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네임칩 도메인 연결 가이드: 티스토리 & 클라우드웨이즈(워드프레스)

Last Updated: 2025년 04월 02일 2개 댓글

네임칩(Namecheap)은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저렴한 해외 도메인 등록업체입니다. 네임칩에서 닷컴(.com) 도메인을 6.49달러에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 가격이면 도메인 단가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손해를 보고 도메인 등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다만, 갱신 시에는 정상 가격이 적용되므로 도메인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다른 도메인 등록업체로 기관 이전하면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네임칩 도메인 등록업체

이 글에서는 Namecheap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티스토리 블로그와 클라우드웨이즈에 호스팅되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클라우드웨이즈 가입 방법 (+ 45% 할인 쿠폰)

티스토리 블로그와 클라우드웨이즈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네임칩(Namecheap) 도메인 연결 방법

가비아나 카페24 혹은 네임칩 등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티스토리나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연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도메인 등록업체의 네임서버로 설정한 상태에서 A 레코드나 CNAME 레코드를 설정하여 연결하기
  2.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웹호스팅 업체에서 제시하는 네임서버로 설정하여 연결하기

티스토리나 구글 블로그스팟 등과 같은 무료 블로깅 시스템의 경우 보통 1번 방법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는 자체 네임서버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1번 방법으로 A 레코드를 설정하여 연결이 가능합니다. (또는,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제공하는 네임서버 서비스인 DNS Made Easy 애드온을 활성화하여 네임서버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케미클라우드패스트코멧, 카페24 등의 웹호스팅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네임서버를 변경하여 연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가성비가 좋으면서 빠른 호스팅을 원하는 경우 케미클라우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케미클라우드는 서울 서버를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속도가 빠릅니다.)

네임칩에서 도메인 등록 후 DNS 레코드 관리하기

네임칩에서 도메인을 등록하였고 도메인의 DNS 레코드를 설정하여 티스토리나 클라우드웨이즈 등의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먼저 Namecheap 홈페이지에 로그인한 다음, 오른쪽 상단의 Account » Domain List를 클릭합니다.

네임칩 도메인 목록

2 도메인 목록에서 해당 도메인의 맨 오른쪽에 있는 Manage 버튼을 클릭합니다.

네임칩 도메인 관리

3 아래와 비슷한 화면이 표시될 것입니다.

네입칩 도메인 리다이렉트 제거

티스토리나 클라우드웨이즈에 연결하는 경우 네임서버(Nameservers)는 Namecheap BasicDNS로 설정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Namecheap BasicDNS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만약 커스텀 네임서버 DNS로 설정된 경우에는 Namecheap BasicDNS로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네임서버를 변경하면 반영되는 데 하루 정도 걸릴 수 있고 최대 48시간까지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케미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Nameservers 섹션에서 Custom DNS를 선택하고 케미클라우드에서 제시하는 DNS 호스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합니다.

네입칩 DNS 레코드 설정하기

위의 그림에서 Redirect Domain에서 리디렉션이 설정되어 있다면 불필요하므로 삭제해도 될 것 같습니다.

4 상단의 Advanced DNS 탭을 클릭합니다. 고급 DNS 화면에서 DNS 레코드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Namecheap CNAME 레코드 삭제

이제 도메인을 티스토리나 클라우드웨이즈에 연결하도록 DNS 레코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DNS 레코드를 설정할 때에는 신중하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잘못 설정하여 추가한 DNS 레코드를 삭제하고 다시 추가할 경우 반영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계속하여...

  • 👉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하려는 경우 "네임칩 등록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하기"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 도메인을 클라우드웨이즈에 연결하려는 경우 아래의 "네임칩 등록 도메인을 클라우드웨이즈에 호스팅되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연결하기"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네임칩 등록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하기

1 네임칩의 해당 도메인 관리의 Advanced DNS 탭에서 Add New Record 버튼을 클릭합니다.

