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셀링 인기 워드프레스 테마 Top 30 자세한 정보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 블루호스트(Bluehost) 소개

Last Updated: 2023년 9월 24일 | , | 196개 댓글

블루호스트(Bluehost)는 우리나라에서도 비교적 잘 알려진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업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과연 얼마나 믿을 만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여기에 개인적으로 다년간 사용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 이 글은 2023년 9월 23일에 최종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블루호스트와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 비교

최근 들어 아마존 AWS나 Vultr에서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로 이전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는 AWS나 Vultr보다 비용이 두 배 가까이 비싸지만 관리 패널을 통해 AWS 등보다 서버를 수월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블루호스트 VPS클라우드웨이즈
- 저렴하고 가성비 좋음
- 처음 블로그 시작 시 좋은 옵션
- 방문자 수가 많지 않은 사이트에 적합
- 사이트 최적화가 안 되면(예: 무거운 테마 사용) 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음
- GP와 같은 가벼운 테마를 사용하여 설정하면 속도가 괜찮은 편임(참고)
- 사용이 편한 cPanel 제공
- 도메인 1년 무료 제공
- 무료 SSL 인증서 제공
- PHP 8.1까지 지원/PHP 8.2 지원
- 공유호스팅에 비해 비용이 높음
- 가성비 좋은 VPS(가상서버호스팅) 서비스
- 방문자 수가 증가할 경우 고려할 수 있음
- 공유호스팅보다 속도가 빠름
- 서버 Root 권한 제공
- cPanel/WHM 액세스
- 무료 SSL 인증서
- 도메인 1년 무료
- PHP 8.2까지 지원
- 규모가 큰 사이트에 적합
- 속도가 빠른 편임
- 아마존 AWS, Vultr, Linode 등의 서버 이용 가능
- 비용은 AWS 등에서 직접 서버를 생성하는 것보다 약 두 배 정도 높음
- 자체 관리 패널 제공(※)
- 무료 SSL 인증서
- 서버 Root 권한 제공
- 사이트 규모 증가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 가능
- PHP 8.2까지 지원

※클라우드웨이즈의 자체 관리 패널(Admin Panel)은 cPanel/WHM에 비해서는 기능이 제한적이지만 서버 관리에 필요한 기능(SSH/SFTP/MySQL 액세스, 도메인 추가, SSL 인증서, PHP 버전 변경 등)을 제공하므로 Vultr나 아마존 AWS를 직접 이용할 때보다 서버 관리가 쉽습니다. 관리 패널 제공으로 인해 비용은 AWS 등을 직접 이용할 때보다 두 배 정도 높습니다.

블루호스트 개요

블루호스트는 Endurance International Group이라는 기업이 소유한 웹호스팅 업체로 20대 웹호스팅 회사 중 하나입니다. 총 200만 개 이상의 도메인을 호스팅하고 있으며 자회사로 HostMonster, FastDomain, iPage가 있습니다.

블루호스트를 신뢰할 수 있을까요? WordPress.org에서는 블루호스트, Siteground, Dreamhost를 공식적으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순전히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말한다면 블루호스트는 가성비 차원에서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해외 웹호스팅 블루호스트

아래의 내용은 지난 6년 넘게 Bluehost를 비롯한 여러 해외 호스팅을 이용하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점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개인마다 느끼는 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간혹 언어 문제로 커뮤니케이션 부족이나 사용 방법을 잘 몰라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목격합니다. 언어 소통에 문제가 있으면 구글 번역을 활용하면 어느 정도 커버가 될 것입니다. 블루호스트와 비슷한 레벨의 해외 호스팅으로 고대디가 있습니다. GoDaddy는 사이트가 한글화되어 있고 지원도 한국어로 제공됩니다.)

Bluehost에서는 모든 워드프레스에서 무료 SSL 인증서를 제공하며, 2021년 기준으로 공유호스팅과 VPS 모두 PHP 8.0까지 지원합니다. 그리고 2022년 1월 현재 PHP 8.1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2023년 2월: Bluehost VPS에서는 PHP 8.2에 대한 지원이 추가되었습니다. WHM에 접속하여 PHP 8.2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PHP 8.2와 호환되지 않는 테마와 플러그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PHP 8.2 적용 후 우려와 달리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PHP 8.2

※ 2020년 11월, 사이트그라운드가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일부 국가와 지역에서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Bluehost 상품 살펴보기

Bluehost에서는 Shared Hosting, WordPress Hosting, VPS, Dedicated Hosting, WordPress Pro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합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 상품은 기본적으로 공유호스팅(Shared Hosting)과 유사하지만 워드프레스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hared hosting(공유 호스팅) 상품

블루호스트의 저가형(Shared hosting)의 경우 다음 그림과 같이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Basic 상품의 가격이 월 2.95달러(또는 할인 시 월 2.75달러)입니다.

워드프레스나 블루호스트 사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신 분은 아래 댓글을 통해 알려주시면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Bluehost 공유호스팅은 가격 대비 괜찮은 성능, 즉 좋은 가성비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저렴하게 괜찮은 리소스를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아래의 Bluehost VPS 상품(현재 이 블로그가 이용 중)이나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클라우드웨이즈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Hosting > Shared Hosting 메뉴를 클릭했을 때 표시되는 공유호스팅 상품 가격표입니다.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 블루호스트(Bluehost) 소개 5
공유호스팅 요금표: 2023년 9월 23일 기준

Basic 플랜의 경우 웹사이트 공간 10G에 트래픽 무제한으로 조건이 꽤 괜찮은 편입니다. 그리고 Choice Plus 플랜은 3개 웹사이트, 40GB 공간, 무제한 트래픽이 제공됩니다. (Basic을 선택하면 하나의 도메인만 연결이 가능하고 파킹 도메인 5개, 서브도메인 25개로 제한됩니다. 여러 개의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Choice Plus 이상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공유호스팅은 무제한 공간(Basic은 제외)과 무제한 트래픽을 제공합니다. 참고할 점은 "무제한"이라는 것은 사실상 없고, 다만 매우 큰 공간과 트래픽을 많은 사용자가 공유하는 형식입니다. 특정 사용자가 리소스를 독점하면 다른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리소스를 차지하면 페널티가 가해질 것입니다. (이것은 국내나 해외 모두 다르지 않습니다.) 방문자가 많아져서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경우에는 Pro로 업그레이드하거나 VPS나 전용호스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공유호스팅과 별도로 WordPress Hosting과 WooCommerce 상품도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호스팅은 기본적으로 공유호스팅과 유사합니다. 실제로 블루호스트에 확인해본 결과 둘은 거의 동일하다고 하네요.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 블루호스트(Bluehost) 소개 6
워드프레스 호스팅 요금표: 2023년 9월 23일 기준.

Bluehost 공유호스팅의 경우 제가 처음 이용할 때에는 속도와 안정성에 약간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몇 년 전만 해도 공유호스팅은 불안하고 속도가 느려지는 측면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더 안정적인 VPS로 바꾸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Bluehost Shared Hosting을 이용하고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이전보다 속도와 안정성면에서 많이 개선된 것 같습니다.

만약 처음 가입한 후에 사이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라이브 채팅을 통해 상담을 요청하면 금방 해결해줄 것입니다. 언어 때문에 소통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구글 번역기를 이용하면 어느 정도 커뮤니케이션이 될 것입니다. 그래도 부담스럽다면 아래에 댓글을 남겨주시면 (콩글리쉬지만) 도와드리겠습니다.ㅎㅎ

모든 호스팅 플랜에서 첫 해에 도메인 이름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상품에서 SSL 인증서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메일 서비스의 경우 공유호스팅의 최저가 상품인 Basic(베이직)에서는 이메일 계정을 5개까지 만들고 있고 웹사이트는 하나만 이용할 수 있지만, 나머지 모든 상품에서는 생성 가능한 이메일 계정 개수에는 제한이 없고 도메인도 제한이 없습니다. 이메일과 관련하여 "해외 웹호스팅 Bluehost에서 발송 가능한 이메일 개수 및 제한 사항"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가입 시에 옵션 상품(예: SiteLock Security - Find, Codeguard Basic, Bluehost SEO Tools Start) 등은 선택 사항입니다. Codeguard는 백업 기능을 제공합니다. 필요한 경우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 Bluehost에 가입할 때 사용 중인 도메인을 입력하면 임시 도메인 주소가 계정에 할당됩니다. 사이트를 완성한 후에 임시 도메인 주소를 실제 도메인 이름의 주소로 변경해야 합니다. 그런 경우 라이브 채팅으로 상담원에게 요청하면 처리해줍니다. (요청할 때 사이트 주소 변경과 함께 도메인에 SSL 인증서도 함께 설치해달라고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직접 요청해보니 약 30분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블루호스트 워드프레스 속도가 느린 경우

사이트 속도가 느릴 경우 1) 블루호스트에서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할 때 함께 설치되는 플러그인(JetPack, MonsterInsight, Opt-in Monster 등)을 삭제하고, 2) 캐시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3) Clearfy와 같은 최적화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세부적으로 설정하고, 4) 불필요한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하면 속도가 어느 정도 빠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벼운 테마를 사용하고 무거운 플러그인은 자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속도가 최적화되지 않은 사이트에 Clearfy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경험하곤 합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많은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비슷한 기능의 플러그인을 중복 설치할 경우 플러그인 충돌로 인해 속도가 느려지고 이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참고).

2023년 9월 업데이트

최근 블루호스트 요금 정책이 바뀌었습니다.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 블루호스트(Bluehost) 소개 7

도메인을 추가하여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 개수가 Choice Plus와 Online Store에서는 3개, PRO 버전에서는 5개로 제한되는 것 같습니다. 서브도메인의 경우 Choice Plus부터 무제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3개 이상의 사이트를 운영하려는 경우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VPS Hosting (가상 서버 호스팅) 상품

블루호스트에서 보다 안정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려면 상위 플랜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현재 VPS 플랜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 블루호스트(Bluehost) 소개 8

VPS 요금제는 이전에 비해 리소스를 늘리면서 가격도 인상된 것 같습니다. Standard 옵션의 경우 기존의 30G 스토리지 공간에서 120GB 공간이 제공되고 무제한 트래픽이 제공됩니다. 저가형인 공유 호스팅보다 스토리지 공간이 작지만 사양 내에서 안정적으로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방문자 수가 많아지면 더 많은 리소스가 필요하게 됩니다. 방문자가 증가하여 사이트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CPU와 RAM을 증설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문자가 더 증가하여 서버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전용 호스팅 같은 더 비싼 상품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참고로 Vultr 등의 비관리형 가상 서버 호스팅(VPS) 서비스를 이용하면 비교적 저렴한 비용에 VPS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서비스는 서버를 직접 세팅하여 운영해야 하고 문제가 발생 시 직접 해결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Bluehost VPS의 경우 cPanel이 제공되어 보다 편리하게 서버를 관리할 수 있고 문제 발생 시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Panel과 지원을 고려한다면 비용적인 측면에서 오히려 Bluehost VPS가 더 비용 효과적인 솔루션이 될 수 있습니다.  (cPanel을 단독으로 구입할 경우 월 15달러입니다.ㅎㅎ)

※ VPS에서는 2023년 9월 현재 PHP 8.2까지 지원됩니다.

※ VPS 상품에 가입하면 VPS 서버가 생성되는데, 서버 생성 직후 원하는 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라이브 채팅으로 연락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블루호스트 VPS 가입 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참고해보세요.

※ 블루호스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해외호스팅에서는 PHP 오류가 발생하면 워드프레스 폴더 아래에 error_log 파일이 생성됩니다. 잘못된 테마나 플러그인을 설치하거나 PHP 버전이 호환되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치명적이지 않은) 많은 PHP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error_log 파일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서버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 먼저 error_log 파일이 원인이 아닌지 체크하여 삭제하시기 바랍니다("해외 호스팅 Bluehost VPS에서 공간이 부족해지는 경우" 참고.)

Dedicated hosting(전용 호스팅) 상품

더 큰 스토리지 공간과 트래픽이 필요한 경우 Dedicated hosting(전용 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블루호스트 전용 호스팅 요금제

전용 호스팅 플랜은 비용이 매우 높지만 상대적으로 매우 큰 스토리리 공간과 트래픽을 제공합니다. 2018년 초와 비교하여 Free SSL(무료 SSL ) 항목이 추가되었네요.

