를 직접 이용할 때보다 서버 관리가 쉽습니다. 관리 패널 제공으로 인해 비용은 AWS 등을 직접 이용할 때보다 두 배 정도 높습니다.
블루호스트 개요
블루호스트는 Endurance International Group이라는 기업이 소유한 웹호스팅 업체로 20대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총 200만 개 이상의 도메인을 호스팅하고 있으며 자회사로 HostMonster, FastDomain, iPage가 있습니다.
블루호스트를 신뢰할 수 있을까요? WordPress.org에서는 블루호스트, Siteground, Dreamhost를 공식적으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순전히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말한다면 블루호스트는 가성비 차원에서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지난 6년 넘게 Bluehost를 비롯한 여러 해외 호스팅을 이용하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개인마다 느끼는 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간혹 언어 문제로 커뮤니케이션 부족이나 사용 방법을 잘 몰라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목격합니다. 언어 소통에 문제가 있으면 구글 번역을 활용하면 어느 정도 커버가 될 것입니다. 블루호스트와 비슷한 레벨의 해외 호스팅으로 고대디가 있습니다. GoDaddy는 사이트가 한글화되어 있고 지원도 한국어로 제공됩니다.)
Bluehost에서는 모든 워드프레스에서 무료 SSL 인증서를 제공하며, 2021년 기준으로 공유호스팅과 VPS 모두 PHP 8.0까지 지원합니다. 그리고 2022년 1월 현재 PHP 8.1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 블루호스트에서 PHP 버전과 PHP 환경 설정값 변경하기
- Bluehost VPS: PHP 버전(PHP 8.0/8.1) 및 PHP 서버 환경값 변경 방법
-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 - PHP 8.0 지원
- 블루호스트 PHP 8.1 적용하기(+워드프레스 호환성)
※
: Bluehost VPS에서는 PHP 8.2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WHM에 접속하여 PHP 8.2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PHP 8.2와 호환되지 않는 테마와 플러그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PHP 8.2 적용 후 우려와 달리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 2020년 11월, 사이트그라운드가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일부 국가와 지역에서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Bluehost 상품 살펴보기
Bluehost에서는 Shared Hosting, WordPress Hosting, VPS, Dedicated Hosting, WordPress Pro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합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 상품은 기본적으로 공유호스팅(Shared Hosting)과 유사하지만 워드프레스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hared hosting(공유 호스팅) 상품
블루호스트의 저가형(Shared hosting)의 경우 다음 그림과 같이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Basic 상품의 가격이 월 2.95달러(또는 할인 시 월 2.75달러)입니다.
워드프레스나 블루호스트 사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은 아래 댓글을 통해 알려주시면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Bluehost 공유호스팅은 가격 대비 괜찮은 성능, 즉 좋은 가성비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저렴하게 괜찮은 리소스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아래의 Bluehost VPS 상품(현재 이 블로그가 이용 중)이나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클라우드웨이즈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Hosting > Shared Hosting 메뉴를 클릭했을 때 표시되는 공유호스팅 상품 가격표입니다.

Basic 플랜의 경우 웹사이트 공간 10G에 트래픽 무제한으로 조건이 꽤 괜찮은 편입니다. 그리고 Choice Plus 플랜은 3개 웹사이트, 40GB 공간, 무제한 트래픽이 제공됩니다. (Basic을 선택하면 하나의 도메인만 연결이 가능하고 파킹 도메인 5개, 서브도메인 25개로 제한됩니다. 여러 개의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Choice Plus 이상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공유호스팅은 무제한 공간(Basic은 제외)과 무제한 트래픽을 제공합니다. 참고할 점은 "무제한"이라는 것은 사실상 없고, 다만 매우 큰 공간과 트래픽을 많은 사용자가 공유하는 형식입니다. 특정 사용자가 리소스를 독점하면 다른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리소스를 차지하면 페널티가 가해질 것입니다. (이것은 국내나 해외 모두 다르지 않습니다.) 방문자가 많아져서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경우에는 Pro로 업그레이드하거나 VPS나 전용호스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공유호스팅과 별도로 WordPress Hosting과 WooCommerce 상품도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은 기본적으로 공유호스팅과 유사합니다. 실제로 블루호스트에 확인해본 결과 둘은 거의 동일하다고 하네요.

Bluehost 공유호스팅의 경우 제가 처음 이용할 때에는 속도와 안정성에 약간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공유호스팅은 불안하고 속도가 느려지는 측면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더 안정적인 VPS로 바꾸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Bluehost Shared Hosting을 이용하고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이전보다 속도와 안정성면에서 많이 개선된 것 같습니다.
