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워드프레스 정보꾸러미 블로그에는 워드프레스 사용법과 문제해결, 테마 및 플러그인 등 다양한 주제의 글이 실려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인기 오픈소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으로, 원래 개인용 블로깅 시스템으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발전하여 회사 홈페이지, 쇼핑몰, 커뮤니티, 전문적인 퍼블리싱 등 거의 모든 사이트 구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워드프레스(WordPress)를 처음 접하는 초보 사용자들을 위한 입문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본적이지만 숙지해야 할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와 테마 설치를 비롯하여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유용한 사항 등 종합적인 내용을 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글을 전체적으로 읽어보면 이 CMS 툴에 대한 개념을 익힐 수 있을 것입니다. 글이 너무 길어서 세 파트로 나누었습니다. 특정 부문의 정보를 원하시는 경우 아래의 목차나 왼쪽 사이드에 표시되는 목차 아이콘을 이용하여 원하는 항목으로 곧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2023년 9월 20일에 최종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워드프레스 CMS 시장 점유율
워드프레스는 전세계 10개 사이트 중 4개 이상이 워드프레스로 제작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 점유율을 확인해보면 워드프레스의 영향력이 점점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2019년 3월 33.3%에서 2022년 5월 현재 42.9%로 전세계 점유율에서 꾸준한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8년에는 Joomla와 Drupal, Shopify각각 2위, 3위, 4위를 기록했지만 지금은 Shopify가 4.3%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hopify는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입니다(참고).
참고로 쉽게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는 Wix의 경우 2018년 1.0%에서 2022년 현재 2.3%로 점유율이 두 배 이상 성장했지만 점유율 자체는 미미합니다. Wix는 초딩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쉽지만 SEO에 약한 면이 있기 때문에, 소규모 사이트나 보여주기 위한 사이트에 적합합니다.
이와 같이 워드프레스가 인기를 끌면서 많은 웹호스팅 업체에서 워드프레스 호스팅 상품을 내놓거나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 기능을 제공합니다.
윅스와 같은 서비스는 랜딩 페이지나 심플한 사이트를 빠르게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SEO적인 측면에서 워드프레스에 비해 약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Brizy 페이지 빌더를 만든 Brizy에서는 Brizy 기반의 Brizy Cloud를 출시했습니다. Brizy Cloud는 윅스와 비슷한 시스템으로 쉽게 랜딩 페이지를 만들 수 있지만 SEO는 약한 편입니다("Brizy Cloud, 제2의 Wix가 될 수 있을까?" 참고).
워드프레스 가입형과 설치형 비교
워드프레스에는 가입형과 설치형이 있습니다. 가입형은 WordPress.com에서 무료 또는 유료로 가입하여 워드프레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설치형은 WordPress.org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입니다. 가입형과 설치형을 간단히 비교해보면...
가입형 워드프레스
- WordPress.com에서 가입하여 사용
- 별도의 웹호스팅에 가입할 필요가 없음
-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제공하는 무료 혹은 프리미엄 테마 사용 가능
- 무료 요금제에서는 외부 플러그인과 테마 사용 불가
- 프로 요금제(혹은 기존의 비즈니스 플랜 이상)에서는 외부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고 외부 테마를 업로드할 수 있음("WordPress Pro: SFTP/phpMyAdmin 접속 방법" 참고)
- 워드프레스 프로(또는 기존의 비즈니스 이상 요금제)에서 SFTP 접속 가능 (FileZilla를 사용하여 액세스 가능) , MySQL 데이터베이스 접속 가능 (phpMyAdmin 지원)
- 자유도가 떨어짐
- 블로그나 심플한 회사 소개 사이트에 고려할 만함
- 제한적인 서드파티 광고 채널 운영("WordPress.com에서 애드센스 배너 광고 운영하기" 참고)
- 도메인을 연결하는 경우 서드파티 이메일 서비스(예: G Suite 또는 무료 이메일 서비스)를 통해 이메일 이용 가능
- 사이트 방문자 수 제한이 없음. 사이트 방문자 수가 많은 사이트인 경우 가입형을 선택하면 웹호스팅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프로 요금제(또는 기존의 비즈니스 플랜 이상)에서 애드센스 광고 가능. 자체 광고 채널인 AdWords를 프리미엄 요금제 이상에서 가능(단, 일정 방문자 수 이상이어야 함).
설치형 워드프레스
- WordPress.org에서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웹호스팅 서버에 설치하여 사용(최근에는 대부분의 웹호스팅 업체에서 자동 워드프레스 설치 기능 제공)
- 웹호스팅 서비스에 가입하여 이용하거나 자체 서버를 사용하여 워드프레스를 운영할 수 있음
- WordPress.org에 등록된 무료 플러그인과 테마 외에 외부 플러그인과 테마(무료 혹은 유료) 사용 가능
- 커스터마이징을 자유롭게 가능
- 자유도가 높음
- 서드파티 광고(예: 애드센스)를 통한 수익 창출 가능
- 웹호스팅에 가입하여 이용하는 경우 보통 (무료호스팅을 제외하고) 이메일 서비스도 함께 제공되어 도메인으로 된 이메일 생성 가능("카페24에서 메일 발송 제한 사항" 참고)
가입형(워드프레스닷컴)과 설치형 요약
구분 | 가입형(워드프레스닷컴) | 설치형 |
---|---|---|
웹호스팅 가입 여부 | WordPress.com에 가입 (웹호스팅을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제공) | 웹호스팅에 가입 |
웹호스팅/요금제 비용 | 무료 요금제를 포함하여 5가지 플랜 ※트래픽이 사실상 무제한이므로 방문자 수가 많은 사이트인 경우 저렴하게 이용 가능 | 방문자 수와 트래픽(대역폭)에 따라 웹호스팅 비용이 다름. 방문자가 적으면 저가형 요금제 선택 가능하지만 방문자 수가 증가하면 높은 요금제 이용. |
시작 용이성 | 가입 후 곧바로 시작 (워드프레스가 미리 설치되어 있음). 프리미엄 이하 요금제에서는 플러그인 등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약간의 세팅만으로 시작 가능. |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 필요함 (가입 시 자동으로 워드프레스가 사전 설치되는 호스팅도 많음) |
확장성 | *프리미엄 이하 플랜에서는 플러그인/유료 테마 설치 불가 *비즈니스 이상 플랜에서는 플러그인/외부 테마 설치 가능하지만 설치형에 비해 제약이 많음 | 제약 없음. 확장성 우수 |
수익화(애드센스) | 프리미엄 이하 플랜에서는 불가. 비즈니스 플랜 이상에서는 애드센스 가능 | 가능 |
도메인 연결 | 유료 요금제에서만 가능 (도메인 등록 1년 무료) | 가능 |
심플한 사이트나 사이트 방문자 수가 많은 경우 가입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워드프레스의 모든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싶은 경우 설치형을 선택하는 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 보통 워드프레스라 하면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언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서는 설치형 워드프레스에 대해 다루도록 합니다.
참고로 워드프레스로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려는 경우 GeneratePress와 같이 심플하고 빠른 테마를 사용하여 블로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세팅과 테마 세팅이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경우 GeneratePress 테마로 워드프레스 블로그 세팅 예시 글을 참고하여 세팅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혹은 이 블로그나 WP Tour 블로그 등과 비슷하게 세팅을 원하시는 경우 여기에서 서비스(유료)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와 티스토리 비교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무료 블로깅 시스템으로 블로그를 시작하기에 좋은 옵션일 수 있습니다.
구분 | 워드프레스 | 티스토리 |
---|---|---|
웹호스팅 | 웹호스팅 가입 필요 | 불필요 (티스토리측에서 제공함) |
비용 | 유료 (방문자 수와 저장 공간에 따라 적합한 웹호스팅에 가입해야 함) | 무료 |
시작 용이성 | 워드프레스 설치 및 설정 과정 필요(최근에는 워드프레스가 사전 설치되는 웹호스팅이 많음) | 가입 후 약간의 세팅 후 시작 가능. 사용이 쉬움 |
확장성 | 확장성 우수(제약 없음, 다양한 플러그인 사용 가능) | 기능 확장성이 떨어짐 |
수익화(구글 애드센스) | 가능 | 가능 (티스토리 자체 광고가 신설되어 본문의 상단 또는 하단에 티스토리의 자체 광고가 표시될 수 있음) |
도메인 | 가능 | 2차 도메인(개인 도메인) 연결 가능 |
백업 |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백업 가능 |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 후 백업 서비스 부활함. 한 번 백업하면 30일간 신규 백업 불가. 티스토리 백업을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이사 가능(참고) |
보안 문제 | 웹호스팅에서 어느 정도 보안을 제공하지만, 최종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것이 안전함. 서버 세팅이나 보안 플러그인으로 보안 강화 가능 | 티스토리측에서 보안을 담당하므로 염려할 필요 없음 |
구축 가능한 사이트 | 블로그(수익화 블로그 포함), 기업 사이트, 교육용 사이트(인강 사이트), 쇼핑몰 등 거의 모든 사이트 제작 가능 | 블로그 (수익화 블로그 포함) |
특징 | * 구글에 잘 노출되는 편임 * 초기에 네이버에 노출이 잘 안 될 수 있음 * 테마를 사용하여 레이아웃 변경 (다수의 무료/유료 테마 사용 가능) *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기능 확장 용이 (많은 무료 및 유료 플러그인이 있음) * 커스텀 용이 - CSS/PHP/Javascript...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훅 사용 가능) * 차일드 테마 사용으로 테마가 업데이트되어도 수정 사항 유지 | * 다음 검색엔진에 잘 노출됨 * 저품질에 걸리면 방문자 수 급감 * 초기에 네이버에 노출이 잘 안 될 수 있음 * 구글에도 잘 노출되는 편이지만 워드프레스보다는 SEO 측면에서 약함 * 스킨을 사용하여 레이아웃 변경 가능 (스킨 수가 제한적임) * 스킨 파일 편집 가능 - HTML/CSS/Javascript * 스킨이 업데이트되면 수정 사항이 사라짐. |
티스토리는 무료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고 트래픽을 티스토리측에서 감담하므로 방문자 수가 증가해도 추가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볍게 블로그를 시작하고 싶은 경우 티스토리가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보다 큰 규모의 사이트를 운영하고 싶은 경우나 자유롭게 사이트를 만들고 싶은 경우 워드프레스가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둘 모두를 운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로 어떤 사이트를 만드는가에 따라 쉽게 시작할 수도 있지만 복잡한 사이트를 만들거나 커스텀이 필요한 경우 어느 정도의 학습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을 질문하여 답변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행착오를 줄이고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여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시작하기
홈페이지를 운영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홈페이지를 집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집을 지으려면 땅이 필요합니다. 땅 위에 집을 올리면, 집으로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도록 주소를 알려주어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는 홈페이지를 만드는 도구 중 하나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파일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파일들이 서버 내의 특정 위치에 저장됩니다. 서버를 직접 운영해도 되지만, 개인이 운영하기에는 쉽지 않기 때문에 웹호스팅 서비스를 보통 이용합니다.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면 서버 내의 일정한 공간을 할당받게 됩니다.
그리고 도메인을 등록하여 연결하면 사용자들이 인터넷 브라우저 창에서 주소를 입력하거나 검색엔진에서 검색하여 여러분의 집(홈페이지)을 찾아올 수 있습니다.
도메인은 보통 연간 단위로 등록할 수 있으며 비용은 연 1~2만원 정도입니다.
도메인 등록과 웹호스팅 서비스 가입
워드프레스를 이용하기로 했다면, 먼저 도메인을 정하고 웹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해야 합니다. 도메인은 웹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하면서 함께 등록해도 되고, 아니면 도메인 등록대행기관에서 직접 도메인을 등록한 다음에 웹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하면서 연결하면 됩니다.
저렴하게 도메인을 등록하는 방법은 이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미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다면 웹호스팅 서비스에 가입한 후에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해당 웹호스팅 업체의 정보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워드프레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워드프레스가 설치되어 호스팅되는 공간(서버)이 필요합니다. 자체 서버를 보유하고 있다면 직접 서버를 세팅하여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면 됩니다. 보통은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 호스팅만 이용하다 보니 국내 호스팅을 잘 이용하지 않게 되네요. 국내 호스팅은 한국어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편안하게 느낄 수 있겠지만 제공하는 공간과 트래픽이 해외 호스팅에 비해 많이 부족한 편입니다. 그리고 사용편의성도 해외 호스팅의 경우 cPanel을 제공하는 곳이 많아서 편리하게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가성비가 괜찮은 호스팅으로는 Bluehost 공유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의 경우 처음 Bluehost 공유호스팅을 이용하다가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VPS 플랜으로 옮겼습니다. 최근 Bluehost 공유호스팅이 필요하여 별도로 가입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2~3년 전에 비해 안정성과 속도면에서 많이 개선된 것 같습니다.