네임칩 신규 레코드 추가

2 CNAME Record를 선택합니다.

네임칩 CNAME 레코드

티스토리에서는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 중 하나를 지정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티스토리에서 권장하는 CNAME 레코드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CNAME 레코드로 설정하면 추후 서버 IP 주소가 변경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티스토리 도메인 설정 방법

위의 그림과 같이 다음과 같이 두 개의 CNAME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 → host.tistory.io
www → host.tistory.io

티스토리에서 개인 도메인을 추가할 때 www가 있는 도메인과 www가 없는 도메인 중 하나만 추가만 가능하므로 www 호스트는 불필요할 것 같지만, 티스토리 매뉴얼에 따라 두 개 항목을 모두 입력합니다.

3 네입칩에서 아래와 같이 두 개의 CNAME 레코드를 추가하고 Save all Changes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네임칩 도메인을 티스토리에 연결하기

보통 www가 없는 도메인을 티스토리의 개인 도메인으로 추가하면 됩니다. 어떤 이유로 인해 www가 있는 도메인과 www가 없는 도메인 둘 모두를 추가하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여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4 CNAME 레코드를 설정했다면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관리 » 블로그로 이동한 다음, 개인 도메인 설정 섹션의 도메인 연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연결

5 개인 도메인 설정 섹션에서 도메인 이름(예: example.co.kr)을 입력하고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2차 도메인 추가

만약 "도메인 설정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 도메인 제공 서비스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류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도메인 등록업체 홈페이지에서 DNS 레코드를 올바르게 추가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대로 추가했다면 10분 정도 지난 후에 다시 시도해보고, 여전히 오류가 발생하면 1~2시간 후에 다시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우에 따라 최대 48시간까지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

6 DNS 정보가 충분히 변경되면 아래와 같이 DNS 설정 정보확인 완료로 표시되고 보안 접속 인증서가 발급 대기 중으로 표시됩니다.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연결

SSL 보안 인증서 발급은 빠르면 서너 시간, 늦으면 7일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2차 도메인)에 대한 SSL 보안 인증서 발급 기간이 일주일 정도로 길어지는 케이스가 많은 것 같습니다.

7일이 지난 후에도 SSL 인증서 발급이 완료되지 않으면 카카오 고객센터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네임칩 등록 도메인을 클라우드웨이즈에 호스팅되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연결하기

클라우드웨이즈는 A 레코드(IP주소)를 지정하여 도메인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유료 기능인 DNS Made Easy 애드온를 사용한다면 네임서버를 클라우드웨이즈로 지정하여 DNS 레코드를 클라우드웨이즈에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이 애드온은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네임칩에서 A 레코드를 지정하여 Cloudways 서버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과정은 기본적으로 티스토리와 비슷합니다. 티스토리는 CNAME 레코드를 이용하는 반면 클라우드웨이즈는 A 레코드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클라우드웨이즈에 로그인하여 서버의 공인 IP 주소를 확인하여 메모합니다.

서버 관리 페이지의 Master Credentials에서 Public IP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 서버 IP 주소 복사

서버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페이지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워드프레스)가 연결된 서버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 애플리케이션 서버 도메인 복사

서버가 여러 개인 경우 반드시 올바른 서버 IP 주소를 확인하여 복사하시기 바랍니다.

2 네임칩의 도메인 관리의 Advanced DNS 탭에서 Add New Record 버튼을 클릭하여 새 레드르를 추가합니다.

네임칩 새 레코드 추가

3 레코드 타입에 A Record를 선택합니다.

네임칩 A 레코드 선택

4 클라우드웨이즈 서버에 도메인을 연결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이 DNS 레코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둘 중 택1).

@ → 서버 IP 주소 (A 레코드)
www → 서버 IP 주소 (A 레코드)

- 또는 -

@ → 서버 IP 주소 (A 레코드)
www → example.com (CNAME 레코드)

여기에서는 그냥 두 항목 모두 A 레코드로 지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네임칩 A 레코드 추가

5 이제 클라우드웨이즈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클릭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은 워드프레스, 그누보드, 커스텀 PHP 사이트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할 때 워드프레스를 선택하면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됩니다.)

