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검색 알고리즘 업데이트... 구글은 웹의 구원자인가 아니면 파괴자인가?

Last Updated: 2024년 05월 29일 댓글

지난 2년 동안 구글은 인공지능(AI) 기능을 강화하면서 연이어 검색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3월 핵심 업데이트 이후 많은 사이트들의 검색 유입이 하락했습니다.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 변경으로 인해 규모가 작은 웹사이트들은 큰 타격을 받고 있는 반면 ‘레딧(Reddit)’ 등 일부 대형 플랫폼은 검색 트래픽이 크게 증가하여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 업데이트... 구글은 웹의 구원자인가 아니면 파괴자인가?
Image Created by ChatGPT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 업데이트… 구글은 웹의 구원자인가 아니면 파괴자인가?

어제 5월 28일 BBC News 코리아는 "구글의 연이은 검색 알고리즘 업데이트…예전과 달라질 인터넷 세상"이라는 기사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구글의 연이은 검색 알고리즘 업데이트가 웹 세상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시간이 되시면 BBC 기사를 집중하여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인터넷 세상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워드프레스나 티스토리 등의 블로그를 운영하고 계시다면, 최근 들어 구글과 네이버 등의 검색엔진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특히 구글 유입 급감을 경험하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과거 네이버 검색 결과에서 밀리면 사업에 심각한 타격을 받는 분들이 많았었는데요. 구글에서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구글 방문자들이 급락하면서 사업에 심각한 타격을 입는 사용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BBC 기사의 내용이 제법 긴데요. 대략적으로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지난 2년 동안 구글은 여러 차례 검색 알고리즘을 업데이트했습니다. 이로 인해 인터넷 세상은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고,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민감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기사에서 구글의 알고리즘 업데이트로 인해 피해를 입는 측과 혜택을 입는 측에 대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기사의 표현을 그대로 인용하자면 구글 검색 결과는 그야말로 제로섬 게임으로, 검색 엔진이 한 사이트에서 다른 사이트로 트래픽을 보내면, 뺏기는 쪽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 리뷰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하우스프레시.com’은 나바로 부부가 직접 제품을 테스트해보고 리뷰를 작성하면서 성장했습니다. 구글 검색 결과에서 높은 순위에 노출되어 방문자 수가 급증했지만 알고리즘 변경 후 트래픽이 급감하고 많은 직원을 해고해야만 했습니다.

구글의 알고리즘 업데이트는 기존의 독창적인(고유한) 콘텐츠가 대형 라이프스타일 잡지나 기타 대형 브랜드의 웹사이트로 대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소규모 사이트들은 큰 타격을 받고 있는 반면, ‘레딧(Reddit)’과 같은 대형 플랫폼은 검색 트래픽이 크게 증가하여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쿼라(Quora)’, ‘인스타그램’ 등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성하는 플랫폼들과 ‘링크드인’과 ‘위키피디아(위키백과)’ 등의 사이트에 대한 검색 트래픽도 유의미하게 늘었다고 합니다.

구글은 이러한 변경에 대하여 사용자들에게 보다 유용하고 검증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AI 오버뷰’ 기능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검색한 질문에 대하여 인공지능(AI)이 요약한 답변을 제공하는 방식을 선보였습니다. 이러한 시도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일부 웹사이트 운영자들은 AI 검색 기능이 웹사이트 방문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챗GPT에 맞서 구글과 빙 등은 AI 검색 기능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AI가 요약한 답변을 내놓는다면 사이트를 방문하는 방문자들이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인터넷의 트래픽 분배와 웹 콘텐츠의 퀄리티(Quality)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앞으로 계속될 구글의 검색엔진 업데이트는 인터넷 생태계의 구조 자체를 바꾸어놓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기사의 끝에 인용된 ‘하우스프레시.com’ 운영자 나바로의 말은 많은 것을 시사하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읽고 싶어 하는 고품질의 독창적인 콘텐츠 제작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는 건 순진한 생각이었나 봅니다.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인터넷 세상이 격변하고 있습니다. 구글도 도태되지 않기 위해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검색 기능을 도입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독창적이고 퀄리티 높은 글을 꾸준히 작성하면 구글 등 검색엔진의 인정을 받아서 상위 페이지에 노출되고 방문자 수가 늘어날 것이라는 답변을 자주 드렸지만, 이런 답변은 기사의 말미의 말처럼 나이브(Naive)한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구글은 줄곧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양질의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노출시킨다고 주장해왔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구글이 슈퍼 갑이므로 구글의 업데이트된 알고리즘에 적응할 수밖에 도리가 없을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혜를 입는 사용자들과 피해를 보는 사용자들이 생겨나는 것은 피할 수 없습니다. 어떤 식으로 대응해야 할지 면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 같습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라는 유명한 투자 격언이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은 블로그 세계에도 적용되리라 생각됩니다. 하나의 블로그에 올인하는 것보다 여러 블로그를 운영하고, 블로그에만 올인하지 말고 다른 채널을 찾아 수익을 다각화하는 노력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참고

댓글 남기기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상담 카톡 서비스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