보다 빠른 호스팅을 원하는 경우 AWS, Vultr 등의 서버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웨이즈(Cloudways)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해외 웹호스팅 서비스 – 블루호스트(Bluehost) 소개"를 참고해보세요.
블로호스트의 경우 SSL 인증서 무료 제공, 1년 도메인 무료 등록, 무제한 트래픽(공유호스팅), 무제한 공간(공유호스팅에서 Plus 이상 상품), 무제한 웹사이트 추가(Plus 이상 상품에서는 무제한 도메인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등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블로그를 운영하기에 나름 괜찮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무거운 테마를 사용하고 많은 플러그인을 설치할 경우 속도가 느려질 우려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블로그에 설치된 것과 같은 가벼운 테마를 설치하고 플러그인을 최소화하면 속도가 괜찮게 나올 것입니다("워드프레스 GeneratePress 테마: 구글 페이지 스피드 인사이트 점수" 참고).
참고로 Bluehost 공유호스팅의 경우 월 최저 2.95달러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이 링크를 클릭하여 가입하시면 제가 약간의 커미션을 받을 수 있고 이 블로그와 네이버 카페 운영을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커미션을 위해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상위 플랜인 Bluehost VPS(이 블로그가 이용 중)를 고려해볼 수 있지만, 비용 대비 성능을 생각하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Bluehost 공유호스팅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가입하는 과정에서 타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기존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웹호스팅 서버의 네임서버 정보로 변경해야 합니다(참고).)
※ 해외 호스팅에서는 보통 라이트 채팅을 제공하므로 문의 사항이 있을 경우 빠른 시간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데 부담이 있는 경우에는 구글번역기를 적극 활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구글번역기의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습니다. 혹시 영어와 관련하여 도움이 필요하시면 이 글의 댓글에 올려주시면 (콩글리쉬지만) 도와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최근 들어 많은 웹호스팅 업체에서 자동으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직접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야 했지만 최근에 가입하는 블루호스트 계정에서는 워드프레스가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블루호스트 등에 가입하면 cPanel을 통해 웹호스팅 서버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cPanel에서는도메인 추가, 서브도메인 만들기,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 phpMyAdmin 접속, DB 생성, 관리, SSL 보안 인증서 적용, File Manager 이용, php 버전 관리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특히 파일 매니저를 잘 활용하면 빠르게 폴더를 삭제하고 많은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블루호스트에 로그인하면 다음과 비슷한 UI가 표시됩니다. (실제 화면은 약간 다를 수 있지만 기능상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 FileManager - 파일 매니저 툴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관리(삭제, 편집, 압축, 압축해제 등)할 수 있습니다. .
- cPanel - 쌔패널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hpMyAdmin를 통해 디비에 접속하고 FTP 계정에서 FTP 계정을 생성하는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 LOG IN을 클릭하여 워드프레스에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 MANAGE -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ADD SITE - 워드프레스 등의 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블루호스트에 가입한 경우 먼저는 이 글을 참고하여 도메인을 연결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cPanel에 접속하여 PHP버전과 PHP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블루호스트에서 PHP 버전과 PHP 환경 설정값 변경하기 참고).
※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로그인 주소는 사이트주소/wp-admin이지만 보안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로그인 페이지 주소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해당 주소로 접속하여 로그인해야 합니다. 로그인 페이지 URL을 모르는 경우에는 사이트 관리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입하는 과정에서 타 도메인 대행등록업체(예: 가비아, 카페24 등)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입력하거나 추후에 도메인을 추가하는 경우,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새로 가입하는 웹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 정보로 변경해야 합니다. DNS 정보가 새로운 네임서버 정보로 완전히 변경되기까지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참고).
※ 블루호스트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 FTP 계정을 만드는 방법, 블루호스트로 이전하는 방법 등을 다음 유튜브 영상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Duplicater를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사이트 이전하는 방법 (블로그 글 / 유튜브 영상 포함)
- Duplicator를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사이트 이전에 실패하는 경우 수동으로 이전하는 방법
- 블루호스트에서 새로운 FTP 계정을 만드는 방법
- 타 도메인 등록업체(예: 가비아)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블루호스트에 연결하는 방법 (블로그 글)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사이트주소/wp-admin을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하여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거나(예: www.example.com/wp-admin), 블루호스트에 로그인하여 Hosting 페이지에서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먼저 사이트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도록 합니다. Settings > General을 클릭하고 Site Language를 "한국어"로 변경하고 저장하도록 합니다. Timezone도 Seoul(UTC+9)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대로 두면 시간대가 영국 시간대로 표시됩니다.)

블루호스트에서 워드프레스를 자동설치하면서 관리자 비밀번호를 임의로 설정합니다. 사용자 > 나의 프로필에서 "암호 생성"을 클릭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로그인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여 비밀번호를 초기화하시기 바랍니다. 비밀번호를 재설정한 후에 로그인하여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변경하세요(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포함).
admin, administrator, 사이트 이름으로 관리자 ID를 설정하면 보안상 위험하므로 다른 이름으로 선택하시기 바랍니다(워드프레스에서 관리자 아이디를 변경하여 보안 강화하기 참고).
※ JetPack (제트팩)을 사용하는 경우 간혹 로그인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 FTP에 접속하여 /wp-content/plugins/jetpack 폴더를 삭제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입니다. FTP 사용법은 여기를 참고해보세요.
워드프레스 테마 선택하기
위의 방법으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면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접속해보면 Coming Soon 화면이 표시될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사이트를 제작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플러그인 > 설치된 플러그인에서 Bluehost를 "비활성화"하면 Coming Soon 화면이 사라집니다.

블루호스트에서 워드프레스 설치 시 함께 설치되는 Jetpack by WordPress.com과 OptinMonster API, MonsterInsights 등의 플러그인도 비활성화하고 삭제해도 됩니다. (이러한 플러그인은 사이트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으므로 삭제할 것을 권장합니다.)
* 사이트가 완료될 때까지 공사중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싶은 경우 이 글에서 소개하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공사 중 표시를 할 수 있습니다. 무료 플러그인이지만 문구를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고 이미지도 바꿀 수 있습니다.
이제 테마를 원하는 테마로 변경하거나 설치하도록 합니다. 외모 > 테마로 이동한 다음 "새로 추가"를 클릭합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테마 디자인"이 사용되고 있지만, 워드프레스가 업데이트되면서 "외모"로 바뀌었습니다. (외모 = 외관 = 테마 디자인)
워드프레스 5.9 이상에서는 워드프레스 설치 시에 Twenty Twenty-Two 테마가 기본적으로 선택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테마는 최초의 블록 기반 테마로서 전체 사이트 편집(Full Site Editing) 기능을 제공하지만 기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공이이 테마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다른 테마(무료 또는 유료)로 바꾸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활성화된 테마 외에 기본 테마 하나만을 남겨두고 이외에 사용하지 않는 테마는 모두 삭제하는 것이 보안상 바람직합니다.

Caution: 이 글에서는 "외모"와 "테마 디자인"이 혼재된 UI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버전에 다라 "외모", "외관", "테마 디자인"이 사용될 수 있지만, 모두 같은 메뉴입니다. 영문 버전의 Appearance를 번역한 것입니다.)
"새로 추가"를 클릭하면 WordPresss.org에서 제공하는 무료 워드프레스 테마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인기 탭을 클릭해보면 2019년 1월 11일 현재 3835개 테마가 인기 테마 리스트에 올라있습니다. "테마 검색..."에서 원하는 테마를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 참고: 테마 설치 파일을 zip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한 경우에는 위의 화면에서 상단의 "테마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테마 파일을 직접 업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워드프레스 테마 설치 방법" 참고).
마음에 드는 테마에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미리보기를 클릭하여 적용된 상태를 미리 볼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들면 "설치"를 클릭하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위와 같이 "설치됨"이 표시됩니다. "활성화"를 클릭하면 테마가 이 테마로 바뀝니다. 이제 사이트를 새로고침해보면 방금 활성화한 테마가 적용되어 있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 메뉴 살펴보기
워드프레스에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하여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관리자 페이지 메뉴가 왼쪽에 표시됩니다.

위의 그림은 기본적인 관리자 페이지 메뉴를 보여주며 테마와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관리자 페이지 메뉴에 항목(예: 위의 그림에서 Rank Math와 BBQ Pro)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에 클릭하여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보통 항목 이름을 통해 기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워드프레스가 업데이트되면서 일부 기본 메뉴의 번역이 자주 변경되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버전에 따라 테마 디자인은 외모, 외관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 정의하기는 꾸미기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관리자 페이지 메뉴 항목
- 알림판 - 홈과 업데이트 하위 메뉴가 있으며, 홈에서는 전체적인 사이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에서는 업데이트 가능한 테마와 플러그인 리스트가 표시되고 워드프레스 코어, 테마, 플러그인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유료 테마와 플러그인은 경우에 따라 여기에서 업데이트가 안 될 수도 있습니다.)
- 글 - 글(포스트)을 관리하고 새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카테고리와 태그를 추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 미디어 - 워드프레스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업로드된 이미지를 보고 관리할 수 있으며 새로운 이미지 파일 등을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글이나 페이지를 작성할 때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업로드됩니다.
- 페이지 - 페이지를 관리하고 새 페이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에는 카테고리와 페이지가 없습니다.
- 댓글 - 포스트와 페이지에 달린 댓글 리스트가 표시됩니다. 댓글을 승인, 삭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외모 (워드프레스 버전에 따라 '테마 디자인')
- 테마 : 테마를 활성화, 설치, 삭제할 수 있습니다. 테마 설치 방법은 여기를 참고해보세요.
- 사용자 정의하기 (워드프레스 버전에 따라 '꾸미기'): 테마의 옵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테마에 따라 포함된 섹션이 다릅니다. 사이트 아이덴티티, 헤더, 메뉴, 블로그, 카테고리, 푸터 등 테마의 전반적인 사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위젯 : 사이드바, 푸터 등의 위젯 영역에 위젯을 추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 메뉴 : 메뉴를 만들고 메뉴 위치를 지정하는 등 메뉴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메뉴 위치는 테마에 따라 다릅니다. - 플러그인 - 플러그인을 추가 (설치),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설치 방법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 사용자 - 모든 사용자 목록을 확인하고, 사용자를 추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의 프로필"에서 내 프로필 정보를 변경하고 계정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 도구 - 워드프레스에서 사용 가능한 도구가 표시됩니다. 내보내기/가져오기를 통해 사이트 콘텐츠를 내보내기하여 다른 곳으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상태에서 사이트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성능, 보안 개선을 위한 권장사항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오류가 발생하면 사이트 도구에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여 시정할 수 있습니다.
- 설정 -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정(사이트 제목, 사이트 주소, 언어, 시간대, 날짜 및 시간 형식 등), 쓰기, 읽기, 토론 (댓글) 관련 설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사용하는 테마와 설치된 플러그인에 따라 관리자 페이지 메인 메뉴에 추가 항목이 표시될 수 있습니다(예: Portfolio 메뉴, 설정 아래에 플러그인 설정 페이지 항목).
워드프레스에서는 테마 옵션을 외모 아래로 이동하도록 권장하고 있지만 일부 테마에서는 Theme Options (예: 아바다) 또는 Theme Panel (예: 뉴스페이퍼) 등의 명칭으로 별도의 메뉴에서 관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먼저 전체적으로 어떤 메뉴와 설정이 있는지 둘러보면서 익숙해지시기 바랍니다.
알림판 색상 변경
알림판의 색상이 기본적으로 검정색 계열입니다. 원하는 경우 사용자 > 프로필을 클릭하고 관리 색상 구성표에서 색상 구성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현재 밝음, 현대, 파란색, 커피, 심령체, 한밤중, 바다, 일출 등의 색상 구성표 옵션이 제공됩니다.

관리자 페이지의 메뉴 배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아래의 "관리자 페이지 커스텀하기 - WHITE LABEL CMS 플러그인" 섹션을 참고해보세요.
생산성 도구 Assistant
처음 WP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시는 경우 낯선 인터페이스에 당황스러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인기 페이지 빌더인 Beaver Builder를 개발한 팀에서 만든 생산성 도구인 Assistant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관리자 영역에 액세스하지 않고도 프런트엔드에서 필수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워드프레스 생산성 도구 - Assistant 플러그인(feat. Beaver Builder)"을 참고해보세요.
관리자 페이지 커스텀하기 - White Label CMS 플러그인
관리자 페이지를 특정 클라이언트의 요구 사항에 맞게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시보드와 로그인 페이지에 표시되는 WordPress 로고를 고객사 로고로 교체해 달라고 요청을 하는 경우 White Label CMS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게 표시되는 메뉴를 사용자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알림판 바꾸기 - White Label CMS(+관리자 페이지 커스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글/페이지 작성하기
글 작성하기 - 고전 편집기 & 블록 에디터 (구텐베르크)
글(포스트), 페이지 등의 콘텐츠와 각종 설정(위젯, 메뉴, 설정 메뉴 아래의 설정 등)은 DB에 저장됩니다. 글이나 페이지를 작성할 경우 어떤 과정을 거쳐 브라우저에 표시되는지 궁금한 경우 "워드프레스 페이지 분석"을 참고해보세요.