왼쪽 메뉴에서 Domain Management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추가된 도메인 리스트가 표시됩니다. 여러 개의 도메인을 하나의 앱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Add Domain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도메인 추가 팝업이 표시됩니다. 도메인을 입력하여 추가합니다. 여기서는 example.com과 www.example.com과 같이 www가 없는 도메인과 www가 있는 도메인을 모두 입력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도메인 추가

7 도메인이 추가되면 도메인 목록에 표시됩니다. 원하는 도메인을 기본 도메인으로 설정합니다. 오른쪽의 점 세 개로 된 아이콘을 클릭하고 Make Primary를 클릭하면 해당 도메인이 기본 도메인(Primary Domain)으로 지정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기본 도메인 설정

8 SSL Certificate로 이동하여 도메인을 입력하고 Save Changes를 클릭하여 SSL 인증서를 설치합니다.

클라우드웨이즈 SSL 인증서 설치

도메인의 DNS 레코드를 추가한 직후에 SSL 인증서를 설치하려고 시도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Please make sure that your domains are pointed correctly to your server IP" 에러가 발생하면서 SSL 인증서 설치에 실패하게 됩니다.

이 오류가 발생하면...

  1. 도메인 등록업체 홈페이지에서 도메인에 대한 DNS 레코드(A 레코드)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DNS 레코드를 설정하면 정보가 변경되는 데 서너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최대 48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1시간 정도 후에 다시 인증서 설치를 시도해보고, 여전히 설치가 안 되면 하루 정도 후에 다시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9 이제 도메인이 연결되었습니다. DNS 정보 확산 때문에 하루 정도는 불안정할 수 있으며 1~2일이 지나면 안정화될 것입니다. 다른 호스팅에서 클라우드웨이즈로 이전하는 경우, 기존 호스팅의 사이트를 최소 48시간 정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http에서 https로 리디렉션 설정을 해야 하는 경우 Application SettingsHTTPS Redirection 옵션을 활성화하면 됩니다. 이 옵션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을 것입니다.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활성화하시기 바랍니다.

도메인을 구글 서치 콘솔에 도메인 속성으로 등록하기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거나 클라우드웨이즈에 호스팅되는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도메인을 연결한 경우 구글 서치 콘솔에 도메인 속성으로 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속성 추가를 클릭합니다.

속성 유형 선택에서 도메인 속성을 선택하고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도메인 속성을 추가한 이후에 URL 접두어로도 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DNS 레코드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 확인 화면이 표시됩니다. 저는 레코드 유형 선택에서 TXT 대신 CNAME을 선택했습니다.

레코드 유형 선택.
DNS 레코드 유형 선택

CNAME 레코드를 선택하면 CNAME 라벨/호스트CNAME 목적지/대상 등 두 개의 항목 값을 복사합니다.

네입칩의 Advanced DNS 탭에서 CNAME 레코드를 선택하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 다음, Save all changes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DNS 레코드를 설정한 후 10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구글 서치 콘솔 화면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소유권 확인을 시도합니다.

아래와 같이 소유권 확인 실패가 표시된다면 10분 ~ 1시간 정도 기다린 후에 다시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DNS 정보가 충분히 전파된 상태에서 소유권 확인 시도를 하면 정상적으로 소유 확인이 될 것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소유권이 확인됨"이 표시되면 속성으로 이동하여 사이트맵과 RSS 피드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네입칩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티스토리와 클라우드웨이즈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원리를 이해하게 되면 다른 도메인 등록업체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원하는 웹호스팅 서버에 연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작성자 아바타

워드크래커는 전문 영한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10년 이상 워드프레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워드프레스 정보꾸러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사람들’ 네이버 카페도 관리하고 있다.

2 개 댓글

Leave a Comment

  1. 이 글을 읽고 네임칩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도메인을 등록하는 방법이 이렇게 쉽다니 놀라웠어요. 6.49달러라는 가격도 정말 저렴하네요. 하지만 갱신할 때는 가격이 오르니까 조심해야 할 것 같아요. 클라우드웨이즈와 티스토리 연결하는 방법도 잘 설명되어 있어서 좋았습니다. 앞으로 블로그를 시작할 때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응답
    • 네임칩이 신규 가입이나 기관이전 시에는 다른 도메인 등록업체에 비해 비용이 저렴한 편입니다. 갱신 시에는 다른 업체로 기관이전하면 비용을 조금 아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응답
카카오톡 상담 카톡 서비스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