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가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는지 구분하는 방법

Last Updated: 2024년 07월 09일 댓글

어떤 사이트가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몇 가지 방법으로 홈페이지가 워드프레스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Built With와 같은 툴을 사용하면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설치된 테마와 플러그인까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가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는지 구분하는 방법

사이트가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는지 구분하는 방법

Built With와 같은 온라인 툴 사용하기

Built With와 같은 온라인 툴을 사용하면 사이트가 어떤 프레임워크로 제작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진 경우 사용된 테마와 플러그인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Built With에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Content Management System 섹션에서 사용된 CMS가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이 사이트 주소를 입력해보면 이 섹션에 WordPress가 표시됩니다.

워드프레스 버전은 정확하게 파악을 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버전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버전은 확인할 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사이트가 워드프레스가 제작된 경우 Frameworks 섹션에 활성화된 테마가 나열됩니다.

이 사이트에는 GeneratePress 테마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화면에서 Downlaod List of All Webistes using GeneratePress를 클릭하여 GeneratePress 테마로 제작된 사이트 목록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활성화된 플러그인 일부가 파악이 됩니다. 모든 플러그인을 파악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페이지 소스 확인하기

단순히 사이트가 워드프레스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싶은 경우 페이지 소스에서 wp-content 등 워드프레스에서 사용되는 폴더 이름을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Ctrl+U 단축키를 누르면 페이지 소스가 표시됩니다. Ctrl+F를 눌러 wp-content를 검색하여 일치하는 항목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wp-content가 포함된 경로가 있다면 해당 사이트는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wp-content/themes로 검색하여 테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마는 검색될 수도 있고, 검색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wp-content/themes/테마폴더명/style.css에 접근하여 테마 이름, 제작자, 사이트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테마 디렉터리 이름과 테마 정보는 사이트 개발자나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직접 만든 테마이거나 특정 테마를 바탕으로 커스텀한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wp-content/plugins로 검색하여 활성화된 플러그인을 체크할 수 있지만, 이 방법으로 검색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워드프레스의 특정 URL 확인하기

어떤 사이트가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는지 구분하는 방법으로 사이트주소/wp-admin 또는 사이트주소/wp-login.php를 입력하여 로그인 페이지가 표시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워드프레스에서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로그인 페이지를 숨기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일부 사이트는 이 방법으로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보안을 위해 일부 사이트에서 로그인 페이지 URL을 변경하기도 합니다. 이 방법은 초기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로그인 페이지 URL을 숨기는 것이 보안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사이트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크롬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를 통해서도 사용된 테마와 플러그인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캐시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코드를 Minify한 경우 확인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이트가 그누보드로 만들어졌는지 구분하는 방법

간혹 그누보드 등 다른 CMS로 제작된 사이트와 관련하여 문의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저는 그누보드를 사용하지 않아서 잘 모르지만, 드물지만 그누보드/XE 등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하는 작업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사이트가 그누보드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싶은 경우 페이지 소스 보기에서 <script scr="도메인주소/js/wrest.js></script>가 있는지 체크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누보드로 만들어진 사이트는 소스 보기에서 다음과 같은 코드가 발견될 것입니다.

<script>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전역변수 선언
var g5_url = "https://example.com";
var g5_bbs_url = "https://example.com/bbs";
var g5_is_member = "1";
var g5_is_admin = "super";
var g5_is_mobile = "";
var g5_bo_table = "css";
var g5_sca = "Text";
var g5_editor = "cheditor5";
var g5_cookie_domain = ".example.com";
var g4_path = "..";
var g4_is_member = "1";
var g5_admin_url = "https://example.com/adm";
...
</script>

꼭 g5가 아니어도 위와 구조가 비슷하다면 g5 버전으로 간주해도 된다고 합니다.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이 연결된 경우 티스토리인지 여부 확인하기

티스토리의 경우 가입하면 기본적으로 example.tistory.com과 같이 tistory.com의 서브도메인 형식의 사이트 주소가 부여됩니다.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개인 도메인이 연결되어도 티스토리를 운영해본 적이 있다면티스토리로 만들어진 사이트는 쉽게 구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이 연결된 경우 키보드의 q를 누르면 티스토리의 본래 주소(example.tistory.com 형식)가 표시됩니다.

참고

작성자 아바타

워드크래커는 전문 영한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10년 이상 워드프레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워드프레스 정보꾸러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는 사람들’ 네이버 카페도 관리하고 있다.

댓글 남기기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상담 카톡 서비스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