워드프레스에는 포스트(글)와 페이지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습니다. 포스트와 페이지는 비슷하지만, 포스트(Post)는 티스토리 블로그나 네이버 블로그에서 작성하는 블로그 글과 유사합니다. 포스트는 보통 블로그 페이지에서 최신 날짜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표시되고 카테고리와 태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페이지(Page)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정적입니다. '회사 소개' 페이지와 같이 사이트에 항상 표시되는 콘텐츠는 포스트보다는 페이지로 작성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포스트와 페이지의 차이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카테고리와 태그는 분류(Taxonomy)의 일종으로 둘 모두 글을 분류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대부분의 사용자가 카테고리와 태그를 별 생각 없이 만들어 사용할 것입니다. SEO에 유리하도록 카테고리와 태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구글 상위 노출을 방해하는 잘못된 카테고리와 태그 사용에서 참고할 수 있습니다.
[구텐베르크 사용: 워드프레스 5.0 이상 버전] - 권장
워드프레스 5.0이 2018년 12월 6일(우리나라 시각으로 12월 7일)에 릴리즈되었습니다. 워드프레스 5.0에는 구텐베르크라는 비주얼 에디터(블록 에디터)가 기본 글 편집기를 대체합니다. 워드프레스 4.x 버전을 사용하거나 고전 편집기를 사용하려는 경우 아래의 "고전 편집기 사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텐베르크(Gutenberg) 편집기를 사용하면 클래식 편집기(기본 편집기)보다는 편리하게 글 작성이 가능합니다. 구텐베르크가 초기에 조금 불안정했지만 2020년 8월 11일에 공개된 워드프레스 5.5 버전에서는 인터페이스가 모던하게 바뀌었고 기능도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만약 편집기와 관련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고전 편집기"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기본 편집기로 고전 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1년 3월에 워드프레스가 5.7 버전으로 업데이트되면서 블록을 끌어다 놓는 드래그 & 드롭 방식으로 블록을 포스트에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글을 더욱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구텐베르크 편집기는 블록 단위로 콘텐츠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블록 에디터(Block Editor)라고도 합니다. 아래 동영상을 통해 대략적인 사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은 워드프레스 5.5 이전 버전을 기준으로 한 것이지만 기본적인 사용법은 비슷합니다.
엘리멘터 페이지 빌더와 같은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는 경우 페이지는 페이지 빌더로 작성할 수 있지만 포스트(글)는 기본 편집기(블록 에디터 또는 고전 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페이지 빌더는 사이트 제작을 편리하게 하지만, 두 개 이상의 페이지 빌더를 함께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아바다 테마의 경우 아바다 빌더라는 빌더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아바다 테마에 엘리멘터를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마찬가지로 뉴스페이퍼 테마에도 tagDiv Composer라는 자체 빌더가 있으므로 뉴스페이퍼에서도 엘리멘터나 다른 페이지 빌더를 함께 사용하면 충돌 문제가 발생하고 사이트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블록 에디터로 글을 작성하려면 글 > 새로 추가를 클릭하면 새 글을 작성하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페이지를 작성하려면 페이지 > 새로 추가(또는 새 페이지 추가)를 클릭하도록 합니다. 기존 글이나 페이지를 수정하려는 경우 글의 경우 글 > 모든 글에서 수정할 글 제목 위에 마우스를 올려서 "편집"을 클릭하고, 페이지의 경우 페이지 > 모든 페이지에서 수정할 페이지 제목 위에 마우스를 올려서 "편집"을 클릭합니다.

다음은 글 > 새로 추가를 클릭했을 때 표시되는 새 글 작성 화면입니다. 페이지 작성 화면은 이와 약간 다르지만 사용 방법은 동일합니다.

- 상단의 툴바에는 맨 외쪽에 블록 추가 아이콘이 있고 그 옆에 도구 아이콘, 되돌리기와 다시 실행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그리고 오른쪽에는 미리보기, 공개 아이콘이 있고 옆의 설정 아이콘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의 문서/블록 사이드바가 표시되거나 숨겨집니다. 맨 오른쪽의 Y 모양의 아이콘은 Yoast SEO를 설치했을 때 표시됩니다(이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으면 표시되지 않음).
- 제목을 입력합니다.
- 본문 콘텐츠를 작성합니다. 블록 단위로 추가하여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문서 속성과 블록 속성 패널입니다. 문서 속성에는 고유주소, 카테고리, 태그, 특성 이미지 (Featured Image), 요약, 토론 등이 표시됩니다. 블록 속성에는 선택한 블록과 관련된 속성이 표시됩니다.
카테고리에서 '미분류'(혹은 '분류되지 않음')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워드프레스에서 ‘분류되지 않음’ 카테고리를 삭제하는 방법"을 참고로 '미분류' 카테고리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특성 이미지에 이미지를 설정하면 최신 글 목록이나 카테고리 페이지/태그 페이지 등의 아카이브(보관물) 페이지에서 개별 글의 특성 이미지가 썸네일로 표시되도록 글 작성 시 특성 이미지(티스토리 등에서는 "대표 이미지"라는 용어로 사용됨)를 시정하시기 바랍니다.
글을 작성하려면 제목을 입력하고 글쓰기를 시작하거나 / 키를 눌러 블럭 선택 부분에서 글을 입력합니다. 이미지나 HTML 코드, 유튜브 동영상, 코드 등을 입력하려면 블록 옆의 플러스 (+)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Tip: 구텐베르크에서 제공하는 단축키를 사용하면 글 작성 시 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블록을 삽입할 때에도 문단(Paragraph) 블록에서 슬래시(/)를 입력하고 블록 이름(예: "/이미지")을 입력하여 쉽게 블록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시간과 능률을 향상시키는 워드프레스 구텐베르크 키보드 단축키"를 참고해보세요.
그러면 최근에 선택한 블록들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이 표시됩니다.

원하는 블록이 없으면 블록 검색에서 블록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블록 이름이 한글로 번역된 경우 한글로 검색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영어로 검색하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 "button"으로 검색합니다. (이 블록은 아직 한글화되지 않았지만, 추후에 한글로 번역될 것입니다.)

원하는 블록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아래의 Browse all (모두 찾아보기)을 클릭하거나 상단 툴바의 맨 왼쪽에 있는 Add Block (블록 추가)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블록 목록이 표시됩니다.

Patterns 탭을 클릭하면 미리 만들어진 패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5.5로 업데이트되면서 블록 에디터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점점 페이지 빌더를 닮아가는 것 같습니다. 사용법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조금 시간을 내어 만져보면 쉽게 적응이 가능할 것입니다. 블록 에디터가 네이버 블로그와 비슷해졌다고 하는 분도 계시는데요, 사용해보면 훨씬 강력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Tip: 글을 작성할 때 이전 글 링크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링크를 걸 텍스트를 선택한 후에 Ctrl+K를 누르고 이전 글 제목을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방법은 "워드프레스 내부 링크 추가하는 간단한 방법"을 참고해보세요.
재사용 가능 블록 사용하기
기본 에디터(블록 에디터)로 페이지나 글을 작성할 때 특정 블록을 다른 곳에서 다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블록 에디터의 '재사용 가능 블록'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버튼이나 배너 등 반복되는 블록을 다른 페이지나 포스트에서 다시 만들 필요 없이 불러올 수 있습니다.
참고: 구텐베르크 갤러리 블록 사용하기
이미지들을 갤러리 형식으로 나열할 때 유용합니다. 갤러리 설정에서 열 개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보다 정교한 갤러리 기능을 원하는 경우 갤러리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텐베르크 편집기 비활성화하기]
워드프레스 버전 5.0 이상에 통합된 구텐베르크 편집기를 사용하지 않고 고전 편집기를 사용하려는 경우 대시보드 > 플러그인 > 새로 추가에서 "Classic Editor"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이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설정 > 쓰기에서 클래식 에디터가 구텐베르크를 완전히 대체할 것인지, 아니면 기본적으로 블록 에디터(구텐베르크)를 사용하고 클래식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는 링크를 옵션으로 추가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에디터를 바꿀 수 있도록 허용하려면 "Allow users to switch editors"를 "Yes"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No"를 선택합니다.
워드프레스 5.0 이상 버전에서 구텐베르크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에 이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고전 편집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전 편집기 사용]
워드프레스 5.0 이하 버전에서는 고전 편집기(클래식 에디터)가 기본적으로 사용됩니다. 구텐베르크 에디터를 사용하는 경우 위의 "구텐베르크 사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5.0 이상 버전에서 고전 편집기를 사용하려는 경우 위의 "구텐베르크 편집기 비활성화하기" 부분을 참고하여 구텐베르크를 비활성화하고 고전 편집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글 > 새로 추가(새글 쓰기)를 클릭합니다.

- (1) 제목
- (2) 글 내용
- (3) 카테고리 추가/선택
- (4) 태그 추가
- (5) 특성 이미지(썸네일) 추가
- (6) 글 발행
참고로 '특성 이미지'(혹은 워드프레스 버전에 따라 '대표 이미지')를 지정해주어야 사이트의 첫 페이지(전면 페이지)와 카테고리 등의 아카이브 페이지에 썸네일이 표시되도록 설정된 경우 썸네일이 표시됩니다. 특성 이미지를 지정하지 않으면 썸네일이 표시되지 않거나, 테마에 따라 테마에서 지정한 기본 이미지(예: No Image라는 문구가 표시된 이미지)가 표시됩니다.
카테고리(6)는 여기에서 선택하거나 새로운 카테고리를 추가해도 되지만, 알림판 > 글 > 카테고리에서 미리 카테고리를 구성한 다음에 글 편집 화면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해도 됩니다.
참고로 카테고리에서 '미분류'(이전 워드프레스 버전에서는 '분류되지 않음')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카테고리를 삭제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워드프레스에서 ‘분류되지 않음’ 카테고리를 삭제하는 방법" 글을 참고로 '미분류'(혹은 '분류되지 않음') 카테고리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에는 보이지 않지만, 글 형식을 지정해주는 상자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글 형식은 보통 표준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이미지, 비디오, 인용 등의 글 형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이트에 표시되는 레이아웃은 테마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글을 작성하고 만족스러우면 "공개"를 클릭하여 글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글을 공개하기 전에 맞춤법 검사를 실시하면 좋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점에서 기본적인 워드프레스 책을 하나 구입하여 볼 것을 권장합니다. 책을 본다고 해서 워드프레스를 갑자기 잘 다루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사용법을 모르는 상태에서 시작하면 많은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습니다.
※ 참고: 테마에 따라 자체 페이지 빌더나 비주얼 컴포저(현재 명칭 "WPBakery Page Builder") 또는 Elementor와 같은 외부 페이지 빌더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면 코딩 지식이 부족해도 사이트 제작이 수월해집니다.
보통 페이지 작성 시에는 페이지 빌더(사용되는 경우)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글(포스트) 작성 시에는 워드프레스에 탑재된 기본 편집기(블록 에디터 또는 고전 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블로그에 현재 적용된 뉴스페이퍼 테마에는 자체 페이지 빌더인 tagDiv Composer 플러그인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예약글 발행하기 (예약 포스팅)
미리 글을 작성해놓고 미래의 특정 시간에 발행되도록 하는 예약 포스팅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SEO적인 측면에서 한꺼번에 여러 개의 글을 발행하는 것보다 일정 간격으로 글을 공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평일에 글을 작성할 시간을 내지 못하는 경우 주말이나 휴일에 여러 개의 글을 작성하고 평일에 예약 발행되도록 하면 SEO에 바람직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워드프레스 예약 포스팅 방법"를 참고해보세요.
SEO에 적합한 글 작성하기
워드프레스는 SEO에 최적화되어 있지만, 지난 1~2년 사이에 경쟁이 치열해져 검색엔진에서 원하는 키워드로 상위에 노출되는 시간이 몇 년 전보다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에는 검색엔진에 잘 노출되는 글을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SEO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Yoast SEO, All in One SEO Pack, Rank Math 등과 같은 플러그인을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Yoast SEO나 Rank Math에는 검색엔진 노출을 돕는 SEO 분석 기능을 제공하므로 활용하면 검색엔진 결과에서 상위 페이지에 검색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전면 페이지 설정하기
이제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브라우저에서 보면, 테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최신 글 목록이 첫 페이지에 표시될 것입니다.
