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미클라우드(ChemiCloud): FTP 접속 방법

Last Updated: 2024년 11월 12일 2개 댓글

우리나라에 비교적 덜 알려진 케미클라우드(ChemiCloud)는 블루호스트, 패스트코멧 등과 비슷한 가성비 좋은 해외 공유호스팅 서비스입니다. 블루호스트(Bluehost)는 미국 서버만 제공하기 우리나라에서 속도가 느리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케미클라우드는 해외에서도 평가가 좋은 편이며 특히 지난 7월 말에 서울 서버를 추가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속도가 빠릅니다.

공유호스팅은 일반적으로 방문자 수가 많지 않은 사이트 운영에 적합합니다. 방문자 수가 많은 경우에는 클라우드웨이즈나 케미클라우드의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호스팅(MWH)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케미클라우드의 워드프레스 호스팅(WordPress Hosting)에서 FTP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케미클라우드(ChemiCloud): FTP 접속 방법

케미클라우드에서는 FTP 접속과 phpMyAdmin을 통한 DB 접속을 허용합니다. FTP는 마스터 계정의 FTP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거나 cPanel에서 별도의 FTP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특정 폴더에만 접속하도록 제한하려는 경우에는 cPanel에서 FTP 계정을 만들고 접속 가능한 디렉터리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1 FTP에 접속하려면 먼저 파일질라(FileZilla)와 같은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윈도우의 경우 파일질라를 설치하시고, 맥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Cyberduck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FileZilla 등의 FTP 프로그램을 설치했다면 케미클라우드에서 FTP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에 로그인하여 Dashboard로 이동합니다. Active Servces 섹션에서 해당 웹호스팅 상품의 맨 오른쪽에 있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3 팝업 창으로 서버 정보가 표시됩니다.

FTP Information에서 다음 정보를 메모합니다.

  1. FTP Server
  2. FTP username
  3. FTP Password

비밀번호는 보안을 위해 점으로 표시되어 브라우저에서 볼 수 없지만, 눈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패스워드가 표시됩니다.

4 FTP 클라이언트에서 사이트를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질라를 사용하는 경우 파일 » 사이트 관리자를 클릭하여 사이트 관리자를 표시합니다.

사이트 관리자가 표시되면 새 사이트 버튼을 누르고 FTP 정보를 입력합니다.

사이트 관리자에서 다음과 같이 정보를 입력합니다.

  1. 프로토콜: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2. 호스트: 케미클라우드의 서버 정보에서 메모한 FTP Server
  3. 암호화: TLS를 통한 명시적 FTP 가능한 경우 사용
  4. 로그온 유형: 일반
  5. 사용자: FTP username
  6. 비밀번호: FTP password

이 작업은 한 번만 하면 되며, 이후부터는 파일질라가 실행되면 등록한 사이트를 클릭하여 곧바로 FTP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5 연결 버튼을 클릭하여 FTP에 접속합니다.

알 수 없는 인증서 경고 창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 "알 수 없는 서버 인증서입니다. 신뢰할 수ㅜ있는 서버인지 인증서를 잘 확인하십시오" 메시지가 표시되면 맨 아래의 "이후에도 이 인증서 항상 신뢰"와 "표시된 대체 호스트명에 대해 이 인증서 항상 신뢰"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6 이제 FTP 서버에 접속될 것입니다.

보통 public_html 디렉터리에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이 위치합니다.

하지만 여러 개의 사이트를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설치 경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디렉터리 위치는 워드프레스 알림판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 도구 » 사이트 건강 » 정보 탭 » 디렉터리와 크기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워드프레스 디렉터리 위치에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 경로가 표시됩니다. /home/계정ID/디렉터리명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home/계정ID/ 경로가 FTP에 접속했을 때 루트(/) 디렉터리가 됩니다. public_html 폴더에 워드프레스 파일들이 위치해 있으면 /home/계정ID/public_html과 같이 표시됩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 설치 경로로 이동하여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삭제, 파일 만들기/편집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질라에서) 파일을 편집(수정)하려면 해당 파일을 마우스로 선택하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다음, 보기/편집을 클릭하면 됩니다.

케미클라우드는 서울 서버를 제공하므로 많은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하더라도 시간이 그리 많이 걸리지 않습니다.

만약 패스트코멧과 같이 서울 서버를 제공하지 않는 호스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파일 매니저(File Manager)를 통해 폴더를 압축하여 다운로드하거나, 컴퓨터에서 압축을 한 후에 FTP로 업로드하고 파일 관리자에서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참고

2 개 댓글

Leave a Comment

  1. 케미클라우드에 대한 내용은 처음 접합니다. 블루호스트와 패스트코멧도 많이 들어봤는데, 이렇게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가 더 있다는 게 흥미롭네요. 서울 서버가 추가되었다니, 한국에서도 속도가 빨라졌다는 건 좋은 소식인 것 같아요. 파일질라 같은 FTP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도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여러 웹호스팅 상품 중에서 방문자 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는 점도 유용하게 느껴집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케미클라우드를 이용하게 될 것 같아요.

    응답
카카오톡 상담 카톡 서비스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