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에는 워드프레스닷컴에서 무료 또는 유료로 가입하여 사용하는 가입형 워드프레스와 카페24 등과 같은 웹호스팅에 가입하여 워드프레스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설치형 워드프레스가 있습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에서 무료 요금제로 신규 사이트를 개설하는 경우 보통 example.wordpress 형식의 무료 도메인으로 블로그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무료 요금제로 신규 사이트를 개설하는 것이 막힌 것 같습니다.
기존에 무료 요금제로 개설된 사이트는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신규로 개설하는 것이 현재 안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시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무료 요금제를 폐지하려는 수순인지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워드프레스닷컴에서 무료 요금제가 폐지된 것 같습니다
무료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경우 워드프레스닷컴(WordPress.com)에서 무료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무료 요금제는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 커스텀 제약 (CSS, JavaScript, PHP 등 불가)
- 개인 도메인 연결 불가
- 애드센스를 이용한 수익화 불가
워드프레스닷컴 요금제는 비교적 자주 개편되고 있습니다. 현재 요금제 페이지를 살펴보면 개인, 프리미엄, 비즈니스, 상거래, 엔터프라이즈 등 5개 요금제가 있습니다.

또한, 상단에 "무료 요금제로 시작하세요" 부분을 클릭하면 무료 요금제로 시작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무료 요금제 링크를 클릭하면 이제 도메인 선택( 새로운 도메인 등록 또는 기존 도메인 연결)을 안내하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기존 도메인 사용하기를 선택하여 보유 중인 도메인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로 아무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계속하기 버튼을 눌러보았습니다. (기본 도메인이나 서브도메인 등 원하는 도메인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닷컴에서는 서브도메인에 대하여 사이트를 운영하려면 별도의 요금제에 가입해야 합니다.)

상기 화면에서 선택 버튼을 클릭하면 결제 화면이 표시됩니다.

무료 요금제로 시작하여 도메인을 입력하니 기본적으로 프리미엄 요금제로 가입되네요😥
도메인 선택 화면에서 도메인을 신규 등록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무료로 이용할 수는 없습니다. 본래 무료 요금제에는 도메인을 연결할 수 없었습니다. 도메인 연결을 요구하는 것은 유료 요금제 사용을 강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도메인을 검색하여 선택하면 도메인을 워드프레스닷컴에서 등록하게 됩니다.

.blog 도메인을 선택하면 등록비용이 22달러이지만 첫 해에는 2.20달러로 할인해주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도메인 등록 비용이고, 블로그를 운영하려면 업그레이드 및 저장의 장바구니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유료 요금제(여기에서는 개인 요금제네요)에 가입해야 합니다.
유료 요금제를 선택하면 도메인 등록 비용이 첫 해에는 무료입니다.
결론적으로 도메인 선택 화면에서 도메인을 검색하여 도메인을 등록하든, 혹은 기존 도메인을 입력하든 워드프레스닷컴에서 신규로 블로그를 운영하려면 유료 요금제에 가입해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사용자의 경우 이미 개설한 무료 요금제 사이트는 그대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신규로 개설하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유료 요금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 vs. 설치형 워드프레스
워드프레스에는 가입형과 설치형이 있으며, 보통 워드프레스라 하면 웹호스팅 업체에서 호스팅 상품에 가입하여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는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일컫습니다.
저렴하게 시작하려는 경우 카페24에서 월 500원 또는 1000원짜리 상품을 선택(1000원짜리 이상 상품 권장)하여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가성비 좋은 웹호스팅을 원하는 경우 블루호스트와 비슷한 레벨의 패스트코멧이나 케미클라우드와 같은 해외 공유호스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히 케미클라우드는 서울 서버를 도입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속도가 빠릅니다. 패스트코멧은 도쿄 서버를 제공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속도가 괜찮은 편이지만 케미클라우드에 비해서는 조금 느린 편입니다.
카페24에서는 하나의 상품에 한 개의 사이트 운영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해외 호스팅은 비용 대비 국내호스팅보다 훨씬 더 큰 디스크 공간과 트래픽을 제공하고 여러 개의 사이트 운영이 가능합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의 경우 비즈니스 이상 요금제에서 애드센스 광고 게재가 가능하지만, 설치형 워드프레스는 제약이 없습니다.
블로그를 제대로 운영하려는 경우 설치형 워드프레스가 바람직할 수 있습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는 제약이 많고, 안 되는 것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료 블로깅 시스템을 원한다면 다른 대안으로 티스토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의 차이점에 대하여 다음 글을 참고해보세요.
이 글을 읽어보니 워드프레스에 대한 정보가 꽤 많네요. 가입형과 설치형의 차이점도 잘 설명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쉬웠어요. 무료 요금제로 새로 시작할 수 없다는 소식은 좀 아쉽네요. 그동안 무료로 시작했던 분들은 계속 이용할 수 있다니 다행이에요.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운영하려면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도 고려해야겠어요. 앞으로 블로그를 운영할 때 어떤 방식으로 할지 고민해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