이 경우 첫 페이지(전면 페이지)에 표시할 페이지를 하나 만들도록 합니다. 페이지는 페이지 > 새로 추가 (워드프레스 버전에 따라 "새 페이지 추가")에서 만들 수 있고, 글 작성과 비슷합니다. 글 제목을 "Home" 또는 원하는 이름으로 지정합니다.
Elementor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는 경우 페이지 > 새로 추가에서 새 페이지를 만들고 페이지 템플릿 등을 지정한 다음 저장합니다. 그런 다음 엘리멘터 편집 아이콘을 클릭하여 엘리멘터로 페이지 편집 화면을 열고 템플릿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의 "엘리멘터 프로 템플릿 로드하기" 부분을 참고해보세요.
그리고 페이지를 하나 더 만들고 아무런 내용 없이 저장합니다. 글 제목을 편의상 "Blog"라고 지정하겠습니다.
전면 페이지는 사이트의 얼굴이므로 신경을 많이 써야 할 것입니다. 블로그 사이트의 경우 이 블로그처럼 최신 글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홈페이지 표시"가 "최근 글"로 설정되어 있으면 첫 페이지에 최신 글 목록이 나열됩니다. 다만, 테마에 따라 그 레이아웃이 달라집니다. 그리고 테마 소스 파일을 수정하여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만약 첫 페이지에 표시할 페이지를 하나 만들어서 전면 페이지로 설정하려는 경우, 알림판의 설정 > 읽기에서 홈페이지 표시를 "정적인 페이지"로 선택하고 "홈페이지"를 Home(혹은 다른 페이지)으로, "글 페이지"를 Blog로 지정해주도록 합니다.

그러면 사이트 홈(예: http://www.example.com)에는 "Home" 페이지가 표시되고, "Blog" 페이지(예: http://www.example.com/blog)에는 최신 글이 나열됩니다.
페이지 레이아웃 작업을 수월히 하기 위해 Elementor 같은 페이지 빌더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페이지/글 편집
워드프레스 페이지/글 수정 방법
워드프레스 페이지나 글을 작성하다 임시글로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계속 작성하거나 작성한 후에 수정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수정하려면 페이지 > 모든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모든 페이지 목록이 표시됩니다. 수정하려는 글 제목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숨겨져 있던 메뉴가 표시됩니다.

편집을 클릭하여 페이지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빌더로 작성된 경우 페이지 제목 옆에 페이지 빌더 이름이 표시됩니다. 페이지 빌더로 만든 경우 Edit with 페이지 빌더 이름(예: 엘리멘터 페이지 빌더의 경우 "Edit with Elementor" 또는 단순히 "편집하기")을 클릭하도록 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글을 편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 로그인한 다음 수정할 페이지나 글을 방문합니다. 그러면 상단 툴바에 편집 링크가 표시됩니다.

페이지 편집을 클릭하면 기본 편집기(블록 에디터 또는 고전 편집기)에서 편집이 가능하고 Edit with Elementor(엘리멘터 버전에 따라 "편집하기")를 클릭하면 페이지 빌더에서 편집이 됩니다.
글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편집이 가능합니다. 글 > 모든 글에서 수정을 원하는 글 제목 위에 마우스를 올려 편집 링크를 클릭하여 편집하거나, 해당 글을 브라우저로 방문하여 상단 툴바의 이 글 편집을 클릭하여 수정합니다.
페이지 빌더 사용 시 참고 사항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면 코딩 지식이 없어도 수월하게 전문적인 디자인의 페이지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입니다. 페이지 빌더는 페이지 편집에 주로 사용하고, 글(포스트) 작성 시에는 기본 에디터(블록 편집기 또는 고전 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여 글을 작성할 경우, 추후에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지 않거나 다른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는 테마로 바꾸는 경우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글을 Elementor 페이지 빌더로 작성했다가 아바다나 엔폴드 테마로 바꾼다면 Elementor를 비활성화할 경우 글에 수많은 지저분한 코드가 표시됩니다. 그러면 Elementor도 함께 사용해야 하는데, 페이지 빌더 자체가 무겁기 때문에, 두 개의 페이지 빌더를 사용하면 사이트 속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빌더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포스트 작성 시에는 가능하면 기본 편집기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PDF 문서 등 미디어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방법
PDF 등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하여 방문자들이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링크로 제공하고 싶은 경우 다운로드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는 플러그인이 조금 무거울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시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몇 명이 다운로드했는지 등 통계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다운로드 플러그인이 편리할 것입니다.
단순히 PDF 문서를 업로드하여 링크로 다운로드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에는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직접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워드프레스에서 PDF 파일 다운로드 방법"을 참고해보세요.
이메일 주소와 이름을 입력해야 (즉 뉴스레터에 가입해야) 문서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경우 How to Add an E-book Optin Form with an Immediate Download to Divi’s SEO Layout Pack을 참고해보세요. 이외에도 Brave Popup Builder 플러그인의 유료 버전이나 Download After Email – Subscribe & Download Form Plugin(무료)을 활용하여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페이지, 글 목록 열(컬럼)이 너무 좁은 경우
워드프레스 페이지 목록, 글 목록, 상품 목록, 포트폴리오 목록 화면 등에서 열(컬럼) 개수가 많거나 태그 등의 특정 항목이 길어서 컬럼이 좁아서 불편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화면 옵션에서 꼭 필요한 항목만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테마와 플러그인
무료 테마와 유료 테마
WordPress.org에서는 많은 무료 테마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검색 화면에 나오는 것과 달리 실제 적용해보면 사이트가 매우 썰렁하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즉, 기대했던 것과 완전히 다르게 표시될 것입니다.
제대로 된 사이트를 만들려면 설정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워드프레스 책을 참조하면서 하나씩 설정해나갈 수 있습니다.
조금 더 빠르게 가는 방법으로 유료 테마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테마는 Themeforest 사이트서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또는 이 블로그에서 테마 메뉴를 클릭하여 다양한 테마에 대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테마포레스트의 Avada와 Elegant Themes의 Divi가 많이 사용되는 유료 테마입니다.
유료 테마를 구매할 경우 해당 테마에서 제공하는 데모 중에서 선택하여 사이트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베스트셀링 테마인 Avada에서는 현재 다음과 같은 다양한 데모를 제공합니다(현재 약 4058개. 데모는 계속 추가됨).
아바다에서 데모를 설치하는 방법은 이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데모를 올린 후에 페이지를 수정하는 방법은 "아바다 테마 데모 수정하기"를 참고해보세요.
테마를 선택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을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
- 테마가 언제 최종 업데이트되었는가? 오랫동안 업데이트되지 않은 테마는 선택하지 않도록 합니다. 워드프레스는 연중 2회 정도 메이저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테마가 오랫동안 업데이트되지 않으면 워드프레스와 호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들의 평가.
- 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테마 개발자(판매자)의 대응. 질문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보면 좋을 듯 합니다.
- 제공되는 데모. 원하는 레이아웃이나 기능을 제공하는지 살펴봅니다. 가능한 비슷한 레이아웃이나 기능이 있는 테마를 선택하면 추후 커스터마이징(사용자 요구에 맞게 수정) 작업이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 쇼핑몰을 운영할 경우 WooCommerce 플러그인과 호환되는지 확인. 대부분 테마가 별 문제가 없지만, 테마에 따라 우커머스 템플릿이 테마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우커머스에서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 나열하기" 참고).
- 다국어 사이트(예: 영어, 일본어, 중국어 사이트를 동시에 운영)를 운영하려는 경우 WPML과의 호환성 확인. 워드프레스에서 다국어 사이트는 WPML과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거나 멀티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바다, Enfold 등 많이 사용되는 테마를 선택하는 경우 워드프레스 관련 커뮤니티(카페 등)에서 질문을 올리면 도움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참고로 이 블로그에는 현재(2019년 4월 5일 기준) Newspaper(뉴스페이퍼)라는 매거진 테마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뉴스페이스 테마에 관련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 블로그의 아무 글에 댓글로 질문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제가 확인할 수 있으면 답변을 해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글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워드프레스 유료 테마 설치 후 데모 사이트와 비슷하게 설정하기
- 워드프레스 테마 삭제하기
- Attitude 테마로 워드프레스 무작정 시작하기
- Twenty Twelve 테마 + WooCommerce: 초간단 커스터마이징
※ 주의: 구글을 검색해보면 유료 테마를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거나 매우 저렴하게 판매하는 불법 사이트가 있습니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다운로드하는 유료 테마나 플러그인에는 대부분 멀웨어가 심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실제 그런 사례를 종종 목격합니다.
약간의 돈을 아끼려다가 더 큰 손해를 볼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망합니다. 금전적으로 압박을 받는 경우 괜찮은 무료 테마도 많으므로 무료 테마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테마나 데모, 플러그인 설치에 실패하는 경우
웹호스팅 서버의 PHP 환경 설정값이 낮거나 디스크 공간이 부족한 경우 테마나 데모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부 웹호스팅 업체의 경우 서버 사양이 좋지 않아서 테마(데모 포함)나 플러그인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압축을 풀고 직접 FTP를 통해 업로드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다른 웹호스팅으로 이전을 고려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테마나 플러그인 설치와 관련하여 문제가 있는 경우 아래 댓글로 달아주시면 아는 범위 내에서 도와드리겠습니다.
플러그인 사용하기
워드프레스에서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서 플러그인 > 새로 추가에서 플러그인을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아래 "플러그인 검색하기" 참고).
적절한 무료 플러그인이 없는 경우 Codecanyon에서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쇼핑몰을 운영하려는 경우에는 WooCommerce 플러그인(무료)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페이지에서 다양한 우커머스용 애드온 플러그인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많은 플러그인을 설치할 경우 사이트 속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플러그인 간 충돌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경우 플러그인 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떤 플러그인을 사용해야 할지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 다음 글을 참고하여 꼭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플러그인을 선택하여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블로그에서 다양한 플러그인을 소개하고 있으니 검색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
- 글/페이지를 클릭 한 번으로 복제하기
- 공사중/사이트 준비 중/유지보수 알림 플러그인
- 워드프레스 사이트 이전하기(Duplicator)
- Loco Translate를 사용하여 워드프레스 테마/플러그인 번역하기
- WPML 플러그인으로 다국어 워드프레스 사이트 만들기
- 워드프레스 폼메일 플러그인 Contact Form 7 사용법
- Quform 컨택트 폼 플러그인 - 단계별로 양식을 입력할 수 있는 다중 페이지 기능 제공
- 무료 워드프레스 신청서 플러그인 WPForms Lite와 Contact Form 7 비교
- 워드프레스에 버디프레스(BuddyPress) 구성하기
- iThemes Security 워드프레스 보안 플러그인
- 워드프레스 최적화 플러그인 Autoptimize
- 워드프레스 팝업 플러그인 Popup Builder
- 기능이 많은 워드프레스 팝업 플러그인 Popup Maker
- 워드프레스 프리미엄 팝업 플러그인 - Convert Plus
- 간편하게 워드프레스 차일드 테마를 만들어 주는 Child Theme Configurator
- '혼합된 콘텐츠 차단' 문제를 수정하는 Really Simple SSL 플러그인
참고로 워드프레스 설치 후 기본적인 작업에서 테마/플러그인을 설치/삭제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플러그인 검색하기
알림판 > 플러그인 > 새로 추가에서 WordPress 저장소에 등록된 무료 플러그인을 검색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검색란에 원하는 키워드나 플러그인 이름을 입력하여 검색이 가능합니다. 다만, 한글로 검색하면 검색이 안 되므로 영어로 검색하도록 합니다. 영어가 익숙하지 않으면 구글번역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단어 조합을 입력해도 됩니다.
SEO로 검색해보면 위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표시되는 플러그인들의 대략적인 정보가 표시됩니다. 설치된 사이트 수, 사용자 평점, 최근 업데이트 날짜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용자 수가 많고 최근에 업데이트된 플러그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업데이트된지 오래된 플러그인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상세"를 클릭하면 조금 자세한 정보를 팝업창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보통은 영어로 나와 있지만, All in One SEO는 한글화가 되어 한글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들면 "지금 설치"를 클릭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All in One SEO는 유료 버전도 있습니다. SEO에 대한 고급 정보를 이용해보고 싶은 경우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적당한 플러그인을 찾지 못했다면 구글에서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한글로 검색해보고 적당한 플러그인이 없으면 영어로 검색하도록 합니다. 정확한 영어가 아니더라도 구글에서 알아서 검색해줍니다. redirection wordpress plugin처럼 단어를 대강 조합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검색은 구글에서 하면 정확한 결과를 찾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네이버는 검색 품질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설치하는 플러그인 개수는 제한이 없지만, 가급적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잘못 만들어진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사이트 속도가 느려지거나 다른 플러그인과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 만들어진 플러그인은 많이 설치해도 사이트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입니다.)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보안상 안전합니다. 오래된 플러그인은 보안상 문제가 될 수 있고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나 다른 테마 혹은 플러그인과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하는 플러그인을 찾지 못한 경우 아래에 댓글로 남겨주시면 적당한 플러그인이 있는지 확인해드리겠습니다.