근래에 해외의 유명 워드프레스 관련 블로그가 사이트가 불안해져서 블루호스트와 상의하여 전용 호스팅으로 이전했다고 하네요. 접속자가 급증하여 사이트가 불안정해지면 사이트 최적화 등의 방법으로 해결을 시도해보고, 그래도 감당이 안 되면 Dedicated Hosting으로 업그레이드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호스팅은 리소스 대비 비용이 저렴하지만 지원 문제 때문에 카페24 등 국내 호스팅 서비스를 선택하는 분도 간혹 목격합니다. 영어를 조금 하실 수 있다면 지원 자체는 해외 호스팅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블루호스트이나 사이트그라운드의 경우 라이브 채팅(Live Chat)을 통해 거의 실시간으로 상담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마치며

저렴한 웹호스팅 서비스 - 블루호스트

개인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쓸만한 호스팅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Bluehost 공유호스팅을 선택할 것 같습니다. 더 안정적이고 빠른 호스팅을 원한다면 클라우드웨이즈 또는 이 블로그가 이용 중인 Bluehost VPS 플랜이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아래 "안정성" 참고). 결국 다른 모든 세상사와 마찬가지로 비용 대비 얼마나 효율적인 서비스를 선택하느냐로 귀결될 것 같습니다.
위의 배너를 클릭하면 블루호스트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호스팅 서비스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무조건 싸다고 선택하지 말고 여러 정보를 취합하고 현재 요구 사항에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위의 정보는 개인적인 경험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에 다른 분들과 의견이 다를 수 있습니다.  추후에 업데이트가 필요하면 수시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결제 시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부가 서비스는 선택 사항입니다. 필요한 경우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령, Codeguard Basic은 백업 서비스로 웹호스팅 레벨에서 백업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 선택할 수 있습니다(Choice Plus 상품에서는 무료로 제공됨). VPS 상품에서도 백업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참고 - 안정성

가동시간을 살펴보면...

블루호스트 VPS 가동시간

122일 동안 가동 중이라고 표시되어 있네요. 사실 서버 자체 문제로 가동이 중단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몇 년 전에 제가 잘못된 코드를 사용하여 CPU 사용량이 급증하는 바람에 서버를 재부팅한 적이 있습니다. 사용자 잘못으로 인해 중단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재작년에는 일시적으로 동시 접속자 수가 가능하면서 사이트 장애가 발생한 적이 있었습니다. 메모리 제한 크기를 늘리고 동시 접속자 수 설정을 높이면 이런 사태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저가형을 원하는 경우 iPage가 있지만 URL에 한글이 포함되면 오류가 발생하여 한국어 사이트에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SSL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그리 추천하지 않습니다.

♠ 참고: 이외에도 블루호스트나 고대디와 비슷한 HostGator라는 업체도 있습니다. Matthew님에 의하면  블루호스트, 고대디, HostGator는 서비스면에서 거의 엇비슷(좋은 측면에서)하다고 하네요. HostGator 플랜을 잠시 살펴보니 블루호스트나 고대디보다 약간 더 저렴한 편인 것 같습니다.

고대디(GoDaddy)는 사이트가 한글화되어 있고 지원도 전화를 통해 한국어로 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앨러지가 있는 경우 고대디도 하나의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고대디는 느리다는 평도 있지만,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사이트도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이트 최적화를 얼마나 잘 하는가에 따라 속도가 많이 좌우되는 것 같습니다.

경험이라는 것이 상대적이라서 어느 것이 딱히 좋다 나쁘다라고 단정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호스팅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가입 과정에서 우편번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Bluehost 결제 과정에서 우편번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새 우편번호 대신 구 우편번호를 입력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입니다. 구 우편번호는 http://fastpost.oceanmate.co.kr/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111-111 혹은 111111처럼 임의의 우편번호를 넣으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가입 방법은 여기를 참고해보세요.

기존 우편번호 확인하기

♠ 가입하는 과정에서 타 도메인 대행등록업체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입력하거나 추후에 애드온 도메인을 추가하는 경우,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Bluehost의 네임서버 정보로 변경해야 합니다. 가령, 가비아에서 등록한 도메인이라면, 가비아 홈페이지에 로그인하여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다음 정보로 변경해주도록 합니다(타사 도메인을 블루호스트에 연결하는 방법 참고).

1차: ns1.bluehost.com
2차: ns2.bluehost.com

IP 주소까지 입력해야 하는 경우 "해외 호스팅 블루호스트(Bluehost)의 네임서버 정보 확인하기"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네임서버 정보가 새로운 서버의 정보로 완전히 변경되기까지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사이트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거나 기존 사이트와 새 사이트가 교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존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 기존 사이트를 이틀 정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트그라운드에서 기존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 "해외 호스팅 사이트그라운드(SiteGround)의 네임서버 정보 확인하기"를 참고해보세요.

♠ 블루호스트 가입 과정에서 다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Could not build Single Signon Cust object with provided information. at /var/hp/common/lib/HP/Signup/User.pm line 277

이 오류는 구글 계정으로 가입하려고 시도할 때 발생합니다(참고). 블루호스트에 가입할 때 Sign in with Google 버튼을 클릭하여 하지 말고 "블루호스트 가입 절차"의 설명에 따라 직접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웍스, 구글 앱스, 오피스 365 등 외부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가 등록된 곳(예를 들어, 블루호스트나 사이트그라운 등)에서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의 지침에 따라 DNS 정보를 변경해야 합니다. 보통 MX 정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먼저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에게 문의하여 지침을 받은 다음에 DNS 정보 변경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공유호스팅을 선택하는 경우 공유호스팅 내에서는 상위 상품으로 업그레이드가 허용됩니다. 예를 들어, Basic을 선택했다가 추후에 Plus 등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Shared Hosting에서 VPS로는 업데이트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참고:


196 개 댓글

Leave a Comment

  1. 다른 정보성 홈페이지에 비해 유용한 댓글이 참 많네요
    운영자님도 성실한 답변들을 달아주시니 보기가 참 좋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저 또한 워드프레스에 대한 정보를 찾던 중 운영자님 홈페이지를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갖고있는 궁금증은 현재 MAMP를 통해 홈페이지 개발단계에서 임시로 맥북에 서버를 두고 있다가
    개발 완료시 위와이 블루호스트와같은 외부 서버로 옮기면 된다는 이야기는 많이 접하였습니다.
    하지만 MAMP를 통해 컴퓨터에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은 온라인상에서 많이 접할 수 있었느데
    외부 서버로 옮기는 방법은 찾기가 참 힘들더군요...
    제가 키워드를 다양하게 사용해서 찾아봤는데도 안나오는걸 보면 관련 포스팅이 많지 않은것같습니다.

    찾다가 듀플리케이터라는걸 이용하라는 포스팅을 잠시 본적이 있는데 글들이 모두 상당히 오래 전에 포스팅 된것들이라
    열심히 구축한 홈페이지가 잘못될까봐 섣불리 시도가 어렵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참고할만한 자료나 링크 있으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아 이건 추가 질문입니다.
    워드프레스 백업 관련하여 자식테마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저의 경우 updraftplus라는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는데
    백업은 해두고 있지만 실제로 복원해본적은 아직 없습니다.
    별도로 자식테마를 설치해야 할까요?

    감사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임희성님.

      블로그를 방문해주시고 이렇게 댓글까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Duplicator로 이전할 수 있으면 이전하는 것이 제일 간단합니다.

      다음 글에서 비교적 최근 버전의 Duplicator를 사용하여 이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intermediate/duplicate-the-wordpress-site-with-duplicator/

      먼저는 백업을 확실해 놓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updraftplus라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백업을 하였다면 파일들을 모두 다운로드해놓으시면 됩니다.

      만약 플러그인을 사용한 이전에 실패하면 수동으로 이전해야 합니다. 수동으로 이전하는 방법도 위의 링크된 글에서 간단히 언급하지 있습니다만, 경험이 없으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1. ftp를 통해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워드프레스와 관련된 전체 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혹은 wp-content만 다운로드해도, 새로운 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한 후에 wp-content 폴더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2. DB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phpMyAdmin을 통해)
      3. 새로운 서버에서 데이터을 업로드하고(ftp), DB를 import(보통 phpMyAdmin을 통해)합니다.
      5. wp-config.php 파일에서 DB 정보를 새로운 서버에 맞게 변경합니다.
      6. URL이 변경된 경우 URL을 변경합니다. phpMyAdmin에 접속하여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o-solve-problems-after-changing-the-site-url-in-wordpress/ 글에서 PhpMyAdmin에 접속하여 주소 변경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DB 파일이 큰 경우에는 phpMyAdmin을 통해 Import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SSH에 접속하여 import할 수 있습니다.

      블루호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블로호스트에서 워드프레스를 자동으로 설치한 후에 wp-content 폴더만 대체하고, phpMyAdmin을 통해 기존 DB 내용을 삭제하고 백업한 DB를 Import할 수도 있습니다. 블루호스트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avada.tistory.com/1462

      이외에 주의할 사항은 이전 전 환경과 이전 후 서버 환경을 비슷하게 해주면 이전 후에 실패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응답
  2. 안녕하세요~!
    부동산중개업을 하다보면 광고업체를 이용하지 않으면 운영하기가 매우 어려운데요~!
    부동산홈페이지 제작관련해서 검색하던중 운영자님의 블루호스트를 접하게되었습니다/
    왕초보인지라,
    홈페이지를 개설할수 있을지 매우 망설여집니다.
    1)초기비용으로 한국돈 10만원 정도 게산이 된다고 하는데,홈제작후 추가비용은 발생하지 않는지요?(플러그인 설치 등등...)
    2)해외업체인지라,최근 한국말로 업테이트된 홈페이지는 없는지요?
    3)블루호스트 홈페이지 제작관련 메뉴얼(사용설명서)은 없는지요?
    -위 3가지 문의사항 답글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건승하세요! 감사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최정호님.

      1) 테마를 구입하여 직접 사이트를 제작할 계획이신가요?
      그런 경우 부동산 관련 테마를 선택하여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s://blog.thewordcracker.com/rbwj

      한 번 제대로 완성하면 직접 관리하는 경우 추가로 비용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2) 일부 문자열은 번역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Loco Translate를 사용하여 직접 번역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ranslate-wordpress-po-file-using-loco-translate/

      3) 다음 글에서 블루호스트에 가입한 후에 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o-start-wordpress/

      이외에 세부적인 내용을 이 블로그의 검색 기능을 통해 검색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forum/resources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응답
  3. 안녕하세요 사이트개설관련해서 검색을 하던중 우연히 들어와서 많은 정보를 얻고갑니다.

    실례가 안된다면 궁금한점을 여쭙고싶은게 있는데요 제가만약 뷰티샵쇼핑몰과 컴퓨터쇼핑몰 두가지를 운영하려한다면

    예를들어 beauty1234.com pc1234.com 이 두개의 도메인을 개설하고싶을때
    블루호스팅에도 두개의 아이디를 만들어서 뷰티샵, pc샵에 대한 사이트개설을 각각해야하나요?
    (도메인비용도 각각 내는건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한개의 블루호스팅계정과 한개의 워드프레스계정으로
    두사이트를 모두 조작하는게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초보이다보니 아직 모르는게 많네요 ^^;;
    괜찮으시다면 답변 부탁드리고싶습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두 개의 도메인으로 두 개의 사이트를 운영하고 싶은 경우 블루호스트에서는 최저가 상품인 Basic을 제외한 나머지 상품에서 가능합니다.
      보통 한 단계 높은 상품인 Plus를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이트에 방문자 수가 많거나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이 블로그에서 사용 중인 Bluehost VPS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공유호스팅의 Plus를 사용하면 무난할 것입니다.

      도메인을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how-to-create-a-subdomain-in-bluehost/

      도메인은 1개에 대해서만 최초 1년간 무료로 등록 가능합니다.
      다른 하나는 블루호스트에서 등록하거나(가장 간편), 고대디나 가비아 같은 곳에서 등록한 후에 네임서버를 블루호스트로 바꾸고 블루호스트에서 도메인을 "애드온 도메인"(부가 도메인)으로 추가하면 됩니다. ( https://avada.tistory.com/659 참고)

      .com 등의 도메인은 고대디에서 가입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블루호스트에서 구입하면 고대디보다는 조금 비싸지만 네임서버 변경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합니다. (* 체크해보니 .com 도메인의 경우 블루호스트에서 등록할 경우 연간 12달러 정도 같습니다.)

      https://avada.tistory.com/535

      응답
  4. 갑자기 워드프레스 오토 업그레이드가 안돼기 시작하고 플러그인들도 업데이트가 안되더니 블루호스트를 통해서 워드프레스접속이 안됩니다... ㅠ.ㅠ
    그래서 블루 호스트 라이브챗으로 문의하니까 얘내들도 자꾸 헛다리만 짚더니 메일로 보내줄테니까 업데이트 하라는데 이게 뭔소리인가요?하...ㅠ.ㅠ 진짜 서비스 x같이 하네요...

