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확인 사항

Last Updated: 2025년 01월 09일 2개 댓글

새로 발행한 글에 애드센스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다고 호소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물론 광고 게재 제한 조치를 당하면 광고가 표시되지 않겠지만, 게재 제한을 당하지 않은 상태에서 애드센스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기존 글에 워드프레스 AMP 관련 문제와 티스토리에 대한 몇 가지 사항을 추가하여 글을 업데이트했습니다.

[ 이 글은 2025년 1월 4일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확인 사항

애드센스 승인 여부

애드센스 광고가 표시되려면 구글에 검토를 요청하여 애드센스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신청을 한다고 해서 곧바로 광고가 표시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의 경우 신청을 하면 광고가 곧바로 표출될 수 있습니다. 해당 광고는 티스토리 자체 광고이지 사용자의 광고는 아니므로 애드센스 수익에는 아무런 기여를 하지 않습니다.

티스토리는 자체 광고를 도입함에 따라 수익형 블로그에 티스토리의 애드센스 광고가 함께 표시됩니다. 티스토리 자체 광고가 상단에 표시되면서 수익의 상당 부분을 가져감에 따라 높은 수익을 거두던 티스토리 블로거들의 수익이 크게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 때문에 워드프레스 등으로 옮긴 블로거들도 많습니다.

광고 검토 기간은 짧으면 1~2일만에 결정이 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4~6주의 시간이 소용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블로그를 시작할 당시에는 애드센스 승인이 그리 어렵지 않았지만, 몇 년 전부터 승인이 까다로워져서 '애드고시'라는 신조어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실제 애드센스 승인은 복불복일 수 있습니다. 하루 이틀만에 쉽게 승인이 나는 경우도 있지만 몇 달이 걸려도 승인이 안 되는 사용자들도 있습니다.

애드센스 광고 코드를 추가했는가?

사이트 전체에 애드센스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광고 코드가 올바르게 추가되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를 이용한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애드센스 광고 스크립트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는 Ad Inserter와 같은 광고 배치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광고 게재 제한 조치

당연하지만 광고 게재 제한 조치를 받으면 광고 게재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는 광고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애드센스 문서에 의하면 광고 게재 제한으로 광고가 제한되는 기간은 일반적으로 30일 미만이지만, 경우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광고 게재 제한 조치를 받더라도 계속 글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애드블록 문제

애드블록, 즉 광고 차단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광고가 차단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애드블록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광고 차단 기능이 있는 Opera와 같은 일부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광고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애드블록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해당 사이트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다음, 사이트를 새로 고침하면 광고가 표시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AdBlock이라는 광고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애드블록 앱 아이콘을 클릭하고 "이 사이트에서 일시 중지"를 클릭하여 광고 차단을 일시 정지할 수 있습니다.

애드블록 차단 해제

또는, 세 개의 점을 클릭하고 Always allow ads on this site를 클릭하여 해당 사이트에서는 항상 광고를 허용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광고를 클릭하여 정책 위반으로 인해 계정이 정지되는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애드블록 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애드블록 사용 시 참고 사항

애드블록을 사용하면 원치 않는 광고를 차단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일부 사이트에서는 애드블록을 악성 프로그램 또는 악의적인 활동으로 간주하여 해당 사이트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접속할 때 아래와 같이 "Bot Protection Firewall Blocked because of Malicious Activaties" 경고 문구가 표시되면서 접속이 차단되는 경우가 있다고 네이버 카페를 통해 어떤 분이 알려왔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 방화벽 차단

이 문제를 살펴보니 해당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애드블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발생하는 문제였습니다.

광고 차단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클라우드웨이즈 (Cloudways) 등 일부 웹호스팅 사이트에도 접속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의 방화벽이 애드블록에 의한 광고 차단 기능을 악의적인 활동으로 인식하여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것 같습니다. 이 블로그는 클라우드웨이즈에서 호스팅되고 있어서 애드블록이 설치되어 있으면 클라우드웨이즈 방화벽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습니다.

이 블로그의 운영은 애드센스 수익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광고 차단 앱이 설치된 경우 이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대하여 광고 차단을 해제하여 허용 목록에 추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 발행 직후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

글을 발행한 직후에는 경험상 광고가 잘 표시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특히 방문자 수가 적은 경우에는 광고가 표시되는 데 조금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글을 발행하면 구글에서 적절한 광고가 있는지 확인하여 적절한 광고를 표시하는 데 조금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하루 정도 기다리면 보통 광고가 표시될 것입니다.