✅ 계속하여 기본적인 워드프레스 사용법에 대하여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질문이 있는데요ㅜ
구글에드센스 승인을 위해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만들었는데 거절을 당했습니다.
거절이유로 콘텐츠 없음이라고 떴는데 글이 25개라서 아예 검색을 못 한것 같습니다.
사이트맵을 제출안해서 이렇게 된 것이 맞나요?
아니면 혹시 사이트를 아스트라로 해서 회사페이지 처럼 꾸며놨는데 이것도 문제가 될수 있나요..? 시간되시면 사이트 한 번 봐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ㅜㅜㅜ(ohjiwoo.com)
다른 댓글에서 답변드렸듯이 사이트맵 주소가 /wp-stemap.xml인 것 같네요. 워드프레스 5.5부터 워드프레스에서 자체 사이트맵을 제공합니다. Yoast SEO에서 사이트맵을 비활성화하면 워드프레스 내장 사이트맵이 활성화됩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5-5%EC%97%90-%EC%83%88%EB%A1%AD%EA%B2%8C-%EC%B6%94%EA%B0%80%EB%90%98%EB%8A%94-xml-%EC%82%AC%EC%9D%B4%ED%8A%B8%EB%A7%B5/
안녕하세요. 포스트와 페이지의 개념은 잘 설명해주셔서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A B C D 라는 4개의 페이지를 갖고 있고 그 중에서
A라는 페이지를 제 대문 화면으로 사용을 하고
그 중에서 B C D 중에서 B 라는 페이지에다가 글을 보이게끔 작성하고 싶은데요. 네이버 블로그처럼 대 카테고리가 하나 있고 그 안에다가 작은 세세한 카테고리를 넣는 형식으로 하고 싶은데
이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예를 들어서 B 라는 페이지를 눌렀을 때
제가 쓴 글들이 B 라는 페이지를 눌렀을 때 전체보기로 다 보이고 그 안에 소 카테고리를 볼 수 있게끔 하고 싶습니다만..
안녕하세요? 정확하게 어떤 식으로 글들을 표시하고 싶으신지는 제가 잘 파악을 못하겠네요. 죄송합니다. 블로그 글들을 입맛에 맞게 표시하고 싶은 경우 뉴스페이퍼 테마를 이용하면 매우 다양한 형식으로 글들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wordpress-sites-with-the-newspaper-theme/
현재 테마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음 글에서 소개하는 플러그인을 활용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블로그 글들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a%b5%ac%ed%85%90%eb%b2%a0%eb%a5%b4%ed%81%ac-%eb%b8%94%eb%a1%9d-%ed%94%8c%eb%9f%ac%ea%b7%b8%ec%9d%b8-2%ec%a2%85/
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가 궁금해서 이리저리 찾아보다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지금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결제를 해서 도메인도 만들고 테마들을 보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이 하나 있는데.
워드프레스 자체 도메인 구매 후, 웹호스팅은 워드님이 작성하신 블루호스트 같은 곳을 통해서 따로 호스트를 구매해야 하는건가요?
워드프레스 구매 + 웹 호스트 구매 + 그 후 설정 = 블로그 사용
이런 결론이 되는게 맞나요?
워드프레스 자체만 구매하면 블로그를 만들 수 있는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WordPress.com에서 가입하여 사용하는 가입형과 WordPress.org에서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여 사용하는 설치형입니다.
설치형을 이용할 경우 웹호스팅에 가입하여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여 블로그를 운영해야 합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웹호스팅에서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 옵션을 제공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파일 자체는 무료이지만, 웹상에 콘텐츠를 표시하려면 웹호스팅을 이용하거나 서버를 직접 운영할 수 있습니다.
가입형은 WordPress.com에서 가입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무료 요금제와 유료 요금제가 있습니다. 위에 이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세요. 가입형은 제약이 많은 편이며, 심플하게 블로그를 운영하기에 괜찮은 옵션입니다.
최근 워드프레스의 한국어 번역이 업데이트되면서 이상하게 번역이 바뀌었습니다. 번역 오류는 조만간 수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패이지 -> 페이지
업대이트 -> 업데이트
외관 -> 테마 디자인
꾸미기 -> 사용자 정의하기
태이블 -> 테이블
이외에도 다수의 오류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의 메뉴 번역이 블로그나 책 또는 유튜브에 나오는 UI와 다르더라도 번역 오류가 수정될 때까지 감안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어렵네요 ㅠㅠ 진짜 생초보를 위한 혹시 영상 같은거는 없을까요
이전에도 한 유튜브 채널을 보며 따라하는 듯이 생성 했었는데..
그 채널이 없어졌습니다...ㅠㅠㅠㅠ
안녕하세요, 댓글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최대한 쉽게 설명한다고 노력했는데, 어려운 부분이 있는가 보네요.
어떤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는지 알려주시면 글을 수정하거나 댓글로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도메인설정부터 블로그 생성까지 PC로만 가능한가요? 태블릿 아이패드 환경에서도 진행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eon님.
스마트폰으로도 가능할 것입니다. 오래 전에 스마트폰으로 작업한 적이 있었는데 제약이 많아서 불편했습니다.
태블릿을 사용한다면 크롬 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작업해보시기 바랍니다. 가능한 경우 PC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리구요. 계속 정독해 가면서 배우겠습니다. 문의사항은이 있는데요. 과거 블루호스트 계정 가입하여 워드프레스를 세팅하다가
최종적으로 다 하지못하고, 1년이 지나서 호스팅 기간이 만료가되었습니다.
다시 로그인 하려고하니 계속 되지 않던데 호스팅 기간 만료가 되면 이전 정보가 다 사라지는 것인지? 여쭈어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nono님. 보통 웹호스팅 업체에서 1개월 정도는 백업본을 보관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체에 따라 정책이 다르므로 블루호스트에 연락하여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라이브 채팅으로 문의해보시겠어요?
https://avada.tistory.com/771
로고 제작과 로고 등록 해결 달 되었습니다.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쁘네요.즐거운 휴일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대단한 사이트를 운영하고 계시는 점 존경스럽기 까지 합니다.
훌륭하십니다.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어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싹 블로그 입니다.
티스토리 시작으로 다른 사업까지 염두에 두고 결국 워드프레스까지 하기로 마음먹고 몇 일 전부터 차근차근 준비하고 배우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시각으루요..
워드프레스 상단 헤드에 로고를 넣으려고 하는데 도통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로고를 어떤 방법으로 넣을수 있는지 부탁 드립니다. 검색을 해봐도 정보가 마땅치 않아요.
이메일로 답변을 주셔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바이오라이프님.
헤더 상단에 배너를 넣으려고 하시는 건가요?
워드프레스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1. 배너 플러그인 사용
2. 테마 파일 수정하기
3. 테마 기능 사용하기 (후크)
저는 이 블로그에 적용된 GeneratePress 테마에서 제공하는 후크(Hook)를 활용하여 헤더 상단에 HTML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추후에 시간이 날 때 정리하여 글로 작성해보겠습니다.
쉬운 방법으로 Top Bar 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D%83%91-%EB%B0%94-%ED%94%8C%EB%9F%AC%EA%B7%B8%EC%9D%B8-top-bar-pro/
Brave Popup이라는 팝업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82%AC%EC%9A%A9%EC%9D%B4-%EC%89%AC%EC%9A%B4-%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D%8C%9D%EC%97%85-%ED%94%8C%EB%9F%AC%EA%B7%B8%EC%9D%B8/
답변 해주신 것을 늦게 봐서 송구합니다.
이것과 관련된 글을 포스팅해 주신다니 기대하겠습니다.,
저도 지금 뉴스페이퍼 스킨 쓰고 있습니다 .정말 말씀 하신대로
깔끔하긴 합니다.
전 무료계정이라 구글 검색하면 나오는 내용과 일치 하지 않아서 질문 드린겁니다.
그렇군요 저와 같은 초심자는 플러그인을 적극 활용해야겠군요.
그럼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헤더에 로고를 넣고나서 플러그인을 삭제 해도 되는지요?
깔끔하고 간결한 것을 좋아해서 필요 없는 플러그를 소유하고 싶지는 않아서요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상단 배너(Top Bar)를 표시하는 경우,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할 경우 배너가 사라질 것입니다.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계속 유지해야 합니다.
뉴스페이퍼(Newspaper)는 유료 테마입니다. 이 블로그에는 GeneratePress라는 테마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GeneratePress 테마에서는 후크를 제공하므로,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후크를 사용하여 상단에 배너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후크는 무료 버전과 유료 버전 모두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무료 버전에서는 직접 테마의 함수 파일에 코드를 추가해야 하고, 유료 버전에서는 Elements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관리자 페이지에서 코드를 넣을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intermediate/generatepress-%ED%85%8C%EB%A7%88-%ED%9B%84%ED%81%AC-%EC%82%AC%EC%9A%A9%ED%95%98%EA%B8%B0/
유용한 글 잘 읽었습니다. 내용이 엄청나네요.
댓글 작성 폼에서 'Save my name, email, and website in this browser for the
next time I comment.' 문구가 표시되는데... 이 문구를 없앨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앨리스님.
"Save my name, email..." 문구는 EU의 개인정보보호규정 준수를 위해 워드프레스에 추가된 것입니다.
이 댓글 쿠키는 몇가지 방법으로 제거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1. 사용자 코드 사용하기
다음과 같은 코드를 테마의 함수 파일(가급적 차일드 테마를 만들어 작업)에 추가하면 보통 이 댓글 쿠키 문구가 사라질 것입니다.
add_filter( 'comment_form_default_fields', 'tu_comment_form_hide_cookies_consent' );
function tu_comment_form_hide_cookies_consent( $fields ) {
unset( $fields['cookies'] );
return $fields;
}
2. CSS를 사용하여 숨기기
위의 방법으로 안 되는 경우 간단한 CSS 코드를 사용하여 숨길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쿠키 문구가 로드되지만 CSS를 사용하여 방문자들에게 보이지 않도록 역할을 합니다.
예시:
p.comment-form-cookies-consent { display: none; }
CSS 코드를 워드프레스에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how-to-add-css-in-wordpress/
3. 테마 파일 수정하기
다른 방법으로 테마 파일을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차일드 테마를 만들고, 쿠키 문구를 로드하는 테마 폴더 내의 파일을 차일드 테마 폴더로 복사('이동'이 아님)한 다음, 해당 부분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 중에서 편한 방법을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뉴스페이퍼와 같은 테마에서는 이 댓글 문구를 대시보드에서 한글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 문구를 변경하거나 번역하고 싶은 경우 다음 글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save-my-name-email-%EB%B2%88%EC%97%AD-%EB%98%90%EB%8A%94-%EB%B3%80%EA%B2%BD/
너무나도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초반에 전략을 잘못세워 워드프레스로 제작을 하지 않고, 한국에서 커스텀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하였습니다. 구글 SEO에 굉장히 저품질로 평가되고 있어 구글애즈에 많은 예산을 들이고 있습니다. 1년전에 별도의 랜딩페이지를 만들어 운영중인데 기존 홈페이지를 대신할 새 홈페이지를 워드프레스로 제작하려고 합니다. 이때, 1년전에 만든 랜딩페이지에 페이지들을 추가해서 제작하는 것이 나을지 아예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나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 그럴 경우 도메인은 새 홈페이지에 붙여서 사용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슬기로운워커생활님.
많은 분들이 이 경우 기존 사이트를 대체하여 새롭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만약 기존 랜딩 페이지를 유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하위 폴더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작하려는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블로그 위주라면 /blog 폴더를 하나 만들고, 그 폴더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가능한 경우 워드프레스로 현재 랜딩 페이지도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만드는 것도 한 방법 같습니다.
제가 2번째 질문에 좀 부연설명을 드리자면 지난 토요일에 구글서치콘솔에서 사용자인증을 받고 사이트맵도 성공적으로 등록하였습니다. 그리고 거의 4일이 지난 현재 구글서치콘솔 검색결과, 사이트맵에서 발견된 URL수는 77개, 상태는 성공으로 표시가 되는데, 색인생성범위에는 오류 0, 유효(경고있음) 0, 유효 1, 제외됨 0 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그간 4개의 게시글(포스팅)을 올렸는데 제목을 복사하여 구글에서 검색하면 하나도 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대신 이상한 태그검색 화면만 구글에서 조회가 됩니다. 신규 블로그라 유입이 없는 건 당연히 이해를 하는데, 색인조차 되지 않으니 먼가 잘못된게 아닌지 걱정이고 아예 갈아엎고 다시 해볼까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Autoptimize를 비활성화하시고, SEO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개별 글마다 SEO 설정(타이틀, 설명 등)을 해보시겠어요?
