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엘리멘터(Elementor)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면 코딩 지식이 없어도 수월하게 원하는 디자인의 사이트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바다(Avada)나 뉴스페이퍼(Newspaper) 등 자체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는 테마에서는 엘리멘터를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오류가 발생하거나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두 가지 이상의 페이지 빌더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엘리멘터를 다른 페이지 빌더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엘리멘터가 아닌 다른 페이지 빌더로 만든 페이지에서 엘리멘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면 특정 페이지에서 Elementor를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특정 페이지에서 엘리멘터(Elementor) 비활성화하기
전 세계 CMS 사용량에서 워드프레스 점유율이 30% 이상을 넘길 당시 워드프레스 사용자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엘리멘터 덕분에 사용자가 더욱 유입되어 현재 WordPress의 점유율은 40%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W3Techs 통계에 의하면 2024년 6월 현재 워드프레스의 점유율은 43.4%로, 1년 전에 비해 0.3% 상승했고, 2위는 Shopify로 4.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엘리멘터는 큰 인기를 끌면서 페이지 빌더 시장에서 경쟁자가 없을 정도입니다. Elementor Pro의 가격이 부담스러운 경우 라이프타임 요금제를 제공하는 Divi 테마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Divi 테마에는 Divi Builder라는 자체 페이지 빌더가 있고, 엘리멘터 프로에서 제공하는 테마 빌더 등의 기능을 가장 먼저 도입했습니다. 사용자 숫자에서도 아바다 테마와 비슷하여 유료 테마 중에서는 가장 많은 사용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 사이트에 페이지 빌더를 두 개 이상 설치하여 활성화하면 오류가 발생하거나 사이트 속도가 크게 느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바다, 뉴스페이퍼, Divi, 엔폴드 등의 테마가 설치된 환경에서 엘리멘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테마에는 자체 페이지 빌더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추가로 빌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최근 뉴스페이퍼 테마가 설치된 클라이언트 사이트에서 엘리멘터 때문에 뉴스페이퍼의 tagDiv Composer로 제작된 페이지를 수정해도 업데이트가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뉴스페이퍼 테마를사용하면 뉴스, 웹진, 블로그 등의 사이트를 운영할 때 쉽게 고퀄리티의 뉴스 사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면 페이지가 뉴스페이퍼의 뉴스 데모 중 하나로 만들어졌는데, 엘리멘터로 편집하는 바람에, 이후에 뉴스페이퍼의 자체 빌더로 편집해도 업데이트된 내용이 반영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 상황에서 전면 페이지에 대하여 Elementor를 비활성화하니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전면 페이지에 엘리멘터 페이지 빌더를 비활성화려는 경우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lugin Name: Disable Elementor on Specific Pages
Description: Disables Elementor on specific pages based on their IDs.
Version: 1.0
Author: WordCracker
Author URI: https://www.thewordcracker.com/
*/
add_filter( 'elementor/documents/get/post_id', 'disable_elementor_on_front_page', 999 );
function disable_elementor_on_front_page( $post_id ) {
if ( is_front_page() ) {
return 0; // Disable Elementor for the front page
}
return $post_id;
}
위의 코드를 활성화된 차일드 테마 내에 있는 함수 파일(functions.php)에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전면 페이지 대신 특정 페이지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시:
$disabled_pages = array( 1, 3, 5 );
if ( is_page( $disabled_pages ) ) {
return 0;
}
return $post_id;
블로그 글(Post)에는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지 마세요
참고로 블로그 글을 작성할 때에는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워드프레스 글을 페이지 빌더로 작성해서는 안 되는 EU"라는 글을 통해 여기에 대하여 설명한 적이 있으므로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글을 작성할 때에는 가능한 경우 기본 편집기인 블록 에디터(Block Editor)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클래식 편집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이제 블록 에디터가 많이 안정화되었고, 기능도 계속 향상되고 있으므로 가급적 블록 에디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시간과 능률을 향상시키는 워드프레스 블록 에디터(구텐베르크) 키보드 단축키
- 워드프레스 이전 글 링크 초간단 삽입 방법 꿀팁
- 워드프레스 블록 에디터 패턴(재사용 가능 블록) 사용하기
Elementor의 설정에서 "글"에 엘리멘터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엘리멘터 » 설정 » 일반으로 이동하여 게시물 유형(Post Types)에서 "글" 체크란을 해제하시기 바랍니다. 꼭 필요한 글 유형(포스트 타입)만 선택하도록 하세요.

엘리멘터는 편리하지만 사이트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기능이 많은 플러그인이다 보니 버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속도가 중요하다면 페이지 빌더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특히 블로그에서는 굳이 서드파티 빌더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 같습니다. 요즘은 블록 에디터용 블록 플러그인도 있으므로 Elementor에 비해서는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지만, 속도가 중요한 경우 그런 플러그인도 사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eneratePress 테마를 사용하는 경우 무료/유료 GenerateBlocks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블록 에디터에서 200개가 넘는 패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