만약 처음 가입한 후에 사이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라이브 채팅을 통해 상담을 요청하면 금방 해결해줄 것입니다. 언어 때문에 소통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구글 번역기를 이용하면 어느 정도 커뮤니케이션이 될 것입니다. 그래도 부담스럽다면 아래에 댓글을 남겨주시면 (콩글리쉬지만) 도와드리겠습니다.ㅎㅎ
모든 호스팅 플랜에서 첫 해에 도메인 이름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상품에서 SSL 인증서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메일 서비스의 경우 공유호스팅의 최저가 상품인 Basic(베이직)에서는 이메일 계정을 5개까지 만들고 있고 웹사이트는 하나만 이용할 수 있지만, 나머지 모든 상품에서는 생성 가능한 이메일 계정 개수에는 제한이 없고 도메인도 제한이 없습니다. 이메일과 관련하여 "해외 웹호스팅 Bluehost에서 발송 가능한 이메일 개수 및 제한 사항"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가입 시에 옵션 상품(예: SiteLock Security - Find, Codeguard Basic, Bluehost SEO Tools Start) 등은 선택 사항입니다. Codeguard는 백업 기능을 제공합니다. 필요한 경우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 Bluehost에 가입할 때 사용 중인 도메인을 입력하면 임시 도메인 주소가 계정에 할당됩니다. 사이트를 완성한 후에 임시 도메인 주소를 실제 도메인 이름의 주소로 변경해야 합니다. 그런 경우 라이브 채팅으로 상담원에게 요청하면 처리해줍니다. (요청할 때 사이트 주소 변경과 함께 도메인에 SSL 인증서도 함께 설치해달라고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직접 요청해보니 약 30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블루호스트 워드프레스 속도가 느린 경우
사이트 속도가 느릴 경우 1) 블루호스트에서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할 때 함께 설치되는 플러그인(JetPack, MonsterInsight, Opt-in Monster 등)을 삭제하고, 2) 캐시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3) Clearfy와 같은 최적화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세부적으로 설정하고, 4) 불필요한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하면 속도가 어느 정도 빠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벼운 테마를 사용하고 무거운 플러그인은 자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속도가 최적화되지 않은 사이트에 Clearfy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경험하곤 합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많은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비슷한 기능의 플러그인을 중복 설치할 경우 플러그인 충돌로 인해 속도가 느려지고 이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참고).
2023년 9월 업데이트
최근 블루호스트 요금 정책이 바뀌었습니다.

도메인을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 개수가 Choice Plus와 Online Store에서는 3개, PRO 버전에서는 5개로 제한되는 것 같습니다. 서브도메인의 경우 Choice Plus부터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3개 이상의 사이트를 운영하려는 경우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VPS Hosting (가상 서버 호스팅) 상품
블루호스트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려면 상위 플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현재 VPS 플랜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VPS 요금제는 이전에 비해 리소스를 늘리면서 가격도 인상된 것 같습니다. Standard 옵션의 경우 기존의 30G 스토리지 공간에서 120GB 공간이 제공되고 무제한 트래픽이 제공됩니다. 저가형인 공유 호스팅보다 스토리지 공간이 작지만 사양 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방문자 수가 많아지면 더 많은 리소스가 필요하게 됩니다. 방문자가 증가하여 사이트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CPU와 RAM을 증설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문자가 더 증가하여 서버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전용 호스팅 같은 더 비싼 상품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참고로 Vultr 등의 비관리형 가상 서버 호스팅(VPS) 서비스를 이용하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에 VPS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서비스는 서버를 직접 세팅하여 운영해야 하고 문제가 발생 시 직접 해결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Bluehost VPS의 경우 cPanel이 제공되어 보다 편리하게 서버를 관리할 수 있고 문제 발생 시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Panel과 지원을 고려한다면 비용적인 측면에서 오히려 Bluehost VPS가 더 비용 효과적인 솔루션이 될 수 있습니다. (cPanel을 단독으로 구입할 경우 월 15달러입니다.ㅎㅎ)
※ VPS에서는 2023년 9월 현재 PHP 8.2까지 지원됩니다.
※ VPS 상품에 가입하면 VPS 서버가 생성되는데, 서버 생성 직후 원하는 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라이브 채팅으로 연락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블루호스트 VPS 가입 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참고해보세요.
※ 블루호스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해외호스팅에서는 PHP 오류가 발생하면 워드프레스 폴더 아래에 error_log 파일이 생성됩니다. 잘못된 테마나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PHP 버전이 호환되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치명적이지 않은) 많은 PHP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error_log 파일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서버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 먼저 error_log 파일이 원인이 아닌지 체크하여 삭제하시기 바랍니다("해외 호스팅 Bluehost VPS에서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 참고.)
Dedicated hosting(전용 호스팅) 상품
더 큰 스토리지 공간과 트래픽이 필요한 경우 Dedicated hosting(전용 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용 호스팅 플랜은 비용이 매우 높지만 상대적으로 매우 큰 스토리리 공간과 트래픽을 제공합니다. 2018년 초와 비교하여 Free SSL(무료 SSL ) 항목이 추가되었네요.