그리고 URL을 수동으로 제출하여 색인이 되어 있지 않다고 나오면 색인 요청을 제출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색인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경우에 따라 SEO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맵을 비활성화하고, 대신 Google XML Sitemaps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사이트맵을 생성하여 제출하면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한 분도 계십니다. 하지만 그 분의 블로그도 구글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데 3~4개월 정도 걸렸다고 하네요.
위의 조치를 취해서 효과가 있는지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효과는 당장에는 나타나지 않고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8월에 공개가 예정된 워드프레스 5.5에서는 자체 사이트맵이 내장될 예정입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5-5%ec%97%90-%ec%83%88%eb%a1%ad%ea%b2%8c-%ec%b6%94%ea%b0%80%eb%90%98%eb%8a%94-xml-%ec%82%ac%ec%9d%b4%ed%8a%b8%eb%a7%b5/
현재 WordPress 5.5 Release Candidate가 릴리즈되었습니다.
https://wordpress.org/news/2020/07/wordpress-5-5-release-candidate/
원하시는 경우 공식 버전은 아니지만 WordPress 5.5 Release Candidate 버전을 설치하여 워드프레스 5.5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맵을 사용해볼 수도 있습니다. 공식 버전이 아니기 때문에 버그가 있을 수 있지만, WordPress 5.5 Release Candidate 이전 버전인 베타 3 버전을 테스트해보니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 관련 글들을 너무 잘 정리해주셔서 많은 참고를 하고 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어 댓글남깁니다.
제 블로그를 이멜일로 구독하면 새로운 포스팅이 등록시 전체 포스팅 내용이 메일로 구독자에게 보내지는데요. 혹시 내용을 숨기거나 썸네일과 제목만 보낼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나요? 포스팅 내용 전체가 구독자에게 가다보니 혹여나 블로그로의 유입이 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스카저님.
구독 기능을 위해 어떤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이메일을 수집하고 알림 메일을 보내나요?
안녕하세요. 제가 별도로 설정한 것은 없고 워드프레스 처음 사용 당시부터 subscribe 버튼이 있었고 그걸 그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새글에 대한 메일이 온 것을 보면 양식이 워드프레스처럼 보입니다.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려주시면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한가지 질문을 더 드리고자하는데요. 구글서치콘솔에 블로그를 등롣, 소유권확인, 사이트맵 제출까지 마친지가 3일이 다 되어가는데 색인이 거의 안 되고 있습니다. 개별 url 의 색인요청은 오늘 몇개 해봤습니다만 몇 시간이 지난 지금도 안 되네요. 혹시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나요? 웹사이트 주소도 남깁니다.
아마 젯팩 (Jetpack) 플러그인의 Subscriptions 기능을 사용하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저는 젯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설정을 확인해드릴 수 없습니다.
Jetpack의 Subscriptions 문서를 참고해보세요.
참고로 설치형 워드프레스에서는 JetPack을 설치하면 사이트 속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이트 속도가 느리다면 Jetpack을 비활성화할 것을 권장합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 WordPress.com에서 가입하여 사용하는 워드프레스)에는 JetPack이 통합되어 있고, 최적화되어 속도가 빠른 편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등록할 경우 구글 검색 엔진에 노출되는 데 꽤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저는 최근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나 개설하여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한 지 7주째 접어들었지만 아직도 구글에서는 거의 유입이 안 되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경우에도 1~2개월 정도 지나야 제대로 유입되기 시작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여유를 가지고 지켜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초기에는 수동으로 URL을 제출하여 수집을 요청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avada.tistory.com/1719
안녕하세요.
우선 너무도 자세하고 친절한 제반 정보에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비 전문가가 자체 웹사이트에 쇼핑몰 기능을 넣으려고 정보를 검색하다 만능 상자 같은 이 사이트를 접하고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런 주옥 같은 정보를 바탕으로 혼자 공부하고 테스트 해보다 웹페이지 상단에 헤더 역활의 템플릿을 삭제하여 복구할 수 없어서 멀리 베트남에서 문의 드립니다.
문제의 개요는
1. 로그인, 언어 선택, 회사 이름, 다섯 가지 페이지 선택 메뉴(각 다섯 색상의 동그라미 이미지)가 각 각의 섹션으로 하나의 템플릿으로(노란색 테두리 선) 저장되어 있었는데 삭제 되었습니다.
물론 이 헤더는 새 페이지를 작성할 때마다 모든 페이지 상단에 노출 되었습니다.
2. 삭제된 과정은 Coming soon이란 Plugin을 설치하여 페이지를 작성하는 테스트중 coming soon의 내용을 페이지가 아닌 섹션처럼 원하는 페이지의 필요한 장소에 붙여 넣고 싶어 페이지 제작 화면이 생성 되었을 때 상기 템플릿을 모두 삭제해 버렸습니다. 이 Plugin은 페이지를 생성해 주는 것인데 제가 잘 못 이해하여 결국 중단하고 Coming Soon 내용을 붙이고 싶었던 자리에 Section만 추가하여 만들기는 했습니다.
3. 상기 과정 후 모든 페이지에서 상기 노란선 템플릿이 사라져 복구할 수 없습니다.
저장된 템플릿 내역에 보면 그 템프릿은 선택 활성화 네모 상자가 나타나지 않아 혹시라도 Elementor 편집에 들어가 history라도 확인하여 복구 하고 싶어도 Trash/View/Duplicate this만 선택할 수 있어 그 마저 불가 합니다.
4. 원 웹사이트 제작자와는 지금 연락할 수 없어 그 템플릿이 어디에 저장 되어 있는지, 어떻게 복구할 수 있는지 방법을 알 수가 없군요.
또 하나 상기 작업 후 Sticky Plugin을 비활성화 시켰다가 상기 문제 해결 시도 과정에서 활성화를 시켰는데 이게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그러나 헤더가 계속 상단에 남는 Sticky 기능은 처음부터 없었습니다.
혹시 도움 주실 수 있으면 고맙겠습니다.
호치민에서...
(사진 첨부가 안되는군요. 혹시 필요 하시면 관계 사진도 송부 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상님.
사이트를 살펴보니 GeneratePress 테마와 Elementor Pro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네요.
헤더 부분은 Elementor Pro 기능을 사용한 것인가요?
현재 개별 갤러리 페이지를 방문하면 헤더와 메뉴가 노출되지 않고 있네요.
웹호스팅이 가비아 같네요. 가비아에 연락하여 백업본이 있는지 한 번 체크해보시겠어요?
헤더 템플릿은 DB에 저장될 것입니다.
삭제하셨다면 DB에서도 삭제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미지로 되어 있다면 미디어 라이브러리에 해당 이미지가 있는지 체크해보시겠어요? 이미지가 있다면 해당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헤더 템플릿을 다시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는 GeneratePress 테마를 사용하므로 상단에 심플하게 이 블로그처럼 Secondary Menu를 표시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빠른 회신에 감사 드립니다.
최근에 혼자서 독학하며 저희 웹사이트 제작 구조를 하나씩 이해해 가고 있는데 GeneratePress 테마가 설치되어 있으나 거의 모든 페이지가 Elementor Pro를 이용하여 테마 관계없이 별도로 만들어 진 것 같습니다.
제가 그만큼 요구 사항이 많았던 모양이죠...
결국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닌 것 같아 다시 헤딩을 작성하기로 했습니다.(디자이너겸 완벽하진 못해도 개발자 역할을 하는 베트남 직원이 1명 있습니다)
도메인은 가비아에서 구입했지만 웹호스팅은 어느 싱가폴 회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웹제작 담당했던 사람의 추천이었습니다.
참고로 지워졌던 헤더는 afromazidesign.com/dagiac에서 보실수 있는데 메뉴바를 로고 동그라미에 연결 주소를 넣어 사용했는데 누구나 다 쓰는 메뉴 바를 피하고 싶었습니다.
아무튼 자세하고 신속한 회신 다시 한 번 감사 드립니다!!!
블로그를 후원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더 나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ㅎ
웹호스팅 공간이 충분하다면 백업 플러그인을 하나 설치하여 백업을 해놓으면 추후에 문제가 될 경우 되돌릴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db%EC%99%80-%EB%8D%B0%EC%9D%B4%ED%84%B0%EB%A5%BC-%EB%AA%A8%EB%91%90-%EB%B0%B1%EC%97%85%ED%95%98%EB%8A%94-%EB%B0%B1%EC%97%85-%EB%B3%B5%EC%9B%90-%ED%94%8C%EB%9F%AC%EA%B7%B8%EC%9D%B8-updraftplus/
베트남을 대상으로 사업을 하신다면, 베트남에서 선호하는 홈페이지 트렌드가 우리나라와 다를 것도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현지인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으면서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도 한 방법 같습니다.
더운 날씨에 건강 유의하시고 사업이 잘 되기를 바랍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현재 조그마한 회사에서 수년전에 '나모'웹에디터로 직접 회사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잘 사용하다가, 워드프레스로 새로 제작을 하려고 하는데 아직도 이해가 안 가는부분이....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서 ftp를 통해서 어떻게 기재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정말이지 이 부분에 대해서 쉽게 설명된 곳이 없더군요.
안녕하세요, 윤정호님.
워드프레스는 PHP 기반이기 때문에 HTML로 직접 코딩하여 만드는 것과는 다릅니다.
다음 글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wordpress-page-structure/
그런 다음 이 글을 천천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곳에서 하나하나 배우고 있는 초보입니다.
워드프레스에서 엘리멘터를 설치하고 페이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엘리멘터 기본 서체에 다양환 한글폰트가 들어있는데,
원하는 폰트를 선택해도 서체가 바뀌질 않습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그리고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성당님.
엘리멘터 페이지 빌더를 살펴보니 한글 서체는 구글 폰트인 나눔 고딕을 사용할 수가 있네요.
https://www.screencast.com/t/shBWH2PVLS
다른 폰트를 사용하려면 다음 글을 참고하여 폰트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C%97%90-%EB%82%98%EB%88%94%EC%8A%A4%ED%80%98%EC%96%B4%EB%9D%BC%EC%9A%B4%EB%93%9C-%ED%8F%B0%ED%8A%B8-%EC%A0%81%EC%9A%A9/
하지만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한글 글꼴로 많이 사용되는 나눔 고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정말 잘 정리해 놓으셨고, 모든 필요한 정보들을 올인원셋 해 놓으셔서 다른 정보는 더 찾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피터리님.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가능한 모두 올리려고 노력했지만, 아직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
워드프레스 처음 입문 하였습니다. 아직은 생소하지만 많은 도움이 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공부를 해야할것 같습니다.
한가지 문의 사항이 있는데요
제가 워드프레스 연습중 회사 홈페이지를 export 하여 html 문서로 저장후 새로 연습하는 site 에서 'upload it to import content.' 하여 저장하여
succes!! 메세지가 나타났는데 site 들어가니 변경이 안되고 있습니다.
무슨 문제가 있는건지 답답하여 문의 드립니다.
혹시 upgrade 안하고 무료로 사용하여서 그런지요?
안녕하세요, 영탄님.
HTML 문서를 저장하여 워드프레스 사이트로 Upload가 가능한가요?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업로드하셨나요?
혹시 가입형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고 계시나요?
워드프레스의 도구 > 가져오기 기능은 보통 다른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도구 > 내보내기에서 Export한 콘텐츠를 가져오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HTML 사이트를 워드프레스로 이전하는 방법은 없고, 워드프레스 사용법을 익혀서 비슷하게 혹은 동일하게 만드시면 됩니다.
이 글에 언급되어 있듯이 가입형 워드프레스는 제약이 많기 때문에 비즈니스 요금제가 아닌 경우에는 마음대로 커스텀하는 데 제약이 많습니다. 워드프레스의 모든 기능을 활용하시고 싶으시면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용 블로그나 심플한 회사 사이트인 경우 가입형도 괜찮은 옵션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즈니스 요금제 이상이 아니면 애드센스 광고를 달 수 없는 등 제약이 많습니다.)
다시 확인해보니 페이지에 들어와 있네요. customize - add page 메뉴에서 편집하여 수정하였습니다. 기본 제공 테마가 달라 페이지및 내용이 다르게 깨지는 문제는 있습니다.
회사 홈페이지는 카페24 가입된거를 Export 하여(xml 파일로 저장됨) 개인 연습용 홈페이지에서 import 하여 저장 하였습니다.
막상 편집하려 보니 회사 홈페이지랑 개인 홈페이지랑 메뉴가 다르게 나와 그것도 어렵더군요. 아직은 아무것도 몰라 한참 공부 해야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 부탁 드리며 감사 드립니다.
