젯팩 통계를 사용하면 워드프레스에서 티스토리의 방문 통계와 비슷하게 간편하게 방문자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작년 초에 젯팩 통계가 상업용 사이트에 대하여 유료화되면서 방문자가 많은 사이트나 애드센스 등의 광고를 표시하는 상업용 사이트에서는 유료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해야 제대로 된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상업용 라이선스로 업그레이드하지 않아도 계속 이용은 가능하지만 매우 제한적인 통계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막힐 수도 있겠지만, 현재 상황에서 상업용 사이트에서 젯팩 통계를 무료로 계속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젯팩 통계 무료로 계속 사용하는 방법
젯팩 통계를 사용하는 경우, 상업용 사이트에서 유료 라이선스로 업그레이드하지 않으면 방문자 수 외의 다른 통계(예: 인기 게시물 또는 페이지, 참조자 (유입 경로))는 볼 수 없도록 블라인드 처리입니다.

만약에 상업용 사이트나 상업용 워드프레스 블로그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런 화면이 표시된다면 상업용으로 업그레이드 버튼을 클릭하여 비상업적인 라이선스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사이트가 비상업용 사이트라는 확인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경우에는 상업용 사이트로 간주됩니다.
- 사이트에 광고(예: 애드센스 광고)가 있는 경우
- 사이트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경우
- 비즈니스를 홍보하는 사이트
- 사이트에서 기부나 후원을 요청하는 경우
하지만 위에 기준에 모두 부합하지 않더라도 다음의 경우에는 상업용 사이트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 방문자 수가 많은 경우. 방문자 수가 적을 때에는 무료로 제공하다가 방문자 수가 증가하면 유료로 업그레이드하라는 경고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 도메인이 .co.kr와 같이 co가 들어가는 경우. co는 영리기관을 의미하므로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상업용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저는 애드센스 광고가 없는 블로그이고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홍보하지 않았지만 상업용 사이트로 간주되어 이의를 제기하니 co.kr 도메인이기 때문에 상업용이라는 답변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co.kr 도메인을 연결하더라도 방문자가 별로 없으면 비상업용 라이선스를 이용하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상업용 사이트로 인식되어도 계속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은 있습니다.
- 모바일 젯팩 앱을 이용하면 최신 버전에서도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젯팩의 구버전 13.4 버전 설치하기
이미 젯팩을 최신 버전을 설치했고, 위의 그림과 같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젯팩 13.4 버전을 설치해도 소용이 없는 것 같습니다. 신규 사이트에 이 방법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젯팩을 설치한 후에 다음 사항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새로운 젯팩 환경 옵션을 활성화하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 플러그인이 업데이트가 되지 않도록 자동 업데이트를 비활성화하시기 바랍니다.
젯팩 13.4 버전은 젯팩 플러그인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거나 네이버 카페 게시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젯팩 통계 이외의 모듈은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이 방법이 막힐 때까지) 상업용 사이트에서도 무료로 젯팩 통계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데이트를 하지 않기 때문에 추후에 워드프레스나 테마, 플러그인과 충돌하거나 보안 문제 등의 이슈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상업용 사이트에서 젯팩 통계 기능을 계속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저는 중요하지 않은 사이트에 젯팩을 설치하여 통계를 확인하고 있지만, 중요한 사이트에서는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젯팩은 유용하지만 사이트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으므로, 이 플러그인을 사용한다면 필요한 모듈(예: 젯팩 통계)만 활성화하여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