근래에 해외의 유명 워드프레스 관련 블로그가 사이트가 불안해져서 블루호스트와 상의하여 전용 호스팅으로 이전했다고 하네요. 접속자가 급증하여 사이트가 불안정해지면 사이트 최적화 등의 방법으로 해결을 시도해보고, 그래도 감당이 안 되면 Dedicated Hosting으로 업그레이드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호스팅은 리소스 대비 비용이 저렴하지만 지원 문제 때문에 카페24 등 국내 호스팅 서비스를 선택하는 분도 간혹 목격합니다. 영어를 조금 하실 수 있다면 지원 자체는 해외 호스팅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블루호스트이나 사이트그라운드의 경우 라이브 채팅(Live Chat)을 통해 거의 실시간으로 상담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마치며
개인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쓸만한 호스팅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Bluehost 공유호스팅을 선택할 것 같습니다. 더 안정적이고 빠른 호스팅을 원한다면 클라우드웨이즈 또는 이 블로그가 이용 중인 Bluehost VPS 플랜이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아래 "안정성" 참고). 결국 다른 모든 세상사와 마찬가지로 비용 대비 얼마나 효율적인 서비스를 선택하느냐로 귀결될 것 같습니다.
위의 배너를 클릭하면 블루호스트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호스팅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무조건 싸다고 선택하지 말고 여러 정보를 취합하고 현재 요구 사항에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정보는 개인적인 경험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에 다른 분들과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추후에 업데이트가 필요하면 수시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결제 시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부가 서비스는 선택 사항입니다. 필요한 경우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령, Codeguard Basic은 백업 서비스로 웹호스팅 레벨에서 백업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 선택할 수 있습니다(Choice Plus 상품에서는 무료로 제공됨). VPS 상품에서도 백업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참고 - 안정성
가동시간을 살펴보면...

122일 동안 가동 중이라고 표시되어 있네요. 사실 서버 자체 문제로 가동이 중단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몇 년 전에 제가 잘못된 코드를 사용하여 CPU 사용량이 급증하는 바람에 서버를 재부팅한 적이 있습니다. 사용자 잘못으로 인해 중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재작년에는 일시적으로 동시 접속자 수가 가능하면서 사이트 장애가 발생한 적이 있었습니다. 메모리 제한 크기를 늘리고 동시 접속자 수 설정을 높이면 이런 사태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저가형을 원하는 경우 iPage가 있지만 URL에 한글이 포함되면 오류가 발생하여 한국어 사이트에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SSL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 참고: 이외에도 블루호스트나 고대디와 비슷한 HostGator라는 업체도 있습니다. Matthew님에 의하면 블루호스트, 고대디, HostGator는 서비스면에서 거의 엇비슷(좋은 측면에서)하다고 하네요. HostGator 플랜을 잠시 살펴보니 블루호스트나 고대디보다 약간 더 저렴한 편인 것 같습니다.
고대디(GoDaddy)는 사이트가 한글화되어 있고 지원도 전화를 통해 한국어로 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앨러지가 있는 경우 고대디도 하나의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고대디는 느리다는 평도 있지만,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사이트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이트 최적화를 얼마나 잘 하는가에 따라 속도가 많이 좌우되는 것 같습니다.
경험이라는 것이 상대적이라서 어느 것이 딱히 좋다 나쁘다라고 단정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호스팅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가입 과정에서 우편번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Bluehost 결제 과정에서 우편번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새 우편번호 대신 구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입니다. 구 우편번호는 http://fastpost.oceanmate.co.kr/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111-111 혹은 111111처럼 임의의 우편번호를 넣으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가입 방법은 여기를 참고해보세요.

♠ 가입하는 과정에서 타 도메인 대행등록업체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입력하거나 추후에 애드온 도메인을 추가하는 경우,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Bluehost의 네임서버 정보로 변경해야 합니다. 가령, 가비아에서 등록한 도메인이라면, 가비아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다음 정보로 변경해주도록 합니다(타사 도메인을 블루호스트에 연결하는 방법 참고).
1차: ns1.bluehost.com
2차: ns2.bluehost.com
IP 주소까지 입력해야 하는 경우 "해외 호스팅 블루호스트(Bluehost)의 네임서버 정보 확인하기"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네임서버 정보가 새로운 서버의 정보로 완전히 변경되기까지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사이트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거나 기존 사이트와 새 사이트가 교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존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 기존 사이트를 이틀 정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트그라운드에서 기존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 "해외 호스팅 사이트그라운드(SiteGround)의 네임서버 정보 확인하기"를 참고해보세요.
