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추세라면 2026년경에 국민연금 기금이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의 "덜 내고 더 받는" 구조가 변하지 않는다면, 적립된 기금이 고갈되는 것은 시간 문제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국민연금 개혁은 피할 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4일 발표한 국민연금 개혁안에 ‘자동조정장치’ 도입 계획을 포함했습니다.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는 출산율, 기대수명, 경제성장률 등 연금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와 경제적 변화를 반영하여 연금액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제도로서 일본, 독일 등 여러 OECD 국가들이 이미 이 제도를 운영 중이라고 합니다.
국민연금 개혁,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논란
국민연금 개혁이 필요한 이유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개혁이 필요한 이유는 크게 1) 기금 고갈 위험, 2) 노후 빈곤 문제, 그리고 3) 인구 구조 변화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기금 고갈 위험. 현재 국민연금은 "덜 내고 더 받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시간이 지날수록 재정적 부담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의 재정계산에 따르면, 현 추세가 계속 된다면 국민연금 기금은 2060년경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노후 빈곤 문제 해결. 대한민국의 노인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이 낮아 노후에 충분한 생활비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연금 개혁을 통해 소득대체율을 적정 수준으로 끌어올려 노인 인구들의 생활 안정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인구 구조 변화.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사회 각 분야에서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줄어듦에 따라 많은 산업이 타격을 받고 있고, 사회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는 또한 연금을 내는 인구는 줄어들고, 연금을 받는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내는 사람은 적고 받는 사람이 많은 이러한 상황은 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크게 위협하고 미래 세대의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 분명합니다.
국민연금 개혁이 어려운 이유
어떤 분야든 개혁은 진통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국민연금은 시작부터 잘못되었고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국민연금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23년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은 0.72명입니다.)
국민연금 개혁이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세대 간 갈등: 연금 개혁은 기본적으로 노동 가능한 세대가 더 많은 보험료를 내고 미래에 받을 연금 혜택을 줄여야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젊은 세대와 기성 세대 간 이익충돌이 발생합니다. 고령층은 기존 혜택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젊은층은 미래의 연금 수급에 대한 불안과 부담 증가에 대하여 반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갤럽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국민연금 개혁 정부안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는데, 찬성 의견은 37%, 반대 의견은 41%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30대와 40대의 절반 이상이 개혁안에 반대하고 있는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찬성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대와 50대는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갈리고 있다고 합니다. - 정치적 합의 어려움: 국민연금 개혁은 매우 민감한 사회적 이슈이며, 국민들의 표가 중요한 정치권은 개혁안을 추진할 때 국민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신중한 입장을 취하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보험료 인상이나 수급액 삭감 등 불가피한 개혁안을 제시할 경우 정치적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장기적인 개혁보다는 단기적인 정치적 이해관계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또한, 여야 간 연금 개혁에 대하여 이견이 있어 합의점을 돌출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자동조정장치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는 연금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로서 경제적·인구학적 변화에 따라 연금의 수급액이나 보험료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를 일컫습니다. 자동조정장치는 물가 상승률, 기대수명 증가, 인구 구조 변화와 같은 변수들을 반영하여 연금 재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장치는 연금 재정 악화 시 보험료를 인상하거나 수급액을 줄이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자동조정장치 도입은 연금 재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대수명이 늘어나고 노인 인구층이 증가함에 따라 연금 지출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자동조정장치는 재정적 부담을 조정하는 유연한 대응 수단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금 제도가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미래 세대에게도 안정적인 연금 수급이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대하여 몇 가지 논란과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연금 수급자의 수급액이 자동으로 삭감될 가능성. 특히 물가 상승률이 반영되어 연금의 명목 수급액이 유지되더라도, 실질적 가치는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할 때 연금이 그만큼 인상되지 않으면, 연금의 실질적 구매력이 낮아져 노후 생계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사회적 불평등 심화 우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자동조정장치로 인해 수급액이 감소하면 경제적 부담이 더 크게 가중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자동조정장치 도입 시 저소득층에 대한 보호 장치나 보완책 필요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 국민들의 불안과 불신 초래. 연금이 안정적으로 지급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 국민들의 연금 제도에 대한 신뢰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국민들의 연금 가입 의지를 낮추고, 결국 연금 재정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는 연금 재정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도구임에는 틀림 없지만, 그 도입에는 신중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되면 정치권 개입 없이도 국민연금이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정치권의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 생각됩니다.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관련 기사
- "연금 자동 조정 장치, 고갈 시점 16년 늦춰" 對 "받는 돈 17% 깎자는 거냐" (조선일보)
- 노동·시민단체 “자동조정장치 도입시 국민연금 20% 깎여” (한겨레)
- 정치권 개입 없는 '자동 조정장치'도 추진 (조선일보)
-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부정론 제기…"연금 실질가치 유지 훼손" (이투데이)
- 연금 개혁안 두고 전문가 격론…자동조정장치는 "바로 도입 안된다" 공감 (머니투데이)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