    응답
    • 안녕하세요?

      블루호스트의 경우 상담원들의 실력이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처음 연락하여 해결이 안 되면 몇 시간 있다가 다시 문의하면 다른 상담원이 해결해주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리고 문의할 때 가능한 한 상세하고 쉽게 설명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상담원이 원어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예: 인건비가 싼 인도인, 동유럽인).)

      저는 보통 http://www.example.com/wp-admin으로 접속하는 편입니다.
      http://www.example.com/wp-admin으로 접속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어떤 이유로 관리자 비밀번호가 맞지 않는 경우 다음 글을 참고하여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o-reset-password-in-wordpress/

      문제가 잘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즐거운 휴일 보내세요.

      응답
    • 앞서 답변드렸듯이 브라우저에서 직접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www.example.com/wp-admin).

      블루호스트 계정 페이지에서 직접 로그인 실패 문제에 대하여 https://www.thewordcracker.com/forum/support-system 페이지에 자세한 증상(실패 시 오류 메시지 포함, 가급적 스크린샷을 만들어 링크로 포함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과 함께 해당 사이트 주소를 알려주시겠어요?

      제가 시간이 날 때 블루호스트에 한 번 문의해보겟습니다.

      카톡에서 kanatra를 친구로 추가하여 관련 정보를 보내주셔도 되구요. (카톡은 미국 전화번호로로 만들어 제가 컴에서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곧바로 확인은 불가능합니다.)

      응답
  5. 안녕하세요 웹, 호스팅.. 등등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하나 만들려고 하니 어렵네요..;
    댓글을 거의 한시간동 다 읽어 봤는데 내용이 어려워서 사실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_ㅠ..

    블루홀 Basic 정도면 개인 블로그 (방문자 500~1000명) 운영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댓글 읽어 보니 1년은 도메인을 무료로 사용가능하다고 하는데..
    3년 으로 서비스 가입을 하면.. 2년째에는 도메인 가격만 따로 내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처음 가입한 도메인 2년째 됐을때는 비용이 얼마정도 할까요..
    영어는 정말 몰라서..블루홀에 묻지 못하고.. 블로그에 문의 남겨 보아요 ㅠ.

    응답
    • 안녕하세요?

      웹호스팅에 가입할 때 블루호스트에서 .com 도메인을 등록하면 1년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크게 세 가지 옵션이 있을 것 같습니다.
      1) 도메인을 블루호스트에서 무료로 등록한 후에 1년이 되기 전에 저렴한 곳으로 기관 이전합니다. (제일 저렴한 옵션. 도메인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기관이전하는 작업이 번거로움.)
      3) 도메인을 블루호스트에서 무료로 등록한 후에 계속 블루호스트에서 도메인을 갱신합니다. 2년차부터 비용이 부과되며 도메인 리뉴얼(갱신) 비용은 찾아보니 연간 17.99달러네요. 우리나라 돈으로 약 2만 원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제일 편리한 옵션으로 아래에 설명하는 도메인 네임서버 변경 작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 도메인을 처음부터 다른 곳에서 등록한 후에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블루호스트의 정보로 변경합니다(아래 참조). .co.kr, .kr 등 국내 도메인을 이용하는 경우 우리나라 업체를 통해 등록해야 합니다.

      도메인 등록/연장 비용은 연간 1만 원 ~ 3만 원 사이이고 업체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이것은 웹호스팅과는 별도 비용입니다. 국내업체를 이용하여 도메인을 등록/갱신하려는 경우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EC%A0%80%EB%A0%B4%ED%95%98%EA%B2%8C-%EB%8F%84%EB%A9%94%EC%9D%B8-%EA%B5%AC%EC%9E%85%ED%95%98%EA%B8%B0/

      국내에서는 비아웹, 메가존 등 몇 군데가 등록/연장/이전 비용이 저렴한 편입니다. 저는 co.kr 도메인은 비아웹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도메인을 블루호스트가 아닌 다른 곳에서 등록한 경우(혹은 기관 이전한 경우)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블루호스트의 네임서버 정보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도메인을 등록한 곳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네임서버를 변경한 후에 1~2일 정도 지나면 도메인의 네임서버가 완전히 업데이트됩니다.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avada.tistory.com/659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응답
  6. 글 정말 잘 읽었네요ㅎㅎ

    제가 8월부터 워드프레스 뉴스형 블로그를
    개설하려고 구상중에 있어서
    질문드리고 싶은게 좀 있는데....

    ㆍ공유형 블루호스트는 베이직을 쓰더라도 속도가 느려질 수는 있지만 트래픽은 무제한인지

    ㆍ워드프레스도 네이버ㆍ티스토리 블로그처럼
    아이피를 한사이트에 한개씩 바꿔가며 관리해줘야 좋은지

    ㆍ베이직을 쓰다가 다른 상위의 버전으로
    옮겨가는게 수월한지

    ㆍ마지막으로 베이직이 아니고 초이스플러스
    등급을 이용한다면 홈페이지 사이트자체를
    여러개 개설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댓글들 전부읽고 운영자님 말씀대로
    워드프레스 책 하나 교보문고에서 구입했네요ㅎㅎ

    응답
    • 안녕하세요?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ㆍ공유형 블루호스트는 베이직을 쓰더라도 속도가 느려질 수는 있지만 트래픽은 무제한인지
      ==>
      방문자 수가 많아지면 사이트 속도가 매우 느려질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VPS 등의 상위 상품으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방문자 수가 많아서 사이트가 느려지거나 다운되는 것은 블로그 운영자들의 꿈이기도 합니다.ㅎㅎ
      VPS로 바꾸더라도 애드센스 배너를 운영하는 경우 방문자 수가 많아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트래픽 무제한 부분에 대한 이해는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avada.tistory.com/344

      참고로 가입형 워드프레스는 설치형에 비해 제약이 있지만 트래픽은 사실상 무제한이라고 합니다. (트래픽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https://brunch.co.kr/@wordcreater/35

      하지만 워드프레스의 기능을 제대로 이용하려면 설치형 워드프레스가 더 좋은 옵션 같습니다.

      ㆍ워드프레스도 네이버ㆍ티스토리 블로그처럼
      아이피를 한사이트에 한개씩 바꿔가며 관리해줘야 좋은지
      -> 이 부분은 제가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제한은 없을 것 같습니다.

      ㆍ베이직을 쓰다가 다른 상위의 버전으로
      옮겨가는게 수월한지
      --> 베이직을 사용하다가 Plus 등으로 옮겨가는 것을 허용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부분은 라이브 채팅으로 문의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Shared Hosting에서 VPS로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이 부분은 확인해보니 공유호스팅 내에서는 상위 요금제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가령, Basic을 사용하다가 Plus 등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유호스팅에서 VPS로는 업그레이드가 안 된다고 합니다. 제가 몇 년 전에 가입했을 때에는 반대였던 것 같은데, 정책이 바뀐 것 같습니다.

      ㆍ마지막으로 베이직이 아니고 초이스플러스
      등급을 이용한다면 홈페이지 사이트자체를
      여러개 개설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베이직에서는 하나의 도메인만 연결이 가능하지만 서브도메인을 만들어 여러 개의 사이트 운영이 가능합니다.
      Plus 이상에서는 사이트를 무제한 연결이 가능하므로 여러 개의 사이트를 도메인을 달리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응답
    • 블로그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렴하게 괜찮은 웹호스팅(즉, 가성비가 좋은 웹호스팅)을 이용하려는 경우 Bluehost 공유호스팅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호스팅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위 상품(Bluehost VPS)이 더 적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공유호스팅의 최저가 상품인 Basic의 경우 도메인을 하나면 연결할 수 있습니다. Plus 등 나머지 플랜에서는 도메인을 무제한 연결이 가능합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how-to-create-a-subdomain-in-bluehost/

        Baisc 플랜을 이용하는 경우 라이브 채팅으로 연락하여 도메인을 변경해달라고 하면 변경해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만, 이 부분은 확인이 필요합니다.
        Plus 이상 플랜에서는 애드온 도메인으로 추가하시면 됩니다.

  7. 덕분에 블루호스팅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질문 드려도 될까요?

    알ftp로 ftp에 접속하면 이상한 폴더들이 많이 표시됩니다. public 폴더를 찾아서 클릭하는 것이 번거롭네요. 곧바로 public 폴더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을까요?

    응답
    • 안녕하세요?

      먼저 알FTP, 알집 등 알시리즈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유는 구글을 검색해보시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알집 대신 반디집이나 7-Zip, 알FTP 대신 파일질라 같은 좋은 무료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루호스트나 사이트그라운드에서 FTP에 접속하면 곧바로 public_html 폴더로 이동하지 않고 (아마) 해당 계정의 home 폴더로 접속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public_html 폴더를 찾아서 클릭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FTP 클라이언트의 북마크 기능을 사용하면 편리할 것입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blog/ftp-%EC%A0%91%EC%86%8D-%EC%8B%9C-%EC%9B%90%ED%95%98%EB%8A%94-%EB%94%94%EB%A0%89%ED%84%B0%EB%A6%AC%EB%A1%9C-%EC%89%BD%EA%B2%8C-%EC%9D%B4%EB%8F%99%ED%95%98%EA%B8%B0/

      응답
      • 하나만 더 물어봐도 될까요?

        블루호스팅에 업로드해야 할 파일이 엄청 많은데 시간이 너무 걸릴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자꾸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 안녕하세요?

        ftp를 통해 많은 파일을 업로드하려면 시간도 많이 걸릴 수 있고,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많은 파일을 올릴 때에는 폴더를 압축하여 ftp로 업로드한 후에 cPanel에서 제공되는 File Manager를 이용하는 편입니다.
        File Manager에서 압축 파일의 압축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ED%95%B4%EC%99%B8-%EC%9B%B9%ED%98%B8%EC%8A%A4%ED%8C%85-%EB%A7%8E%EC%9D%80-%ED%8C%8C%EC%9D%BC%EC%9D%84-%EB%B9%A0%EB%A5%B4%EA%B2%8C-%EC%82%AD%EC%A0%9C-%EC%97%85%EB%A1%9C%EB%93%9C-%EB%B0%B1%EC%97%85/

        이 방법을 이용하면 많은 파일이 포함된 폴더를 다운로드하거나 폴더를 삭제할 때에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멀티사이트에서 하위 블로그에 다른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Bluehost의 경우 공유호스팅 기준으로 최저가 상품에서는 하나의 도메인만 연결이 가능하므로 Plus 이상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멀티사이트에서 다른 도메인을 지정하는 것을 '도메인 매핑'이라고 합니다. 도메인 매핑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도메인을 애드온 도메인에서 추가할 때 Document Root를 멀티사이트의 기본 도메인의 Document Root 디렉터리로 지정해야 합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intermediate/how-to-map-wordpress-multisite-domain-mapping/

      멀티사이트를 이용하면 여러 개의 사이트를 하나의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관리 작업 부하가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멀티사이트를 별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블루호스트에서는 (최저가 상품을 제외하고는) 도메인을 여러 개 추가할 수 있으므로, 도메인을 추가할 때 고유한 디렉터리에 추가하고 개별적으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개별적으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경우 워드프레스 개수만큼 관리해야 하는 관리 부담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멀티사이트를 이용할지, 아니면 도메인마다 개별적으로 사이트를 설치할지 여부는 장단점을 고려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응답
      •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덕분에 방향을 잡을 수 있게 되엇습니다.

        씨패널이 완전 신세계네요.

        행복한 주말되세요.

    • 블루호스트 쓰시면 굳히 멀티사이트 만들 필요없이 별도로 만드시면 됩니다.
      너무 싼 상품만 아니면 메인 도메인 상품과 별도로 도메인으로 매핑해서 쓸 수 있고요.
      한 서버 공간 안에 있다뿐이지 사실 전혀 무관한 워드프레스 2개 아주 쉽게 운영합니다.

      이 작업이 제 경험상은 블루호스트가 제일 편했던거 같습니다. 워드프레스 생성은 거의 초단위고...
      두 개 만들어도 딱히 부하나 그런건 느껴지지 않고 말이지요.