♠ 블루호스트 가입 과정에서 다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Could not build Single Signon Cust object with provided information. at /var/hp/common/lib/HP/Signup/User.pm line 277
이 오류는 구글 계정으로 가입하려고 시도할 때 발생합니다(참고). 블루호스트에 가입할 때 Sign in with Google 버튼을 클릭하여 하지 말고 "블루호스트 가입 절차"의 설명에 따라 직접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웍스, 구글 앱스, 오피스 365 등 외부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가 등록된 곳(예를 들어, 블루호스트나 사이트그라운 등)에서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의 지침에 따라 DNS 정보를 변경해야 합니다. 보통 MX 정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먼저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에게 문의하여 지침을 받은 다음에 DNS 정보 변경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공유호스팅을 선택하는 경우 공유호스팅 내에서는 상위 상품으로 업그레이드가 허용됩니다. 예를 들어, Basic을 선택했다가 추후에 Plus 등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Shared Hosting에서 VPS로는 업데이트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요즘 블루호스트 때문에 워드님 홈페이지에 자주 방문하네요. 최근에 서브도메인 문제로 고객문의를 많이 했는데, 이번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면서 플랜이 바뀌었다고 전해듣게 되었습니다. BASIC플랜은 25개의 하위도메인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워드님 믿고 강력하게 주장했는데요. 올해 4월부터 플랜이 변경되어 "초이스플랜"부터 서브도메인 이용이 무제한 가능하다고 합니다.
변경된 내용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을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카페24, 클라우드웨이즈, vultr로 넘어온지 얼마 안됐는데 서버운영이라는 것이 정말 쉽지가 않네요 그리고 vultr는 글 하나 올리면 자꾸 다운이 되네요 카페24보다 만족감이 떨어지네요 그래서 다시 블루호스트로 옮기려고 하는데 설치 및 가입 방법 링크좀 부탁드려요. 혹시 vultr 탈퇴 법도 있다면 같이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shoppist님. 혹시 방문자 수가 많은 편인가요?
다운되는 경우에는 다운되는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해야 할 것 같습니다.
블루호스트는 다음 글을 참고하여 가입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cafe.naver.com/wphomepage/2880
Vultr에서는 인스턴스(서버)를 삭제하면 요금은 더 이상 부과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저도 vultr 계정이 있는데, 서버를 생성하지 않고 그냥 계정만 유지하고 있습니다.
블루호스트와 사이트 그라운드 모두 서브도메인(www.exam.com)만 연결이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메인도메인(exam.com)은 다른 서비스로 운영중이고 http://www.exam.com 도메인만 연결이 필요합니다. 국내 호스팅사는 메인도메인과 서브(www)도메인을 동일시 하여 사용이 불가합니다.
안녕하세요? 정민님.
블루호스트는 연락하니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음 도메인 연결과 관련된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avada.tistory.com/2942
호스트 www에 대해서만 A 레코드(IP 주소)를 지정하여 연결하면 됩니다.
다음 글(네이버 카페)을 참고하세요:
https://cafe.naver.com/wphomepage/28854
aws 라이트세일 사용중인데 40불 짜리.. 동시접속이 많아야 5명인데 자주 다운됩니다. cpu 버스트때문이라는데 옮길려고 하는데 vultr 로 만지작 거리는데 재부팅했더니 접속이 안되네요. 그래서 검색할때마다 블루호스트 포스팅 글을 많이 봐서 문의 남깁니다. 하루 최대 1000명 방문 동시접속 최대 10명 정도 이미지가 한페이지 이미지10메가 정도인데 블루호스트로 옮겨도 괜찮을지요. 서버를 전혀 모릅니다. 라이트세일도 어떻게어떻게 했는데 쉽다고 해도 다 문제네요. https적용. ftp. gzip(텍스트 압축?) 어떤 제품이 좋을 지 추천부탁드리요. 그리고 가끔 보면 유료로도 도와주시는거 같은데 유료로 이전 및 설정이 가능하면 그 내용도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이전에 많이 언급해주신 divi 테마 사용중입니다.
안녕하세요? 하루 최대 1000명, 동시 접속 최대 10명인 경우 (트래픽 등을 살펴보아야 알 수 있겠지만) 공유호스팅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 블로그는 Bluehost VPS인데, 하루 최대 5000명, 동시 접속 최대 40~50명 정도에서 문제 없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속도면에서는 VPS가 공유호스팅보다 좋은 편이지만 비용은 비싼 편입니다.
가성비적인 측면에서는 Bluehost 공유호스팅을 고려해볼 수 있고 안정성과 속도가 중요하다면(그리고 추후 방문자 증대까지 감안한다면) Bluehost VPS도 괜찮은 선택 같습니다.
속도가 중요한 경우 Cloudways(클라우드웨이즈)에서 Vultr 서버를 운영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사이트 이전 작업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