콘텐츠를 옮길 때에는 워드프레스에서 제공하는 내보내기/가져오기 도구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이 경우 페이지, 글, 미디어 파일 등을 옮길 수 있는데, 이전한 후에 테마를 적용하여 다시 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사이트를 그대로 옮기고 싶은 경우에는 Duplicator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intermediate/duplicate-the-wordpress-site-with-duplicator/
몇 가지 기본적인 사항을 추가했습니다.
* 워드프레스 관리지 페이지 메인 메뉴 살펴보기
* 페이지/글 편집 방법 및 참고 사항 (페이지 빌더 관련)
와~ 워드프레스 논문이네요 박사님! @@"
매우 인상적입니다. 문장력도 좋으셔서 읽기도 너무 좋습니다. 즐찾해놓고 공부할 참입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Serina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수정할 점이나 개선할 사항이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저도 궁금한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질문 내용을 정리하기는 하지만
막상 홈페이지를 작성하면 여러가지 어려움이 체계적인 코딩문외한이라서 해결할수있는 능력이 부족하네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정리하여 올려주시면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저도 코딩에 문외한이지만, 요즘 Toolset이라는 툴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Toolset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코딩이 필요한 작업도 다양한 기능을 코딩 작업 없이 구현이 가능합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toolset-%EC%82%AC%EC%9A%A9-%EC%82%AC%EC%9D%B4%ED%8A%B8/
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해보려고 가입형으로 시작한지 몇 달 지났어요.
근데 네이버블로그보다 훨씬 어려운거 같아요.
모르는 것도 많고 전문적인 블로거도 아니다보니 천천히 찾아보면서 하려는 중에 word님의 글을 보게 되어서 질문드려요.
저는 이제 시작하는 초보 블로그운영자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인데 지금은 가입형으로 운영해도 충분하겠지요? 방문자가 많을지 어떨지도 모르겠고 그냥 제 욕구에 의해서 운영해보려고 하거든요. 윗 글에는 설치형을 기본으로 설명해주셔서 혹시나 설치형으로 갈아타야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어 질문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실님.
어떤 목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는가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냥 취미 목적으로 블로그를 운영하신다면 가입형을 이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를 내 마음대를 수정하여 사이트를 만들어보고 싶거나, 애드센스 광고를 달아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고 싶은 경우 설치형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가입형에서 애드센스 광고는 비즈니스 요금제(유료)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A%B0%80%EC%9E%85%ED%98%95-%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wordpress-com%EC%97%90%EC%84%9C-%EC%95%A0%EB%93%9C%EC%84%BC%EC%8A%A4-%EB%B0%B0%EB%84%88-%EA%B4%91%EA%B3%A0-%EC%9A%B4%EC%98%81/
설치형에는 그런 제약이 없고 자유롭게 커스텀이 가능니다. 워드프레스의 모든 기능을 활용해보고 싶은 경우 설치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심플하게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 가입형도 괜찮은 선택지일 수 있습니다.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빠른답변에 힘입어 몇가지 궁금한 점 더 질문해도 될까요?^^;;
현재는 취미형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추후에는 어떻게될지 모르겠어요.
블로그로 수입이 생긴다면 또 생각이 달라지겠지요.
혹시 그럼 가입형을 이용하다가 설치형으로 갈아탈 수 있나요? 그렇게 된다면 기존에 있던 블로그의 모든 내용과 기록들을 자동으로 혹은 쉽게 옮길 수 있나요?
그리고 지금은 무료로 쓰고있지만 나중에 생각처럼 잘 운영을 한다면 요금제로 바꿀 생각이었는데 가입형 프리미엄으로 쓰는것보다 설치형으로 쓰는게 저렴한가요?
안녕하세요?
프리미엄 요금제가 월 8달러입니다.
https://wpnews.co.kr/2019/01/20/%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A%B0%80%EC%9E%85%ED%98%95-%ED%94%84%EB%A6%AC%EB%AF%B8%EC%97%84-vs-%EB%B9%84%EC%A6%88%EB%8B%88%EC%8A%A4-%EC%9A%94%EA%B8%88%EC%A0%9C/
하지만 프리미엄 플랜으로도 제약이 많습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달 수가 없습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달 필요가 없다면 사용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비용도 그리 저렴한 편은 아닙니다. 다만, 방문자가 많으면 사실상 무제한 트래픽이므로 설치형보다는 이득일 것입니다. 설치형의 경우 방문자가 별로 없으면 저렴한 상품을 사용해도 되지만, 방문자가 늘어나면 점점 높은 요금의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런 경우에도 이득이 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붙여서 웹호스팅 비용을 충분히 뽑을 수 있거든요.)
가입형을 사용하다가 설치형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mirgate-wordpress-com-to-wordpress-org/
다시한번 답글 정말 감사합니다!
참고하러 자주 들러야겠어요.^^
작성하신 글 잘보고있습니다.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개의 도메인으로 각 개 주소가 다른 여러사이트 구축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문식님.
어떤 식으로 여러 개의 사이트를 구축하시기를 원하시나요?
1개의 도메인으로는 1) 서브 디렉터리 형식이나 2) 서브 도메인 형식으로 가능할 것입니다.
가령, 서브 디렉터리로 운영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서브 디렉터리 형식으로 여러 개의 사이트 운영이 가능합니다.
한국어 사이트: https://www.thewordcracker.com/
영어 사이트: https://www.thewordcracker.com/en-us/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웹호스팅 상품에서 허용하는 경우 서브 도메인 형식으로도 가능합니다. (예: https://blog.thewordcracker.com/ )
답변감사합니다.
신발관련 판매를 하고싶어서 처음 도메인주소를 abx.com으로 등록하고 사이트 개설 후 운영하면서 다른 판매사이트도 개설 운영하고 싶다면 도메인을 추가 구매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도메인을 달리하고 싶다면 다른 도메인을 추가 등록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카페24 등을 이용할 경우 상품에 따라 1계정에 여러 개의 도메인을 연결하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지만 "보통" 사이트는 하나만 운영이 가능합니다. 즉, 동일한 사이트에 여러 개의 도메인이 연결되는 형식입니다. 새로운 도메인에 다른 사이트를 설치하여 운영하려면 별도의 계정을 만들어(구입하여) 작업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블루호스트의 경우 최저가 상품인 Basic에서는 하나의 도메인만 운영할 수 있고, 나머지 상품(Plus 이상 상품)에서는 도메인 추가에 제한이 없습니다. 도메인을 달리하여 여러 개의 사이트를 운영하고 싶은 경우 Plus 이상 상품을 이용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추가하지 않고 별도의 사이트를 운영하려면, 앞서 답변드렸듯이 하위 디렉터리 방식이나 하위 도메인(2차 도메인) 방식을 이용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도메인 자체는 동일하여 사용자들이 동일한 사이트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https://www.thewordcracker.com/ 사이트와 https://www.thewordcracker.com/en-us/ 사이트는 서로 분리된 사이트이지만 방문자들은 동일한 사이트로 인식할 것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워드프레스 A to Z 네요. 몇번 정독해서 봐야 할것 같습니다.
부족한 글을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좀전에 얼마안되는 금액이지만 후원해드렸습니다. 김윤정으로 입금했습니다. 제가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한지 이제 한달 하고도 10일정도 된것 같습니다.
이것저것 정보동영상도 보고 구글링도 하면서 어찌어찌 쫒아서 개설하고 애드센스신청도 승인라서 등록도 되었고.. 제가 쓴 글도 검색은 잘 되고 있지만 사실 문제는 상위노출 이잖아요.
지금 제글은 검색을 해보면 평균적으로 5~6페이지 정도에 머물고 있는데요, 1페이지에 등록되는 상위노출이 되려면 양질의 컨텐츠로 계속 글을 올리기만 하면 되는건가요? 구글 상위노출은 정말 너무 어렵네요 ㅠㅠ
여기저기 뒤져보니 백링크 라는 말이 나오던데 그것도 지금 몇시간동안
정보 찾아보다가 머리아파서 그냥 전문가에게 물어보는것이 나을것 같아
이렇게 워드프레스 전문가님 께 여쭙습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도 상위노출을 하려면 라는것을 만들어야 되는지?
두팔로우 백링크, 노팔로우 백링크 이렇게 두가지가 있던데
이 두가지를 다 만들어야 되는건지..?
아무리 뒤져봐도 속시원하게 해답을 주는곳이 없네요. ㅠㅠ
올해 1월 중순에 워드프레스 블로그 첫 개설하고 지금까지 쉼없이
달려왔는데.. 백링크에서 의문이 안풀리니까 답답하기만 하네요.
그냥 이렇게 쭈욱 양질의 컨텐츠를 쓰기만 하면 되는건지..
seo에 맞춰서 잘 써나가고 있긴 하거든요. ㅠㅠ
안녕하세요, 김윤정님.
후원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Yoast SEO나 Rank Math 혹은 SEOPress 같은 SEO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검색엔진에 잘 노출되는 글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플러그인이 영어 기준으로 되어 있어서 한글과 관련하여 안 맞는 부분이 조금 있습니다.
가령, 이러한 SEO 플러그인에서 '조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를', '워드프레스에서'...에 있는 키워드 '워드프레스'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활용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SEO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글을 작성할 때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조언을 들을 수 있습니다. 가령, 내부 링크와 외부 링크가 있어야 하고, 이미지에는 ALT 텍스트를 지정해야 하고, 글 길이는 어느 정도 이상이어야 하며, 문단이 너무 길면 안 된다... 등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도 영어와 한국어의 차이를 조금 이해하고 적용할 부분을 적용하고 적절히 응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
SEO는 글쓰기와 관련됩니다. 다음 글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wordpress-and-seo/
그리고 SEO 플러그인으로는 Yoast SEO가 가장 인기가 있지만, 무료 버전에서는 기능이 제한된 부분이 있습니다. Rank Math 플러그인에서는 비교적 많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seo-%ED%94%8C%EB%9F%AC%EA%B7%B8%EC%9D%B8-rank-math/
SEOPress라는 플러그인도 괜찮은 옵션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글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무료 SEO 플러그인 중에서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블로그의 SEO 메뉴에 있는 글들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tag/seo/
*** SEO에 맞게 글을 작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SEO 플러그인에서 제시하는 원칙과 맞지 않더라도 사용자들에게 흥미를 끄는 좋은 글을 작성해도 검색엔진에 잘 노출될 수 있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상위에 노출되지 않겠지만, 몇 달 정도 지나면 노력 여하에 따라 유의미한 성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 검색엔진은 고유한(unique) 글을 좋아하고 중복을 싫어합니다. 중복을 줄이고 고유한 콘텐츠를 늘리면 SEO에 도움이 됩니다. 다음 글에서 다루는 카테고리와 태그 문제도 이러한 사항과 관련이 있습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log/%ec%9e%98%eb%aa%bb%eb%90%9c-%ec%b9%b4%ed%85%8c%ea%b3%a0%eb%a6%ac%ec%99%80-%ed%83%9c%ea%b7%b8-%ec%82%ac%ec%9a%a9/
아네~ ^^;; 긴 조언글 감사합니다.
Yoast SEO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글을 작성할 때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조언 나오는거는 다 수정해서 문제가 없다고 나오면 그때 등록을 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현재 평균 5-6페이지 정도에 서 제글들이 검색이 되고 있는 중입니다. ( 개설한지 한달 좀넘음 )
그런데,, 진짜 제가 Word님께 듣고싶었던 답은, 현상태에서 구글상위노출에 필수로 필요하다고 하는 라고 하는것을 추가로 꼭 작업을 해주어야하냐 하는것입니다.
Word 님 께서 조언해주신 말씀대로만 하면서 양질의 컨텐츠를
꾸준하게 몇달동안 올리는 노력을 계속하면 라고 하는
작업 없어도 상위노출이 될수 있는지에 대한 것을 여쭤보고 싶었네요.
꼭좀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어제도 그놈의 백링크 때문에 몇시간을 헤메다가 포기 ㅠㅠ
백링크 작업은 워드프레스 블로그가 아닌 일반적인 홈페이지에 필요한 작업이고, 워드프레스 블로그엔 Yoast SEO 플러그인 설치한상태로 그에 맞는 최적의 양질의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꾸준히 발행하기만 한다면 상관이 없는건지요?
백링크(backlink, 외부 URL에서 내 웹 사이트로 이동하는 링크)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것은 하루 아침에 되는 것은 아니고, 내 사이트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다른 블로그나 사이트에서 내 글의 링크를 인용하면서 늘어날 것입니다.
백링크를 늘리는 방법으로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와 네이버 블로그, 티스트리 블로그 등에서 내 글의 링크를 거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내 글의 품질이 좋다면 자연히 백링크도 늘어날 것입니다.
SEO에 맞게 글을 작성하는 작업과 함께 내 블로그(사이트)를 홍보하는 노력도 함께 기울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령 다른 블로그에 가서 열심히 댓글을 다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입니다.
부연하자면...