      암튼...다 좋은데 저는 2년만에 첨으로 72시간 이상 서버다운을 경험하고 있네요.
      개인 취미생활이 아니라면 vps 이상 쓰세요. vps 라고 꼭 완벽한 것은 아니지만 그나마 다 났습니다.
      그리고...100불 미만짜리 상품도 백업서비스 있는데 반드시 신청해서 쓰세요. 저희는 정식오픈 전이라 안했는데
      아주 호되게 당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요즘 서버다운으로 3일간 매일 라이브챗을 했더니 2개월 프리 줬네요.
      암튼 블루호스트가 제일 나은 업체 중에 한 곳인데 요즘 좀 문제도 있으니 여유가 되시면 vps 이상 쓰세요.

      응답
      • 개인적으로도 멀티사이트 보다는 개별적으로 도메인을 연결하여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연결해야 할 사이트가 많은 경우에는 멀티사이트를 이용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의 워드프레스 설치로 여러 개의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멀티사이트로 연결할 경우 나중에 개별적으로 이전하려면 쉽지 않을 수 있고, 이상한 오류를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멀티사이트를 지원하지 않는 플러그인도 있고, 멀티사이트용 플러그인은 가격도 비싼 편입니다.ㅠㅠ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가급적 멀티사이트를 이용하기 보다는 개별적으로 사이트를 설치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8. 항상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저는 어지간한 해외 호스팅은 수년 동안 거의 다 써봤습니다.
    이곳의 정보도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현재도 블루호스트를 쓰고 있는데 요점만 말씀드리겠습니다.
    제 경험상 가장 편리합니다. 서비스도 24시간 간단히 영어만 할 수 있으면 매우 좋은 편입니다.
    허나 공유호스팅은 배제하실 것을 강력 권고합니다.

    첫번째 이유는 수없이 뻑나는 메일서비스를 들고 싶네요.
    지난 2년가까이 블루호스트를 썼는데 저는 주로 썬더버드에 연결해서 씁니다.
    거짓말 없이 그동안 간간히 연동이 안된 것이 1년에 20회 이상됩니다.
    오죽하면 블루호스트 계정으로 들어오는 메일은 다시금 지메일로도 포워딩을 해 놓고 사용 중입니다.

    요놈은 가끔씩 요상하게 메일이 튑니다. 데이터를 불러오지 못하는 상황이 되지요.
    기본적으로 블루호스트의 메일서비스는 정말 좋습니다. 데이터도 무제한이고요. 한국의 비용대비
    어머어마하게 저렴합니다.
    저희는 2년 전까지 약 3년 동안 한달에 4만원쯤되는 한국 메일서비스 상품을 썼는데 2년전에 과감히
    옮겼습니다. 암트 다 좋은데...제때에 안 날라올때가 있습니다. 썬더버드로...

    공유호스팅의 문제라 보여지는데 외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한다면 가끔은...아니 믿고 쓰기엔 부담될
    정도로 에러가 많다는점을 알아두세요. 물론 데이터가 완전히 소실되지는 않고 일시적인 연동의 문제
    라 보여집니다. 썬더버드에 없는 시점에 지메일안으로는 포워딩되어 있습니다. 궁합의 문제인 것인가
    도 의심이 들지만 다른 어플도 비슷합니다.

    두번째 문제점...제일 중요한 요소인데 웹에서 공유호스팅은 매우 불안정합니다.
    ###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2일째 블루호스트 공유 서버가 죽었습니다. ###
    그동안 라이브 챗을 약 5회 진행했습니다. 마지막 사람이 약 1개월의 프리 서비스 기간을 연장해 주었
    는데 문제를 왜 해결못하는지 이해 못 할 정도입니다.

    cpanel 접속이 불가능하고 FTP 접속 불가능 / 메일 / 웹 다 죽었습니다.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웹서비스는 지난 2년동안 거의 쓰지 않았습니다. 사실 메일용도로 더 많이 썼고
    이번에 새로운 사이트를 준비하면서 처음으로 제대로 2개월간 테스트해봤습니다. 해당 서버에 그누보드
    XP제로보드, WP까지 모두 테스트를 했고...솔루션때문에 WP로 만들었습니다. 이제 국산들이 따라가기
    힘들게 WP가 좋아지는 듯합니다.

    암튼...저도 2년 사용하면서 이런 경우는 처음인데 지난 2개월간 집중적으로 테스트해보니 간혹 수시로
    느려지기는해도 죽지는 않았었는데 이번에 처음 죽었습니다. 완벽하게 말이지요.

    22일부터 메일서비스가 이상했고...25일 오전 서버다운...그리고 26일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참 낭패인 것이 이런일이 생기리라고는 생각못해서 약 2개월간 준비했던 회사사이트를 백업해두지
    않았습니다. 워드프레스로 만들었는데 실상 어제가 오픈 데이였는데 죽었죠. T.T

    몇가지 페이지를 다소 수정하고 오픈 전에 최종 결과물을 백업하겠다고 한 것이 난리를 치르고 있습니다.
    오픈하고 vps 나 독립서버로 옮기려했는데 단 하루 차이로 이틀째 아무것도 할 수가 없네요.

    블루호스트의 입장은 안심하랍니다.
    데이터가 소실될 위험은 없다고...정말인지는 아직 알수 없습니다.
    암튼 여러분 블루호스트 쓰신다면 무조건 vps 이상 쓰십시오. 그게 답입니다.

    이렇게 단점을 얘기했는데 그럼 저는 떠날 것인가?
    애석하게도 저에게 이런 시련을 안겨주고 있으나 그나마 이 블루호스트가 제일 좋습니다.
    씨패널 편하고 PHP 업그레이드나 메모리 조정도 유리하고 메일서비스 통크게 지원하고
    HTTPS 무료인 점과 서브도메인 및 같은 서버에 별도 싸이트 추가하는 것도 이 놈만큼
    현하게 하는 것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매우 편리합니다.

    암튼 저는 이 고생을하고 있으나 결국은 블루호스트에 남을 것입니다.
    아마도 VPS로 바로 바꾸거나 독립서버로 옮기게될 듯 합니다.
    다른 대안이 있으면 좋은데 아직 못 찾았습니다.

    아마존도 오래 테스트했었고...지금도 네이버 클라우드 2년째 커뮤니티 사이트 쓰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결과적으로 그닥 싸지 않고 일일히 설정해 줄께 참 많죠. 잘쓰면 좋은데 매우 번거롭
    습니다.

    네이버는 아마존과 유사하나 기능이 한참 멀었고...대신 속도나 편의성은 괜찮습니다. 죽은 적
    은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암튼 좋은데 비싸죠. 네이버는 저는 한달에 10만원쯤 냅니다.
    전문적으로 서버셋팅하고 관리할꺼아니면 네이버는 불편할 수 밖에 없고 아직은 기능적으로
    아마존에 대적할 수 없죠.

    고도몰 / 카페24 기타 등등 국내는 수없이 써 봤는데 기능이 제한되고 가격면에서 부가서비스
    면에서 답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이트에 Https 하나만 달려고해도 다 돈이고 시간도 걸리고

    여러분 해외 사이트를 쓰시려면 블루호스트 추천하지만 공유호스팅은 싸다고 쓰지 마세요 T.T
    vps부터 시작하시길 강추합니다.

    응답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Bluehost VPS가 확실히 안정적이고 지원도 좋은 편입니다.

      회사 사이트이고 중요한 사이트라면 VPS 플랜이 더 적합할 것 같습니다. 다만, 비용이 부담이 될 수가 있겠죠. (사실 국내의 비슷한 상품과 비교하면 매우 저렴한 편이지만 이런 비용을 아까워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 블로그는 VPS에서 호스팅되고 있지만, 저는 공유호스팅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별다른 문제 없이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ㅎㅎ

      (공유호스팅와 VPS 이상 상품 중에서 어떤 상품을 이용할 것인가는 기대치에 따라, 중요도에 따라 결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중요한 사이트라면 비용을 많이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이메일의 경우 블루호스트 내의 cPanel에서 제공하는 웹메일에서 확인했을 대 메일이 들어와있지만 썬더버드에서는 수신되지 않는다면 썬더버드 문제 같습니다. 만약 cPanel 내의 웹메일 툴에서도 메일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블루호스트 문제이거나 다른 문제처럼 보입니다.

      메일을 보내면 100% 간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지메일이나 네이버 메일로 보내면 못 받았다고 하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저는 outgoing server를 지메일로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지메일로 보내면 안 들어온다고 하는 경우도 있고요.

      카페2* 같은 국내 호스팅을 이용할 경우 웹에서 컨택트 폼을 통해 보내면 메일이 안 들어 오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저도 실제로 경험했도 또 이런 문제를 호소하는 분들을 자주 봅니다.)

      메일이 안 들어오는 문제는 복합적인 것 같습니다.

      여유가 된다면 사이트그라운드가 더 안정적이고 지원도 매우 신속하고 적극적입니다. 다만, 블루호스트보다 비용이 비싼 편입니다.

      또 하나는 공유호스팅을 이용하는 경우 방문자 수가 일정 수준 이상 늘어나면 사이트가 느려지고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VPS나 더 높은 상품을 이용해야 할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응답
      • 답글 고맙습니다.
        테스트 기간이라 돈을 좀 아낀다는 것이 난생첨 낭패를 당하네요. 그럼에도 블루호스트는 매우 저렴하고 좋은 서비스죠.
        저희는 이번에 최상위 상품에 적당한 트래픽의 싸이트 3개 정도를 돌려보려했는데 이 낭패를 경험 중입니다.

        사실 공유서버는 함께 쓰는 또 다른 사용자들을 잘 만나는 것도 복 같네요. 제재를 한다해도 트래픽이 몰린 다음이니까요.

        암튼 블루호스트는 몇 개정을 썼는데 이번 경우는 처음입니다. 그리고 외부 메일 솔루션은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비슷합니다. 윈도우 아웃룩 익스프레스부터 테스트했는데 순간순간 느릴때가 있네요.

        보시는 분들 참고가 되시고 항상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 블루호스트 현재 문제가 심각하네요.
      혹시나 했는데 일주 서버에서
      큰 사고가 있는것 같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하네요
      https://downdetector.com/status/bluehost

      응답
      • 이번에 일부 서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과거 기록을 살펴보니 작년과 올해 초에는 별 문제가 없었던 것 같네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는 없지만, 문제가 발생했을 때의 대응도 중요한데요.
        블루호스트는 그런 측면에서 조금 아쉬운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가급적이면 백업을 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5년째 매월 1~2차례 전체 백업을 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한 번도 사용한 적은 없지만요.)

        아무쪼록 문제가 잘 해결되기를 바랍니다.

        저는 간혹 잘못된 코드를 추가하거나 플러그인 문제로 트래픽이 급증하여 사이트가 다운되는 문제를 경험하곤 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server-has-been-down-due-to-cpu-usage/

        처음에는 트래픽이 급증하는 이유를 파악하지 못해 하루 이상 서버가 다운되기도 했지만 이후부터는 (학습효과 때문에) 트래픽이 급증했다는 말을 지원 담당자에게 들으면 최근에 추가한 코드나 최근에 설치/업데이트한 플러그인을 제거하여 쉽게 사이트를 복구할 수 있었습니다.

  9. 안녕하세요 블로그를 보며 항상 많은것을 얻어가는 사람입니다

    원래 페24에서 파워업광무제한호스팅이라는 무제한 트레픽을 주는 상품을 사용해봤었는데요

    이번에 새로 사이트를 만들려고 다른 업체를 찾아보던중 bluehost에 vps, wp pro 라는 상품을 여기서 보게됐어요

    구글 에널리틱스로 봤을때 하루 세션(사용자)이 5만에서 많게는 7만 정도 나오는 사이트를 만들려고 할때

    blue host의 vps상품이나 제가 워드프레스로 만들려고 하기 때문에 wp pro. 둘중하나로 선택해도

    괜찮은 선택일까요? 트레픽 무제한과 속도가 느려지지 않는것이 중요하여 자문 구해봅니다

    이 블로그를 통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댓글을 빌어 항상 감사하다는 말씀 전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하루 5만 ~ 8만 세션이면 꽤 규모가 있는 사이트 같네요.

      이 부분에 대해 블루호스트에 문의해보니 VPS Enhanced 상품을 추천해주네요.