다른 글에는 광고가 표시되지만 최근 발행한 글에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기다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방문자 수가 적다면 방문자 유입을 늘리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글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

경험상 글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에도 광고가 잘 표시되지 않습니다. 제 블로그의 경우 짧은 글에는 광고가 잘 안 붙는 경향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글이 너무 짧으면 구글에서 광고를 표시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적합한 광고가 적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 길이가 짧아서 광고가 붙지 않는다고 의심이 된다면 글 길이를 늘려보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시크릿 모드에서 확인하기

자신의 사이트의 광고는 잘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 시크릿 모드로 접속하면 보다 광고가 제대로 송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글 발행 직후에는 광고가 잘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글을 공개하고 하루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도 광고가 잘 표시되지 않으면 시크릿 모드에서 확인하거나 다른 사람의 폰을 통해 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가 표시되는지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크롤러: 호스팅 서버 과부하 문제

"크롤러: 호스팅 서버 과부하" 문제로 광고 게재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크롤러: 호스팅 서버 과부하

이 문제는 보통 서버 문제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먼저 웹호스팅 업체에 연락하여 이 문제를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없고 기다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서버 리소스가 부족하여 문제가 발생한다면 서버 크기를 업그레이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방문자 수가 증가하여 트래픽 증가로 인해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면 클라우드웨이즈, Vultr 등 클라우드 VPS 호스팅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AMP 플러그인이 설치된 경우

워드프레스에서 AMP 플러그인을 설치한 경우 광고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MP 플러그인은 오래 전에 잠시 인기를 끈 적이 있지만 지금은 모바일 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AMP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으면 비활성화하고 삭제합니다.

AMP 플러그인을 비활성화한 후에는 301 리디렉션을 설정해야 기존의 AMP로 로드되던 URL이 올바른 URL로 연결됩니다.

뉴스페이퍼 등 일부 테마에는 자체 모바일 테마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모바일 테마 플러그인을 활성화한 경우 비활성화하도록 합니다.

티스토리

모바일 앱으로 접속하는 경우

모바일 앱으로 접속할 경우 광고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이 아닌 모바일 기기의 브라우저(크롬 등)로 접속합니다.

티스토리 모바일웹 자동 연결 기능을 활성화한 경우

티스토리 모바일웹 자동 연결 기능을 활성화한 경우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하면 광고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웹 설정에서 모바일웹 자동 연결 기능을 해제합니다.

승인받지 않은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경우

티스토리에 개인 도메인(2차 도메인)을 연결하여 승인을 받는 경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example.tistory.com 형식)으로 접속 시 광고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특히 네이버에서 개인 도메인이 아닌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 주소가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 주소로 접속할 경우 광고가 표시되지 않아서 수익으로 잡히지 않게 됩니다.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을 개인 도메인으로 리디렉션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카카오에서 복불복 계정 정지 조치를 하고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리디렉션을 설정해도 문제가 없다고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참고).

코드에 redirect 등의 단어를 포함하지 않고 Javascript 코드가 리다이렉트 기능을 하는지 잘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추가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복불복 계정 정지의 리스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시 코드:

<script>
(function(){
    var winter = "your-id.tistory.com";
    var summer = "your-new-domain.com";
    var city = window.location.hostname;
    var park = window.location.href;

    function distance(origin, fromKey, toKey) {
        if (origin.indexOf(fromKey) !== -1) {
            var tmpArr = origin.split(fromKey);
            return tmpArr.join(toKey);
        }
        return origin;
    }

    if (city === winter) {
        var newPath = distance(park, winter, summer);
        window.location.href = newPath;
    }
})();
</script>

코드를 추가하기 전에 티스토리 전체 백업을 받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사이트를 워드프레스로 이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저는 티스토리를 이전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크롤링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글을 하나씩 크롤링한 후에 조금 수정하여 발행하고 있습니다.

참고


2 개 댓글

Leave a Comment

  1. 애드센스 광고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어요. 광고 코드가 제대로 추가되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어요. 개인적으로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운영해 본 적이 있는데, 광고 수익이 줄어드는 현상도 공감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해결했는지 궁금하네요.

    응답
    • 티스토리의 경우 자체 광고를 도입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의 광고 수익이 줄어들었습니다. 일부 사용자들은 워드프레스나 블로그스팟 등으로 옮겨가기도 했습니다.😥

      2차 도메인(개인 도메인)을 연결하는 경우 네이버에서 개인 도메인이 아닌 티스토리 기본 URL이 노출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문제가 몇 년 전부터 존재했지만, 아직도 해결이 안 되고 있네요. 특히 티스토리에서는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 개인 도메인으로 리디렉션을 설정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응답