페이스북 인플루언서로 성공한 분이 하루 매일 100개씩 다른 사람 페이스북에 정성스럽게 댓글을 작성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유튜브로 성공한 한 유튜버도 다른 사람의 유튜브 채널에 가서 동영상을 끝까지 보고 해당 영상에 맞게 댓글을 작성하는 노력을 했다고 합니다.
블로그 유입을 더욱 빨리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다른 블로그에 가서 댓글을 정성스럽게 다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페이스북 활용도 가능한데요. 페이스북에 내 글을 꾸준히 공유하면서, 다른 사람 페이스북에 정성스러운 댓글을 꾸준히 달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제 블로그에는 댓글을 달 때 웹사이트 주소를 넣을 수 있습니다.
( 웹사이트 주소란을 없애는 것이 댓글 폼이 간결하지만 저는 일부러 남겨두고 있습니다.)
댓글을 달면서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다른 방문자가 해당 댓글을 보고 호기심이 생기면 URL을 클릭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도 댓글을 달 때, 게스트로 댓글을 달면서 내 사이트 URL을 입력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매일 100개는 불가능하겠지만 하루 10개라도 정성스럽게 댓글을 달아보면, 시간이 지나면서 방문자 유입에 더 빠르게 증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unicon 테마로 홈페이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완전 초보고 패스트캠퍼스에서 워드프레스 홈페이지 만들기 강좌가 있기에 한번 정주행하고
(강의에 나오는 실습은 다 해 보았습니다.)
홈페이지를 만들고 있는지 보름쯤 되었습니다.
unicon 테마는 강의 중 강사가 사용해서 유료로 구매하여 사용했던 것이고,
테마 데모도 그럭저럭 괜찮아 보여서 이걸로 만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테마의 mega menu는 다 나오는 데,
데모 이미지가 먹통이네요. ㅜㅠ
그래서 처음에는 "아 이런 이미지를 사용하면 페이지가 멋있게 구현되는구나"
라는 샘플로 제시된 것인가보다라고 생각했지만,
다른 유료 플러그인(슬라이더 레볼루션6)을 사용해 보니
데모이미지를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이예요.
그래서 알아보다가 이 블로그 글에도 보니 테마의 이미지를 당연히 사용할 수 있다고
나오네요. ㅜㅠ
제 경우 무슨 문제일까요?
현재 호스팅은 aws ec2를 사용하고 있고 이 인스턴스에는 현재 워드프레스와 unicon테마와
슬라이더 레볼루션6만 설치되어 있어서 용량의 문제는 아닌 듯 해서요.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테마에 포함된 데모 이미지는 라이선스 때문에 사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베스트셀링 테마인 아바다 (Avada) 테마의 경우 데모에 포함된 이미지는 라이선스가 있기 때문에 데모용으로만 사용 가능하고 실 사이트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https://avada.co.kr/avada/%EC%95%84%EB%B0%94%EB%8B%A4-%ED%85%8C%EB%A7%88%EC%97%90-%ED%8F%AC%ED%95%A8%EB%90%9C-%EC%9D%B4%EB%AF%B8%EC%A7%80%EC%9D%98-%EB%9D%BC%EC%9D%B4%EC%84%BC%EC%8A%A4-%EB%AC%B8%EC%A0%9C/
Unicon 테마 판매자에게 문의하여 데모에 포함된 이미지의 라이선스에 대해 문의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경우에 따라 이미지의 라이선스 때문에 데모에 포함된 이미지가 로드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이 블로그에 데모 이미지를 실 사이트에 사용할 수 있다고 나온 글이 있나요? 글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 부분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 이 부분 입니다.
===================
유료 테마를 구매할 경우 해당 테마에서 제공하는 데모 중에서 선택하여 사이트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베스트셀링 테마인 Avada에서는 현재 다음과 같은 다양한 데모를 제공합니다(현재 약 4045개. 데모는 계속 추가됨).
===================
그렇다면 맘 편하게 제 이미지를 사용해야 겠네요.
unicon테마에 문의하는 과정이 고난의 행군 저리가라더라고요.
문의해도 아마 필자님 말씀처럼 답변이 나올 듯 합니다.
아무튼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언급된 부분에서 데모 이미지의 사용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데모 이미지는 말씀드렸듯이 라이선스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데모 이미지를 사용하려는 경우 테마 판매자에게 문의해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바다 테마의 경우 "데모 목적"으로만 이미지가 제공되고 실 사이트에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Divi 테마의 경우 거의 매주 무료 레이아웃 팩을 제공하고 있으며, 레이아웃에 포함된 이미지는 로열티가 없기 때문에 상용 사이트에 이용이 가능합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divi%ec%9a%a9-%eb%ac%b4%eb%a3%8c-candy-shop-%eb%a0%88%ec%9d%b4%ec%95%84%ec%9b%83-%ed%8c%a9/
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로 개인 블로그를 만들고 있습니다. 다른건 정말 다 좋은데요~! 저는 메인 페이지에 카테고리별로 최신 글을 출력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그걸 잘 모르겠어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제가 카테고리로 [코딩], [글쓰기], [축구] 이렇게 카테고리를 잡았어요.
그러면 메인 페이지에 각 카테고리별로 최신글이 나오게 하고 싶은데 그걸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 네이버 블로그 처럼 레이아웃도 2열, 또는 3열로 변화를 주고 싶기도 하고요
https://koodaehyon.blog.me/221597770551
꼭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블로그에 사용 중인 뉴스페이퍼 같은 매거진 테마를 사용하면 카테고리별로 쉽게 글을 다양한 레이아웃 형식으로 나열할 수 있습니다.
뉴스페이퍼의 Live Preview 페이지에서 뉴스페이퍼 테마의 데모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작년에 이 블로그의 테마를 뉴스페이퍼로 리뉴얼했는데, 콘텐츠가 많은 블로그나 뉴스, 매거진 사이트에 적합한 것 같습니다.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switched-the-wordpress-theme-to-newspaper/
안녕하세요.
질문 사항 보충 내용이 있어서요.
워드프레스 운영시 현재 운영중인 부동산 홈페이지 처럼
모바일 연동 포함, 지도 서비스, 매물관리나,고객관리 등의 데이터 관리도 가능할까요?
홈페이지 제작업체에 맡긴 것이고, HTML, CSS정도만 초보 수준으로 알고 코딩도 잘 모르는데
직접 제작, 관리 할 수 있을까해서요..
안녕하세요, 조웅기님.
부동산 테마를 사용하면 테마에서 제공하는 데모를 활용하여 사이트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EB%B2%A0%EC%8A%A4%ED%8A%B8-%EB%B6%80%EB%8F%99%EC%82%B0-%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D%85%8C%EB%A7%88-2017/
https://avada.tistory.com/1491
하지만 테마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이 필요한 경우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어느 정도 커버할 수 있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개발자를 고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글에서 소개하는 테마들이 데모를 살펴보시고 제작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가장 근접한 테마를 선택하면 시간과 비용을 조금 절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글 내용이 너무 많아 다 읽지는 못했지만, 워드프레스에 관심이 많고, 제작도 고려 중이라 질문 드립니다.
먼저, 현재 네이버 블로그, 카페, 유튜브와,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툴 용도로 모든 채널을 직접 운영중인데,
홈페이지의 경우 코딩지식이 없고 모바일과 연동시키는 등의 기능적인 부분을 알지 못해서
제작업체에 의뢰를 맡겼습니다.
호스팅과, 도메인을 구입해주어 현재는 데이터를 추가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하며 운영중에 있습니다.
하단의 질문 이해를 돕기 위해, 운영중인 홈페이지와, 블로그 주소를 남겨 드리니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
http://jrich-realestate.com/
https://blog.naver.com/lbowroom
일단 워드프레스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현 홈페이지의 페이지 구성이나 사용자 화면을 수정하기가 힘들다는
부분이 큽니다. (코딩 지식도 없을 뿐더러 코드 자체를 제가 볼수도 없습니다. 홈페이지 제작업체에 수정을 매번 부탁하기도 힘들고, 큰 틀의 디자인은 고정이 되어 있어서..)
1. 코딩 초보자도 워드프레스를 이용해 사용자 화면을 원하는 대로 갖추기가 용이할까요?
(대부분 영상을 제작한 유튜브 링크나, 블로그 링크를 걸고, 배너 정도 올릴 듯 합니다.)
힘들지만 블로그와, 유튜브, 홈페이지를 모두 운영하는 이유는 현재 네이버 블로그가 검색창에 노출이 잘 되기 때문에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서, 유튜브와 홈페이지 링크를 걸어 세일즈를 하기 위함입니다.
2.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게 되면, 이처럼 구글 혹은 네이버 쪽에서 검색했을 때, 전략적인 운영 방법, 기간이 필요하겠지만
상위 노출이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3. 워드프레스 사이트 성격이 - 블로그, 비지니스, 전문적, 온라인 매장 으로 분류 되던데, 단순 템플릿 차이인가요?
노출에도 영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웅기님.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몰라도 이 댓글에 대해서는 제가 답변을 달지 않았네요.
1. 어느 정도의 수정을 원하는지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기본적인 HTML, CSS 정도는 익혀주면 어느 정도 수정이 가능합니다. 기본적인 CSS는 익히기가 그러 어렵지 않고 며칠이면 가능할 것입니다. 무료로 CSS 강의하는 사이트도 있으므로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개발이 필요한 부분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사이트가 제작된 상태에서 약간의 수정을 하는 것은 (범위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인 워드프레스와 테마 사용법과 CSS 등의 지식으로 가능할 수 있습니다.
2. 구글은 꾸준히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보다는 확실히 경쟁이 치열해진 것 같고 상위에 올라가는 데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글은 한 번 상위에 올라가면 잘 내려오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네이버는 복불복인 것 같습니다. 잘 노출될 수도 있고, 전혀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제 블로그는 현재 네이버 유입이 평일 하루 500명 내외가 방문하고 있지만 구글에 비해서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미미한 수준입니다. 네이버 상위 노출을 원한다면 네이버 블로그가 더 좋은 옵션일 수 있습니다.
3. 네이버에서의 분류라면, 네이버에서 어떤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웹사이트로, 어떤 사이트는 '블로그'로 분류하는 것 같습니다. 네이버에서 어떤 기준으로 블로그와 웹사이트를 구분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동일한 테마, 동일한 콘텐츠를 다루는 블로그라도 어떤 사이트는 '블로그' 섹션에, 어떤 사이트는 '웹사이트' 섹션에 분류될 수 있습니다.
'다음' 검색엔진 사용자는 네이와 구글에 비히 적은 편이지만 다음의 경우 워드프레스를 대체로 '웹사이트'로 분류하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사이트를 만들고있는데, 무료테마로 사용하고잇어요.
고객이 form작성해 summit한것을 어디서 확인하는지 모르겟어서..문의하고,
둘째로는 메인페이지말고... 페이지별로 들어가면 글올린거 관리자(작성자) 이름이 화면 맨아래뜨는데,
원래 ....무료라서 이 부분은 삭제가 안될까요?
삭제방법이없을까요?
마지막으로 해더에 로고가 왼쪽에 정렬되있는데, 중간으로 옮기고싶은데...ㅇㅣ거는
무료테마에서는 변경불가인가요..
찾아보다가 없어서 이리 문의해요.감사해요.ㅜㅜ
이사이트를통해서 너무도움받구잇고, 이번에 기존사이트virtue무료버전사용해서 (5년전에 만들엇더라구요) 웹사이트변경해야하는데 full사이즈도 안되고 변경안되는게 많아서..결국.....이번에 avada 사서 해보려고요..문제없겟죠?ㅜㅜ걱정되요..돈들여서하는데..
안녕하세요, sun_hi님.
1. 고객이 제출한 폼은 보통 이메일로 전달됩니다. Contact Form 7 플러그인의 경우 데이터가 DB에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Flamingo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manage-contact-form-7-messages/
Quform 같은 유료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DB에 저장하는 옵션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www.thewordcracker.com/basic/quform-has-been-updated-to-suport-multipage-forms/
2. 작성자 이름은 테마 옵션에서 표시/숨기기 기능이 있으면 직접 제어가 가능합니다.
아바다 테마의 경우 작성자, 날짜 등을 표시하거나 숨기는 옵션이 제공됩니다.
https://www.screencast.com/t/ysJlG7Y9ujc3
이 블로그에 사용 중인 Newspaper 테마에서도 마찬가지로 테마 옵션 내에서 제어가 가능합니다. (현재 이 블로그의 글에서는 작성자 이름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만약 테마 옵션에서 제공되지 않는 경우 보통 CSS로 숨길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CSS를 익히시면 쉽게 가능합니다.
3. 로고 정렬도 CSS로 가운데로 옮기는 것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아바다의 경우 테마 옵션에서 헤더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고 로고가 가운데 위치하는 헤더도 제공됩니다.
https://www.screencast.com/t/z49fMugH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