      BH: As of your client is expecting session 50,000 to 70,000 they should go with VPS or Dedicated hosting.
      Word: There are three plans in VPS: Standard, Enhanced and Ultimate. Standard or Enhanced will be acceptable?
      BH: Yes, and it would be recommended to go with VPS enhanced plan.

      VPS나 전용 호스팅으로 가야 한다고 하고, 구체적으로 VPS Enhanced 플랜을 선택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사이트를 제작할 때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사이트가 가벼우면 리소스를 적게 소모하면서 빠른 속도가 가능하지만, 사이트를 무겁게 만들면 예상보다 더 많은 리소스가 필요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단순히 설명을 보면 WP pro가 속도가 빠르다라고 되어 있지만, VPS와 비교하여 더 빠른지에 대해서는 모르겠습니다.

      속도는 사용하는 테마, 플러그인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대적인 것 같습니다.

      이 블로그에 Bluehost VPS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VPS의 속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전문가가 아니고 일반 사용자로서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한 것이기 때문에, 전문가가 사이트를 만든다면 속도가 더 빨라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또, 구글 애드센스 같은 광고를 붙이지 않으면 속도가 훨씬 더 쾌적해질 것입니다.)

      서버 튜닝이 가능하다면 VPS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VP pro는 Root 권한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정교하게 서버를 세팅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응답
  10. 안녕하세요! 우와... 너무나도 정리가 잘 된 블로그를 보고, 글들을 보면서도 아직 3일째 결정 장애를 격고 있어서, 조언을 구한 후에 최종적으로 선택을 하고자 해서 댓글 올립니다. 저는 수리하는 IT기술을 가지고 네이버 블로그만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상업적인 블로그이구요. 그런데 네이버 특유의 폐쇄성과 늘지 않는 방문 유입수, 그리고 수많은 경쟁으로 인해... 너무 많은 수고(?)고 인한 기회 비용 낭비라는 생각과 동시에... 정식으로 싸이트를 만들고, 구글 및 네이버 광고를 통해 유입수 증가와 매출 증대를 하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워드 프레스를 이용해서 홈페이지를 구축한 후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포스팅으로 홈페이지로 유입시키는 랜딩 페이지(?) 형식만 취할 것인지... 아니면 블로그의 형태를 띄고 홈페이지 역할까지 겸하는 스타일로 만들지를 고민하고 있어요. 어떤 형식이 좋을지 조언을 주실 수 있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저의 업종 특성상 블로그 포스팅을 할 때 사진과 영상이 많이 들어갑니다. 사진이야 1920 크기로 올라가니 크게 용량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카메라로 촬영한 동영상은 3분 가량의 영상이 주를 이루는데 편집을 하면 500MB~1GB 정도 용량을 차지하거든요. 그렇다보니 용량 때문에 어떤 호스팅을 사용해야 할지가 주된 고민입니다. 처음에는 Bluehost 공유호스팅을 생각하고 있다가.. 속도가 느릴까봐... SiteGround가 좀 더 안정적이라는 작성자님 글을 보다보니 마음이 가기는 하는데.. 저장용량 제한이 큰 걸림돌이 될 것 같은 생각이 들더라구요. 과연 저의 상황에 맞는 상품이 어떤걸까요? ㅎㅎ 현재까지는 Bluehost VPS로 마음이 가 있기는 합니다만... 긴 질문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견을 기다리겠습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1. 동영상을 웹호스팅 서버에 올리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동영상은 엄청난 트래픽을 유발하기 때문에 일반 웹호스팅(공유호스팅)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습니다.
      유튜브에 올려서 공유하는 형식이 일반적입니다.
      공개가 되어서는 안 되면 비공개로 올리면 됩니다. 다만, 비공개 유튜브 영상도 링크를 알면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러 누가 공유하지 않으면 보통 사용자는 비공개 동영상의 링크를 알 수가 없습니다.

      2. 포스트를 네이버 블로그와 워드프레스에 동시에 올려도 됩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네이버에만 보통 노출되고, 워드프레스는 구글에 잘 노출되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3. 저렴하게 시작할 경우 블루호스트를 선택하시면 되고, 속도와 편의성 측면은 사이트그라운드가 우위 같습니다.
      Bluehost VPS는 공유호스팅보다는 한 단계 위 상품입니다. 현재 이 블로그가 Bluehost VPS를 이용 중입니다.
      처음 사용자 유입이 그리 많지 않으면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도 괜찮을 것입니다.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응답
      • 올려주신 댓글로 어느 정도 방향을 잡을 수 있게 되어서 감사드립니다. 사이트크라운드로 가도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1일 방문자 수가 엄청나게 많은 업종이 아닌데다, 영상 크기도 제 생각에는 크지 않다고 생각해서 과다한 트래픽 유발에 대해서는 걱정을 하지 않았었는데, 그게 쌓이다보면 무시 못하겠구나 라는 생각도 듭니다. 유튜브에 올려서 워드프레스로 만든 사이트에서 링크를 걸면 썸네일이 보이겠지요? 그렇다면 가장 좋은 대안이 될 수가 있겠네요.

        동영상을 올리는 상황에 대한 질문 하나만 더 드릴께요. 유뷰브에 공개가 되어서는 안되는 영상은 아니지만.. 내 공간에 올라가 있지 않잖아.. 라는 막연한 불만(?)이 있습니다. 그래서 해 본 생각이... 제가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Synology NAS에 올려서 링크를 거는건 어쩔지요? 기가 인터넷이라 속도는 괜찮게 나온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접속 안전성이라던지 여타 장애 상황을 가정하면.. 그래도 대안은 유튜브일까요?

      • 유튜브에 올리고 링크로 삽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다음 글에서 방법과 예시가 나와있으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make-youtube-and-vimeo-vides-responsive/

        저는 링크된 방법으로 항상 유튜브 영상을 삽입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Synology NAS에 올려서 링크를 거는 것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지만, 시도해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유튜브 하는 분들이 동영상을 백업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간혹 봅니다. 그런 사태에 대비하여 이중으로 백업해놓으면 혹시 문제가 발생해도 복구가 가능할 것입니다.)

        유튜브를 비공개로 올려서 유료 인강 사이트를 운영하는 유명한 해외 사이트도 있습니다. YouTube를 이용하는 것이 보통의 방향 같습니다.

      • 몇 일간의 선택 장애에 대해 훌륭한 답을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얼른 시작을 해야 하는데 발목 잡고 있던 부분이 해결되니 속이 후련하네요. ^^ 오늘도 즐거운 기운 가득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 목수의꿈님도 행복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다음 네이버 카페에서 홈페이지, 웹호스팅, 워드프레스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워드프레스 사용자들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궁금한 사항을 질문할 수도 있습니다.

        https://cafe.naver.com/wphomepage

    • 도움 주신 덕분에 최종 결정하고 도메인 구입 및 호스팅 선정했습니다. SiteGround GrowBig으로 최종 선택했습니다. Bluehost와 정말 갈등 많이 했었는데.. 접속 안정성 및 혹여나 나중에 마음에 안들어서 타 호스팅으로 마이그레이션 해야 하는 등의 힘겨움을 격기 싫어서 결정한 선택입니다. ^^ Word님 블로그 링크를 통해 가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알려주신 카페도 가입해서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응답
      • 감사합니다~~

        사이트그라운드와 블루호스트에서는 라이브 채팅으로 지원을 제공합니다. 문제가 있는 경우 라이브 채팅으로 지원을 요청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어 때문에 커뮤니케이션에 불편함을 겪는 경우 알려주시면 콩글리쉬지만 도움을 드릴 수 있다면 도와드리겠습니다.ㅎㅎ

        사이트그라운드에서 테마 데모 설치 시 오류가 발생하면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B%8D%B0%EB%AA%A8-%EC%84%A4%EC%B9%98-%EC%8B%9C-%EC%97%90%EB%9F%AC%EA%B0%80-%EB%82%98%EB%8A%94-%EA%B2%BD%EC%9A%B0/

        그럼,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 현재 호스팅 계약하면서 질문 하나 드립니다. 계약 기간인데요 1년 계약하면 월 $5.95인데요. 계약 기간이 끝나고 갱신하면 원래 가격인 $19.99 청구되는건가요? (아무래도 그럴 것 같지만.... ) 만일 2년이나 3년 했다가 나중에 서비스가 마음에 안들어 해지하고 다른데로 옮기게 될 경우 환불이 가능한가요? (원래 가격 기준으로 일할 계산 할 것 같긴 합니다만.. ㅎㅎ) 어떻게 계약하는게 유리할까요~

      응답
      • 저는 사이트그라운드에 처음 1년짜리를 가입했다가, 계약 기간이 만료되기 약 20일 전에 2년짜리를 새로 가입하고 사이트를 하나씩 새로운 계정으트로 이전했습니다. (3년 계약하고 싶었지만 비용 부담 때문에 2년으로 했습니다.)

        사이트를 1~2개 정도 운영하는 경우 이런 방법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도메인을 여러 개 연결하여 여러 개를 운영하는 경우 이전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전 2년 약정이 만료되면 귀찮아서 그냥 사용할까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1~2년 동안 사이트그라운드를 사용하다가 계약 기간이 다 되어 가면 블루호스트로 이전하는 것도 한 방법 같습니다. 아무래도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2~3년 계약한 후에 몇 개월 사용하다가 마음에 안 들어 해지할 경우 환불이 안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개인용 사이트인 경우에는 저렴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에 가입하여 WPML 플러그인 테스트용으로 운영하는 블로그가 하나 있습니다.

        https://iwordpower.com/

        속도가 어떻게 느껴질 지는 모르겠습니다. (여기에도 지인의 사이트를 비롯하여 여러 개의 사이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속도는 웹호스팅이 일정 부분 먹고 들어가는 부분이 있고, 이외에 사용하는 테마, 플러그인, 사이트 최적화 등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 알려주신 위의 싸이트 PC와 모바일 모두 속도가 느리다는 느낌이 전혀 없네요. 말씀주신 내용 참고해서 결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사이트 속도는 말씀드렸듯이 호스팅 외에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최적화되지 않은 무거운 테마를 사용하고 많은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습니다.
        사이트를 느릴 수밖에 없도록 만들면서 워드프레스가 원래 느리네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를 참고하여 신중히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11. 이제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에서도 PHP 7.2를 지원합니다. 새로 가입하는 경우 PHP 7.2가 기본적으로 적용됩니다.

    다음 글을 참고하여 PHP ini 환경 설정값을 높이시면 원활하게 워드프레스를 운영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EB%B8%94%EB%A3%A8%ED%98%B8%EC%8A%A4%ED%8A%B8%EC%97%90%EC%84%9C-php-%EB%B2%84%EC%A0%84-%EB%B3%80%EA%B2%BD%ED%95%98%EA%B8%B0/

    응답
  12. 안녕하세요.
    현재에도 블루호스트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해외서버인데 블로그 속도가 엄청 빨라서 놀랍습니다.

    사실 저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스마일서브를 사용해서 운영하고 있는데..
    속도가 너무 느려서 서버이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혹시 블루호스트를 현재에도 사용하고 계신다면 어떤상품을 사용하시는지 알수 있을까요?
    현재에도 VPS 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 블로그 속도 빠르게 하는 팁좀 주세요!! ㅠㅠ
    구글 에드센스 때문인건지.. 속도가 안나오네요 ㅠㅠ

    응답
    • 안녕하세요?

      블로그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현재에도 Bluehost VPS를 사용 중입니다.

      사실 최근 이 블로그에 사용되고 있는 테마가 업데이트되면서 속도가 느려졌다는 평가가 있어서 내년 중순에 호스팅이 만료되면 비용은 비싸지만 속도가 더 좋은 Siteground Cloud 호스팅으로 이전할까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속도가 빠르게 느껴진다고 하시니 현재 상태로 계속 유지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는 처음 Bluehost Shared Hosting을 이용하다가 속도 때문에 VPS로 바꾸었습니다. 처음 가입할 당시 Shared Hosting이 불안한 측면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많이 개선된 것 같습니다. 며칠 전에 카페2*에서 Bluehost Shared Hosting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도와준 적이 있는데, 새로 Bluehost에 가입하는 경우 공유호스팅에서도 PHP 7.2까지 적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기존 Bluehost 계정에도 며칠 내로 PHP 7.2 적용이 가능해진다고 하네요.)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EB%B8%94%EB%A3%A8%ED%98%B8%EC%8A%A4%ED%8A%B8%EC%97%90%EC%84%9C-php-%EB%B2%84%EC%A0%84-%EB%B3%80%EA%B2%BD%ED%95%98%EA%B8%B0/

      PHP 7.2 버전을 적용하고 궁합에 맞는 캐시 플러그인 등을 사용하면 공유호스팅이라도 속도가 그리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사용자 접속자 수가 많다면 VPS나 혹은 전용호스팅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 속도는 많은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괜찮은 호스팅과 가벼운 테마, 그리고 캐시 플러그인, 최적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속도를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캐시 플러그인에는 다양합니다. W3 Total, WP Super Cache, Hyper Cache, WP Rocket 등... 저는 W3 Total Cache를 사용하다가 테마를 변경한 후에 캐시 문제가 발생하여 현재 Hyper Cach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published-posts-not-showing-issue-in-wordpress/

      여러 가지 캐시 플러그인을 테스트하여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캐시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의도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캐시 플러그인을 적용한 후에는 사이트를 잘 관찰하여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다른 캐시 플러그인으로 바꾸어볼 수 있습니다. WP Rocket은 유료 캐시 플러그인으로 무료 캐시 플러그인보다는 1~2초 정도 속도 향상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사이트 속도가 개선되지 않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용은 제법 들 수 있지만 HTTP 요청을 줄여서 사이트 속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경우, 저는 PC 기준으로 개별 글에 2개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사이드바에 있는 광고를 삭제하고 자동 광고 코드를 제거했습니다. 이 때문에 광고 수익이 약 27% 정도 하락했습니다. (모바일에는 자동 광고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2018%EB%85%84-11%EC%9B%94-%EB%B8%94%EB%A1%9C%EA%B7%B8-%EC%9A%B4%EC%98%81-%EB%90%98%EB%8F%8C%EC%95%84%EB%B3%B4%EA%B8%B0/

      광고 개수를 달리하면서 속도 체크를 하여 적당한 광고 개수를 결정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응답
      • 저도 블루호스트로 만약 이전하게 된다면
        서버관리를 하기는 일이 많아져서 Shard Web Hosting 으로 할것 같습니다.
        Basic, Plus, Choice Plus 가 있던데..
        혹시 이전에 이전을 대행해주셨던 블로그는 어떤 플랜을 사용했나요?
        또 너무 용량을 많이 사용하면 제재한다는 말도 있는것 같아서 걱정되네요 ㅠㅠ

      • 이전을 도와준 사이트는 Basic 플랜이었습니다. Basic 플랜은 1개 도메인만 연결할 수 있고 스토리지가 50G 제한이 있습니다.
        사이트 하나만을 운영할 때 괜찮은 옵션 같습니다.

        저는 별도로 Plus 플랜을 이용하는 사이트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Plus 플랜은 공간 제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사용에 대해서는 경고를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avada.tistory.com/344 참고해보세요.

        방문자 수가 많아지는 경우 느려질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VPS 등 상위 상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최적화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크기도 최적화하고 캐시 플러그인 등을 사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Bluehost VPS는 관리형(Managed) 서비스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면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Panel이 제공되기 저처럼 리눅스 서버에 대한 지식이 제한적이더라도 서버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3. 안녕하세요 늘 포스팅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mag테마를 사용하다가 포스팅을보고 계속 고민중에 avda를 구입했습니다.
    그런데 하루1500명 정도 오는데 카페24 비지니스 버전의트래픽을 다 소진해버립니다..기존에는 1500명이 와도 절반저도 밖에 사용하지 않았는데요..혹시 현재 제아바다 테마의 셋팅에 문제가 있는것인지 아니면 이정도 사용되는게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cafe24의 호스팅 도메인을 블루호스팅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참고할 포스팅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항상 좋은 포스팅 감사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카페24의 비즈니스 플랜의 경우 웹 트래픽이 월 2.5GB입니다.
      방문자를 산정하는 방식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요.
      세션으로 따지면, 제 블로그의 경우 1세션(=1방문)당 약 0.7MB의 트래픽이 소진됩니다.
      세셩, 방문자 등의 개념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EA%B5%AC%EA%B8%80-%EC%95%A0%EB%84%90%EB%A6%AC%ED%8B%B1%EC%8A%A4-%EC%84%B8%EC%85%98%EA%B3%BC-%EB%B0%A9%EB%AC%B8%EC%88%98-%EC%82%AC%EC%9A%A9%EC%9E%90%EC%99%80-%EB%B0%A9%EB%AC%B8%EC%9E%90%EC%88%98/

      말씀하신 사이트의 정확한 방문자당 트래픽을 알 수는 없지만, 방문자당(아마 Visitor가 아니라 Visit의 개념일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0.5MB를 잡아보면

      0.5MB/명 * 1500명/일 * 30일 = 22.5GB

      페24의 비즈니스 플랜의 경우 웹 트래픽이 월 2.5GB이므로 Visit당 0.5MB로 산정했을 때에는 그리 과도한 수준은 아니지만, 아바다 테마가 다른 테마보다는 확실히 무겁다는 느낌을 갖습니다.

      이전하는 경우 Duplicator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intermediate/duplicate-the-wordpress-site-with-duplicator/

      Bluehost 공유호스팅은는 비교적 괜찮은 리소스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상품 같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introducing-bluehost/

      응답
  14.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내용을 조금 업데이트했습니다.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은 저렴한 비용에 비교적 괜찮은 리소스를 이용하려는 경우에 적합한 것 같습니다.
    - 무료 SSL 제공
    - 첫 해에 무료 도메인 이름

    이 블로그가 이용 중인 VPS(가상 서버 호스팅)은 쉐어드 호스팅보다 상위 상품으로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 고려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블루호스팅에 가입하는 경우, cPanel 인터페이스가 기존 것과는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공하는 기능은 동일하고 겉모습만 바꾸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

    응답
  15. 참고로 Bluehost나 SiteGround 등에서는 cPanel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cPanel의 기본 언어는 영어입니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한국어로 cPanel의 언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블루호스트( https://www.thewordcracker.com/go/bluehost )의 경우 cPanel > preferences > Change Language에서 언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이용 중인 공유호스팅 계정에서 cpanel 언어를 변경하니 잘 적용이 안 되네요.ㅠㅠ
    - 사이트그라운드( https://www.thewordcracker.com/go/siteground )의 경우 cPanel > ADVANCED > Change Language에서 언어를 한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그라운드에서는 UI 언어가 잘 변경이 됩니다. 다만, 사이트그라운드에서 직접 제공하는 기능은 영어로 표시됩니다.

    응답
  16. 안녕하세요~ 좋은 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워드프레스를 사용하여 어필리에이트를 할 계획을 세우는 중인데요. 이러한 경우 블루호스트를 가입하는게 더 효율적이고 적합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다른 웹 호스팅 사이트를 보면 c-panel 같은 프로그램?이 없는 것 같던데 블루 호스트는 해주더라구요. 이 c-panel이 저같은 초짜에게 유용하게 사용될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cPanel이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의 일반 웹호스팅에서는 웹호스팅 업체 계정에 로그인해도 별로 할 작업이 없습니다.
      하지만 cPanel이 제공될 경우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몇 년 동안 사용하다 보니 씨패널에 익숙해져 있어서 오히려 씨패널이 더 편리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몇 개 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기능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잘 사용하지 않게 될 수 있습니다.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은 가성비 측면에서 괜찮은 것 같습니다. 성능과 편의성이 더 뛰어난 호스팅을 원한다면 사이트그라운드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해외 호스팅: 블루호스트와 사이트그라운드 비교
      http://avada.tistory.com/219

      응답
      • 유익한 댓글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즉, native advertising는 광고를 삭제하는 기능을 막는 광고 기법이기에 사람들이 보므로 수익이 일어난다는 것이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좀 다른 이야기인데요, 올려주신 월 2.95달러의 블루호스트 호스팅은 계약을 하게 되면 3년간 무조건 써야 한다는 이야기인가요? 아니면 계속 블루호스트만 쓰게 되면 중간에 다른 상품으로 업그레이드 해도 상관이 없다는 이야기인가요? 감사합니다!

      • 예를 들어, (제가 이해하기로) 어떤 사람이 커피 머신에 대해 해박한 지식이 있어서 커피 머신에 대한 심도 있는 글로 인지도가 높아지면, 어떤 물품을 소개하거나 서비스를 소개하여 수익을 올리는 방식 같습니다.

        사용자들은 해당 글이 광고인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가 좋은 것 같습니다.

        블루호스트( https://www.thewordcracker.com/go/bluehost )는 처음 가입할 때 1년, 2년, 3년 중에서 선택이 가능할 것입니다. 중도에 공유호스팅 내의 다른 상품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한지는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공유호스팅보다 한 단계 높은 상위 플랜(예: VPS)으로는 확실히 가능할 것입니다. 저는 공유호스팅을 사용하다가 VPS로 업그레이드했습니다.

        만약 중도에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면(가능한지는 확인이 필요함) 처음부터 해당 상품을 선택한 것보다는 월 1달러를 더 부담하지 않을까 추정됩니다. (확실치는 않습니다.)

        저는 공유호스팅으로는 Plus 상품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는 VPS입니다.) 도메인을 여러 개 연결하여 사용하려면 Plus를 선택하는 것이 확실히 이익입니다. 카페2*와 같은 국내 호스팅에서는 도메인마다 사이트를 운영하려면 도메인마다 호스팅을 가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더 많이 나오게 됩니다.

        하나의 도메인만을 사용할 생각이라면 basic 상품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만, 분명 다른 상품보다는 제약은 있을 것입니다.

      • 그렇군요, 소중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근데 보통 어필리에이트를 시작하기 위해선 머천트들이 모여있는 사이트 같은 곳에 가입을 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asp 사이트에서 광고주와 계약을 맺고 그와 관련된 광고 글을 기재해서 올리면 seo?에 의해서 사람들에게 더 쉽게 보여지는건가요? 흔히 저희들이 접할 수 있는 페이x북 같은 sns 사이트들에 떠돌아다니는 광고글을 asp 글이라 봐도 무방한 것인가요. 사이트들을 돌아다녀 보아도 어떤게 asp의 광고글인지 분간이 안가서 말이죠..ㅠ

      • 저는 링크 프x이스를 이용하지 않아서 링크 프x이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바가 없습니다.

        전, 구글 애드센스 배너 광고를 달고 있는데요. 구글 애드센스는 아마 가장 수익이 낮은 형태의 광고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장이 두근거려 이렇게 댓글 남깁니다.
        아니, 제가 블루호스트 베이직 링크 걸어주신 곳으로 정보를 입력하고 직불을 했는데 한번에 11만 7000원이 빠져나갔네요허허헣헣 이거 원래 이런건가요? 월마다 지불하는게 아닌가요?

      •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해외 호스팅에서는 연간 단위 혹은 선택한 기간 단위에 대하여 청구됩니다.

        참고로 국내 호스팅도 카페2* 같은 경우 1개월/3개월/6개월/1년/2년/3년/10년 단위로 결제가 가능하네요. 기간에 따라 할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https://uploads.disquscdn.com/images/678ec6bd8526293c95068e816c25a0158b15b1d681e62aff2103add98cdd5cbc.jpg

        블루호스트의 경우 연간(혹은 선택한 기간) 동안 할인이 적용되는 대신 일시불로 결제되는 것 같습니다.

        또 다른 해외 호스팅 중 하나인 고대디( https://www.thewordcracker.com/go/godaddy )는 1개월, 12개월, 24개월, 36개월 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대신 가격차가 심하게 나네요.

        https://uploads.disquscdn.com/images/37021507bb48e9332a0a244921f60807a93b14b3bd5cdefec406127adb87b366.jpg

      • 결과적으론, 제가 비교적 저렴하게 호스팅을 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군요! 그런데 제가, 블루 호스트로 이것저것 결제를 하니 갑자기 워드프레스로 넘어갔는데 이게 설치형 워드프레스가 된 건가요? 설치형이 좋다고 해서 그걸로 하려 하는데 말이죠... 영 뭐가 뭔지 하나도 감이 안잡히네요.. ㅠㅠ

      • 대부분의 호스팅에서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 기능을 제공합니다.

        요즘은 곧바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주는가 보네요.

        도메인은 추가로 연결할 수 있고, 도메인마다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o-start-wordpress/ 글의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섹션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도메인에 대하여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cPanel에서 File Manager로 이동하여 wp-config.php 파일에 입력되어 있는 DB 정보를 메모하시고, 해당 폴더(아마 /public_html/ 폴더 혹은 도메인이 연결된 폴더) 내에 있는 워드프레스 관련 파일을 삭제하시고, cPanel > phpMyAdmin에 접속하여 해당 DB 내의 테이블을 모두 삭제하시면 됩니다.

        혹은 cPanel > MySQL로 이동하여 수동으로 DB를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런 부분은 조금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그냥 자동 생성된 DB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편할 것입니다.)

        이외에도 숙지하면 좋은 정보가 있습니다.

        무료 SSL 설치: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bluehost-%EA%B3%B5%EC%9C%A0%ED%98%B8%EC%8A%A4%ED%8C%85%EC%97%90%EC%84%9C-%EB%AC%B4%EB%A3%8C-lets-encrypt-ssl-%EC%A0%81%EC%9A%A9%ED%95%98%EA%B8%B0/
        (SSL을 설치하고 하루 정도 기다리면 정상적으로 적용될 것입니다.)

        PHP 버전 적용: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bluehost-%EA%B3%B5%EC%9C%A0%ED%98%B8%EC%8A%A4%ED%8C%85%EC%97%90%EC%84%9C-%EB%AA%A8%EB%93%A0-%ED%8F%B4%EB%8D%94%EC%97%90-%EB%8F%99%EC%9D%BC%ED%95%9C-php-%ED%99%98%EA%B2%BD-%EC%82%AC%EC%9A%A9/

        Bluehost 공유호스팅에서 PHP 설정 값 변경하기
        https://iwordpower.com/2018/01/bluehost-%EA%B3%B5%EC%9C%A0%ED%98%B8%EC%8A%A4%ED%8C%85%EC%97%90%EC%84%9C-php-%EC%84%A4%EC%A0%95-%EA%B0%92-%EB%B3%80%EA%B2%BD%ED%95%98%EA%B8%B0/

        애드온 도메인/서브도메인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how-to-create-a-subdomain-in-bluehost/

        이외에도 이 블로그의 검색 기능을 통해 다양한 글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의문사항이 있으면 여기에 문의하시거나 라이브 채팅으로 블루호스트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ㅠ 이게 자동설치 인줄은 모르겠는데, 그저 결제를 하고 도메인을 입력하고 그런 과정을 마치니 한동안 로딩되다가 워드프레스로 넘어가더군요.
        한가지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보통 다른 호스팅 업체들은 http://www.도메인.com/wp-admin 으로 해서 워드프레스로 가던데, 저같은 경우에는 도메인을 샀고, 웹 호스팅을 시작했음에도 저의 사이트를 치면 그곳으로 들어가지지 않습니다.

        블루호스트에서 뭐 블로그가 시작이되면 업데이트를 해주겠다? 라는 식의 메시지만 뜨고 그 외에는 없네요. 이건 좀 당황스러워서... ㅜ 죄송하지만 질문을 많이 드렸네요.. ㅠㅠ

      • 좋은 답변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네임 서버 변경했어요! 그래서 제 홈페이지인 fallpond.com 으로 접속해도 떠지더군요. 그런데 워드프레스 어드민으로 로그인하고 테마를 바꿔도 그게 적용이 되질 않습니다. 아마, 이것 때문인 듯 한데요. 블루호스트에 들어가면 라고 뜨네요. 그러면 이 말 뜻이 블루호스트에서 알아서 나중에 업데이트를 해준다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지금 사이트를 만지고 있는데 제 홈페이지에 적용이 안되고 요상한 도메인에 접속이 되서요. 흠.. 저 말이 대체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가네요 ㅠ.. 그래서 이렇게 염치 불구하고 질문을 드립니다...

        귀찮으시고 시간 없으실텐데 귀찮게 해 드려서 죄송합니다.. ㅠ

      • 현재 사이트는 정상적으로 나오네요. 다만, 사이트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Coming Soon("공사 중")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습니다.

        다음 글을 참고하여 플러그인 > 설치된 플러그인에서 Bluehost OptinMonster API를 “비활성화“해주면 제대로 표시될 것입니다.
        https://avada.tistory.com/1462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o-start-wordpress 글을 전체적으로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 방금전에 봤네요. 덕분에! 드디어! 홈페이지가 아주 약간? 홈페이지 구실을 하고 있네요. 동영상 강의를 다운받아 보긴 하는데, 흠.. 제가 원하는 블로그나 이런게 아닌 것 같아서요. SEO도 어렵구요.. ㅠ 공부를 해봐야겠습니다.

        소중한 정보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어, 홈페이지 다운 홈페이지를 개설? 하게 되었습니다! (짝짝) 허나, 아직 시작한지 얼마 안된 저에게 있어서 워드프레스는 너무 어렵네요.. ㅠ SEO, 댓글창을 어떻게 만들고 하는지 모르겠고, 제가 생각하는 블로그와는 다른 점들이 의외로 많아서요.. 하지만, 그래도 저에게 꽤나 큰 값이 이 워드프레스를 위해 지불된 만큼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만이 듭니다.

        도움이 되주셔서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자주 놀러오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선은 워드프레스 책을 하나 구입하여 보시면서 천천히 만들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조급하게 하다 보면 생각처럼 잘 되지 않아서 쉽게 지칠 수도 있거든요.

        즐거운 시간 되세요.

      • 참고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도메인을 타 기관에서 등록한 경우(예: 가비아, 카페24, 닷홈...),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해야 합니다.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하면 정보가 완전히 넘어가기 전까지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려는 경우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o-start-wordpress/

        사용하던 도메인을 연결한 경우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Bluehost의 네임서버 정보로 변경해주면 1~2일 이내에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될 것입니다.

        블루호스트의 네임서버는 다음과 같습니다. (혹시 모르니 블루호스트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Domains 메뉴 아래의 Nameservers 탭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ns1.bluehost.com
        ns2.bluehost.com

    • 참고로 워드프레스로 돈을 벌려면 네이티브 광고(native advertising)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네요.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사이트가 사라졌습니다

      저도 native advertising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지만 쉽지가 않네요.

      응답
    • 안녕하세요?

      블로그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예전에 그런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당시 123-456 형식처럼 예전 방식의 우편주소를 입력하니까 제대로 된 기억이 납니다. 어쩜녀 우편주소 데이터가 예전 우편주소 데이터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임의의 우편주소를 넣어서 진행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응답
    • 참고로 http://fastpost.oceanmate.co.kr/ 에서 우편번호를 검색하면 구 우편번호도 확인 가능하네요.

      https://uploads.disquscdn.com/images/aee9faf10a168cf24e887de8d2f3fc6da42f662b0c49cdae4287cceb165f3eb0.jpg

      응답
      • 우편번호는 덕분에 잘 해결했습니다. 결제 관련해서 궁금한게 2.95 a month 30개월이면 2.95 × 30 의 잔액이 계좌에 있어야 가입이 가능한가요? 어차피 매달 2.95달러씩 빠져나가는거 아닌가요?

      • 해외 호스팅에서는 대부분 일시불로 결제됩니다. 2.95달러 x30개월이면 약 88.5달러네요. 카드에 연결된 계좌에 10만 원 내외의 잔액이 있으면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VPS를 사용 중인데, 1년 단위로 결제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비용이 꽤 되는 편입니다.ㅠㅠ)

  17. 좋은 정보 받아만 보다가 간단한 질문 하나 드립니다. ^^ 글을 읽어 보면 해외 서버를 사용할 때 국내 서버와 속도 상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전 요즘 iwinv.net 호스팅 사용 중인데, 가성비가 너무 좋습니다. 앞으로 규모가 좀 있는(을) 웹사이트를 구축하려는데, 올려 주신 정보를 참고하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저렴하게 VPS를 이용하려면 비관리형을 선택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 블로그가 사용 중인 Bluehost VPS는 관리형으로 지원과 cPanel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같이 서버를 자체적으로 운영하기에 지식이 짧은 경우 괜찮은 옵션 같습니다.

      비관리형으로는 Vultr, Linode, Digital Ocean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개인적으로 경험해본 것 중에는 Vultr가 비교적 저렴하고 사양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p=34737

      응답
      • 속도는 사이트의 최적화, 서버 사양 등 여러 가지 요소가 복합적이라서 단정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는 문제 같습니다.

        국내 사용자들에게는 아무래도 국내에 서버가 있으면 더 빠를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을 가능성도 있을 것입니다.

  18. 안녕하세요. 항상 유용한 워드프레스 글들로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이번에 cafe24 호스팅플랜을 사용하다가 방문자와 트래픽이 하루 최대 30G까지도 올라가게 되면서 트래픽 무제한 호스팅을 찾아보게 되었는데요. 블루호스트에 대한 포스팅을 이 곳에서 본 적이 있어서 블루호스트로 옮겨갔습니다. ^^

    처음에는 공유호스트(Cloud starter)로 호스팅 플랜을 결제 했습니다.

    제 블로그에서 약 4,000명 되는 분들께 뉴스레터를 보내고 있는데요. NEWSLETTER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아마존 AWS의 SES(Simple Email Service)를 통해서 SMTP기능으로 대량발송을 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공유호스트의 경우는 SMTP 제한이 걸려 있고, dedicated IP를 가지지 않는 한 SMTP 사용이 불가하다고 상담원이 말씀주시더라구요. (근데 또 다른 상담원은 공유호스팅이나 VPS나 모두 SMTP 제한은 안걸려 있다고 말해주기도 했습니다.. 뭐가 맞는지 ㅠㅠ)

    그래서 VPS Standard로 호스팅 플랜을 옮겨 간 뒤,
    서버 cPanel에서 SMTP Restriction을 끄자 정상정으로 SMTP발송이 가능해졌습니다.

    다만, 궁금한 점은 공유호스팅를 사용하더라도, dedicated IP 1개를 구매(월 2.5달러 정도하러라구요 ㅎㅎ)하게 되면
    서버 cPanel에 들어가서 SMTP Resctriction을 끌 수 있는지인데요. 혹시 아시는게 있을까요?

    아무래도 VPS 요금이 부담되다보니 공유호스팅 요금제로 하고 고정 IP를 받아 뉴스레터를 발행하면서 사이트를 운영해보면 어떨까 싶어서요. 경험이 풍부하실 것 같아 공유호스팅이 좋을지, VPS가 좋을지 (사실, 저는 속도차이는 못느끼겠더라구요 ㅠ) 가감없이 의견 주실 수 있으실까요? 현재 사이트 방문자는 일 1,000명 이상 페이지뷰는 2,000뷰 정도 나오고 있는 규모입니다.

    바쁘시겠지만, 그 어떤 의견이라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블로그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블로그면 Bluehost 공유호스팅도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제가 처음 블루호스트 공유호스팅에 가입했을 때는 조금 불안한 면이 있었지만, 최근 공유호스팅을 이용하는 사이트를 관리해보니 예전보다 많이 안정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더 안정적인 서비스를 원하면 VPS가 확실히 낫겠지만, 앞서 말씀드린 대로 일반적인 블로그의 경우 공유호스팅도 괜찮다는 생각입니다.

      저는 블루호스트 SMTP 서버를 통해 메일을 발송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별도로 뉴스레터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유호스팅에서 SMTP 제한이 걸려있는지 여부는 상담원과 다시 상담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블루호스트 지원을 이용하면서 느낀 점은 상담원마다 지식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문제가 당장 해결 안 되면, 1~2시간 있다가 다시 연락해보면 다른 상담원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로 다른 해외 웹호스팅 업체인 Siteground에 확인해보니 Siteground 공유호스팅에서는 시간 당 40명에게 400통의 이메일을 보내도록 제한된다고 하네요.

      아마도 (확실하지 않지만) 스팸 발송 때문에 Bluehost도 공유호스팅에서는 메일 발송 제한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전용 IP를 구매할 경우 제한이 없어지는지는 다시 한번 상담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저도 시간이 되면 이 부분에 대해 블루호스트에 한 번 물어볼게요.)

      혹시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응답
      • 앗 word님 댓글 달아주셨었네요 🙂 네네 감사합니다~
        저 역시도 아직 사이트 규모가 크지는 않아 공유 호스팅으로 갔다가
        추후 VPS로 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word님 블로그처럼 많은 분들이 들어오는 블로그가 되면 좋겠네요 🙂

        저 역시도 블루호스트 라이브챗으로 도움요청을 많이 하는데요.
        상담사마다 말씀이 다를 때가 있어서 혼동이 오더라구요..

        뭔가 큰 변경을 할 때는 말씀주신 것처럼 여러 상담사에게 확인해보고 하는게 좋겠네요!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시간이 될 때 문의해서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저도 뉴스레터를 추후에 운영해볼까 고려하고 있었습니다. 추후에 뉴스레터를 운영하려는 경우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9. 위에서 언급했듯이 Bluehost 공유호스팅은 저렴하지만 초기에 조금 불안할 수 있습니다. 회사 홈페이지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테스트용이나 중요도가 떨어지는 개인 블로그용으로는 괜찮을 것 같습니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 블로그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Bluehost VPS( https://www.thewordcracker.com/go/bluehost )를 사용할 수 있지만 비용 부담이 될 것입니다.

    안정적인 공유호스팅을 원하는 경우 Siteground( https://www.thewordcracker.com/go/siteground )가 괜찮은 옵션 같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simple/blog/%EB%B9%A0%EB%A5%B4%EA%B3%A0-%EC%95%88%EC%A0%95%EC%A0%81%EC%9D%B8-siteground-%EA%B3%B5%EC%9C%A0%ED%98%B8%EC%8A%A4%ED%8C%85/ 참고

    Siteground의 경우 월 1만 세션, 월 25000 세션, 월 10만 세션(플랜에 따라)의 제한이 있지만 월 10만 세션을 넘기는 사이트는 별로 없을 것입니다.

    응답
  20.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카페 24의 퀵서버 호스팅 E3 352(SSD)
    http://bit.ly/2gXLlWN 제품과 비슷한 성능을 원하는데
    블루호스트에선 어떤 제품을 이용하면 좋을까요? 답변 부탁드려요 🙂
    감사합니다!!

    응답
    • 안녕하세요?

      방금 Bluehost 요금제를 확인하여 내용을 일부 수정하고 있었는데 코멘트들 주셨네요.

      대역폭을 기준으로 하면 VPS enhanced나 premium( https://www.thewordcracker.com/go/bluehost/ )이 비슷할 것 같고요, 디스크 공간을 기준으로 하면 Dedicated hosting이 비슷할 것 같습니다. 더 좋은 성능을 원하면 전용(Dedicated)이 낫겠지만 가성비로 보면 VPS가 좋다고 하네요.

      위의 글에도 나와 있듯이 이 블로그는 현재 VPS 중에서 가장 낮은 플랜인 VPS standard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VPS enhanced, premium의 경우 standard와 비교하여 공간, 램, CPU 개수 등에서 차이가 납니다. 만약 공간이 더 필요하다고 하면 별도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가성비로 따져서 VPS를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성능을 따져서 Dedicated로 갈 것인지를 잘 판단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응답
  21. 이 블로그는 처음에 다양한 코드를 테스트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꼭 필요하지 않은 사용자 코드를 삭제하니 체감 속도가 빨라진 것 같습니다.ㅎㅎ

    응답
  22. 8월 9일 하루 동안 2.95달러로 할인한다고 하네요.

    On August 9th, we're offering web hosting at the killer rate of only $2.95/mo for 12 months.* But this amazing discount will be available for one day only.

    블루호스트를 생각하고 계신 분은 8월 9일(우리나라 시각으로는 8월 9일 밤부터 일 것 같습니다)을 노려보아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참고: https://www.thewordcracker.com/miscellaneous/%ED%95%B4%EC%99%B8-%EC%9B%B9%ED%98%B8%EC%8A%A4%ED%8C%85-bluehost-%ED%95%A0%EC%9D%B8-%ED%96%89%EC%82%AC-%EC%9B%94-2-95%EB%8B%AC%EB%9F%AC/

    응답
  23. 이런 정보글을 써도 딴지걸던 시절이 있었답니다. 지금이야 웹사이트 구축 시장이 많이 죽어서 프리랜서 숫자도 많이 줄었지만, 3-4년 전만 해도, 어떤 호스팅이 느리고 어쩌고 이런글 쓰면, 이메일 보내서 욕하고 그런 분들 계셨습니다. (글 보기 불편하니 글을 내리라는거죠.)

    프리랜서 분들이 호스팅은 원래 affiliate 으로 돈을 버는 모델이 아니고, re-seller account 로 돈을 벌었었거든요.

    예를 들자면 GoDaddy 에 웹호스팅 계정을 하나 튼 후, 여기에 웹사이트를 5개고 10개고 설치가 가능하잖아요. 그럼 하나의 계정에 여러명의 고객 사이트를 구축해주고, 매달 호스팅 비용을 받아서 수익을 얻는거죠.

    내가 GoDaddy 에 매달 내는 호스팅 비용이 한명이 내주는 호스팅 비용으로 충당될 뿐만 아니라 나머지 9명이 나에게 주는 호스팅 비용은 내 수익이 되는.

    그리고 이렇게 좀 하다가 웹사이트가 더 늘어나면 아예 re-seller 계정을 하나 열어서 더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었습니다. 웹 호스팅 비용으로만 매달 고정적인 수익이 들어오는거죠.

    그런데 이런 정보글을 쓰며 "GoDaddy 가 국내에서는 조금 느린 것 같다" 라는 식의 글을 쓰면 시선이 절대 곱지않았던... ㅎㅎㅎㅎ

    지금이야 다 지나간 일이라 웃을 수 있지만 정보글도 눈치봐가며 써야 하는 시절이 있었습니다. 후....

    응답
    • 아마 속도 문제와 안정성 문제는 근래에 들어 많이 개선되고 있지 않은가 생각되는데요.
      하지만 개인적인 경험은 주로 개인의 역량에 따라 많이 좌우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서비스 자체에서 차이가 어느 정도는 있겠지만, 잘 이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좋지 않은 기억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저는 2010년도에 InMotion Hosting이라는 웹호스팅 업체에 아무 것도 모른 채 이용해본 적이 있었는데, 제대로 이용을 못해서인지 파일을 FTP에 업로드하는 것도 매우 느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 hackya 사이트에는 일상 생활에 유익하면서 가벼운 소재의 글이 많이 올라오네요. 댓글을 달고 싶어도 모두 너무 진지하게 댓글을 달고 계셔서...ㅎㅎ

      응답
      • 대화를 나누다 보니 하고 싶은 얘기가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

        지금도 쓰고 싶은 주제는 산더미 같이 많은데, 시간이 허락되지 않아 못쓰고 있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최근에 저희가 제공하는 호스팅으로 옮기신 사장님 한분도, 3년전에 워드프레스를 접하셨다면, 그동안 시간과 돈을 낭비하지 않고 온라인에서 사업을 키워가실 수 있으셨을텐데, 어렵게 돌고 돌아서 저희한테 오셨거든요.

        상당히 좋은 아이템을 갖고 계셔서 온라인에서 큰 수익을 올리셨을텐데, 3년이란 허송세월을 보내신거죠.

        이런분들을 만나게 되면 항상 안타까움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좋은 정보는 널리 알려질 수록 모두에게 유익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좋은 정보는 널리 알려질 수록 모두에게 유익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모두들 이런 생각을 가졌으면 좋겠네요.

        주제가 벗어나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iOS 앱을 정기적으로 번역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번에 "whether numerals in Chinese, Japanese, and Korean texts should be in dual-byte/Unicode full width form, or in single-byte/Unicode half width form. "에 대한 질문을 해오네요. 한국어 글자는 2바이트 문자인 것은 잘 알려져 있는데, 이 경우 숫자나 영문 글자는 single-byte가 적용되지 않나요? (프린터 드라이버 번역할 때 숫자와 영문 글자는 1바이트로 계산했던 것 같습니다.)

      • 한국어 글자는 2바이트 문자인 것은 잘 알려져 있는데, 이 경우 숫자나 영문 글자는 single-byte가 적용되지 않나요? - 아마 그럴 것 같은데 제 관련 분야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

    • 고대디 등에 리셀러 계정을 열어서 호스팅을 대여(?)하는 방법이 있었다는 것은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일종의 건물을 빌려서 많은 방을 만든 다음 세를 주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군요. 건물은 공간이 한정적인데 이것은 잘 만하면 건물 임대사업보다 더 수익성이 좋았겠군요ㅎㅎ

      요즘은 인터넷이 발달하고 해외 정보도 빠르게 유입되다 보니까 모든 것이 더 경쟁적으로 변하는 것 같습니다.

      응답
      • 네. codei 님도 코프레스에 살짝 언급하셨던데, 요즘은 코딩실력이 아니라 얼마나 유용한 정보를 빨리 습득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것 같습니다.

        정보력 싸움인거죠.

  24. 블루호스팅 원래 워드프레스 테마와 플러그인을 개발하던 회사이기도 하고, 가성비 좋고 친절한, 좋은 호스팅 회사 입니다. 저도 블루호스팅 추천 합니다.

    속도는 웹호스팅의 특성상 감안하셔야 합니다 만, 본글에서 언급된데로 cache 활용, 스마트한 코딩등으로, 극복하지 못할 황당한 수준은 아닙니다.

    한국에서는 속도가 더 느려지나보네요. 예전에 중국 클라 분들은 거의다들 블루호스팅에서 세팅해달라고 하시고, 속도에 대해 아무런 불평이 없었는데....

    응답
    • 처음 저가형을 선택했는데요, 사용자들이 속도가 늦다는 불평이 있었습니다. (그때 Cache 등을 활용했다면 속도 면에서는 많이 향상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네요.)

      호스팅을 알아보기 위해 어떤 리뷰 사이트를 방문하니 어떤 사람이 실시간 채팅을 신청오더군요. 무슨 서비스를 찾고 있냐고... 조금 채팅을 하다가 괜찮은 호스팅이 뭐냐고 물으니 블루호스트와 iPage를 추천해주었습니다. 그럼 둘 중에 어느 것이 더 좋으냐고 물으니 자기 같으면 블루호스트를 선택할거라고 하더군요ㅎㅎ iPage 저가형도 상당히 늦었는데요, (잘 알려지지 않은) 캐시 플러그인을 하나 설치해주니까 속도가 괜찮아졌습니다...

      그리고 처음에 조금 불안한 부분이 있을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시간이 조금 지나면 안정화가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런 부분만 잘 관리하면 저가형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응답
      • 이윤을 추구하는게 아닌 개인 홈피, 블로그 는 속도만 어느정도 나오면 무조건 저가형으로 가야죠.

        반면, 상업적 목적을 갖고 운영하는 B2C 사이트는 서버쪽에 아낌없는 투자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B2C 사이트 (가장 흔한 예가 쇼핑몰) 를 구축하시는 분들 보면 서버비용을 아끼시려고 하더라구요.

        오히려 속도가 빠르지 않아도 되는 B2B 사이트 (중국 공장 사장님들) 를 구축하는 경우, 비싼 서버를 사용하시려고 해서 제가 말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서버는 투자한 돈에 비례해서 속도가 나옵니다. 물론 가성비가 좋고 나쁜 제품들이 존재하지만요.

        한국 우커머스 사이트들이 예외없이 로딩속도가 7-8초 이렇게 나옵니다. 모바일뷰는 더 심각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10초를 훌쩍 넘는 사이트도 보입니다. 코프레스 질문글 올라올때 사이트 확인해 보세요. 그냥 "헐" 소리만 나옵니다.)

        이래서는 절대 쇼핑몰이 돈을 벌어 주지 못하는데, 안타깝더라구요.

        제가 현업으로 일할때 느낀게, "되는 놈은 뭘해도 된다." "돈은 돈을 부른다." 였습니다.

        장사 잘하시는 중국 사장님들 보면, 웹사이트 구축할때 돈을 아끼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속으로 '뭐 돈을 워낙 잘 버니까, 사이트 구축비용으로 5천불 (대략 550만원 정도) 를 달라고 해도, 한번에 지불하는거지 뭐.' 이렇게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와서 생각해보니까, 그렇게 사이트 구축시작도 안했는데 흔쾌히 돈을 한번에 지불해주고, 비용에 대해 불평도 전혀 하지 않고, 전적으로 다 믿고 맡기고, 이러니까, 작업하는 사람 입장에서 정성을 기울여서 작업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 저게 매우 똑똑한 처사였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반면 서버비용 같은 것도 아끼려는 사업자 분은 (물론 budget 이 tight 하니까 그러겠지만) 필요한 투자조차 아까워 해서 사업이 잘 풀리지 않는, 그런 케이스 인거죠.

        서버비용이 아까운건 돈이 없어서. 그래서 그 돈을 아끼니 돈을 벌지 못하는 악순환.... 결국 돈이 돈을 번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